"인생은 너무 짧고 프루스트는 너무 길다." 아나톨 프랑스가 1913년에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권 출간에 부쳐 쓴 말이다. 놀라울 정도로 정확한표현이다. 나머지 6권은 아직 출간되지도 않았는데 그에게는 벌써부터 프루스트가 "너무 길게" 보인 것이다. 기억의 심연을 파고드는 그의 철저한 추적이 어디까지 가게 될지 그 누구도, 프루스트 자신조차도 알지 못했다. 이 책은 앞으로 질주하는 시대를 거슬러 과거를 언어로 담아내려는 시도였다. - P154
이 책은 이런 황금 같은 말들로 시작한다. "오래전부터 나는 일찍 잠자리에 들었다." 프루스트는 이 말로 녹초가 되어버린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의 정곡을찔렀다. 카프카에서 조이스까지, 무질에서 토마스 만에 이르기까지 한 번이라도 자정 전에 잠드는 데 성공하면 일기에 자랑을 늘어놓았던 것이다.일찍 잠자리에 드는 것, 이것은 점점 잠이 부족해지기만 하는 모더니즘의선봉장들에게 우울, 음주, 무의미한 기분전환, 앞으로 돌진하는 시대에 맞서는 가장 용감한 투쟁으로 보였다. - P311
˝길어 보이지만 짧은 작품들이 있다. 프루스트의 긴 작품이 내게는 짧아 보인다.˝ 장 콕토Jean Cocteau는 이런 말로《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회상했다. 프루스트의 진정한 독자들이 모두 그렇듯이, 그는 끝까지 다 읽으면 처음부터 다시 읽는 사람들 축에 속했다.
영화 디비디는 사놨는데 (존 말코비치와 알랭 들롱이 샤를뤼스 남작;;;) 그래도 책을 읽은 다음에 봐야할 것 같아서 비니루도 안 벗기고 모셔놨다. 나 진심인가봐. 완독하면 잃어버린 시간 찾고, 좀 젊어지고 그러는 거야? (응, 아니야. 프루스트 바바)
프루스트를 향한 팬레터 모음집. 나도 어서 프루스트를 더 읽어 완독하고 싶어진다. 길혜연 역자의 인용문 번역은 더할 수 없이 아름답고 (민음, 펭귄 보다 낫다) 독자의 가슴이 벅차 오른다. 심지어 이 책은 읽기에 어렵지 않다. 프루스트의 미학과 철학을 다루지만 지루하지도 애매하지도 않고 가독력이 그저 좋다요?!! 역자후기도 아주 좋다. 단점이라면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최고 스포일러인데다 지금 절판인 책이다. (feat. 팔스타프님)
나는 내 고국 불가리아에서 프랑스어를 배웠다. 선생님께서 중요한 텍스트들을 읽어보라고 권유할 만큼 내 프랑스어 실력이 좋아졌을 때 나는 다음과 같은 두 문장을 통해 처음으로 프루스트를 접했다. "화집은 일종의 외국어로 쓴 것이다"와 "작가의 의무와 노력은 번역가의 그것과도 같다"가 바로 그것이다. 내게 이 말들은 이상하게도, 세계에서 유일한 행사인 우리나라의 알파벳 축제와 더불어큰 울림을 준다. 매년 5월 24일이면 학생들뿐 아니라 지식인들, 교수들, 작가들이 글자 하나를 내걸고 행렬에 참가한다. 나는 내 블라우스 위에, 내 몸 위에, 내 몸 속에 핀으로 글자를 꽂고 있었기에 하나의 글자가 되었다. 말은 살이 되었고 살은 단어들이 되었다. 나는 이 군중의 노래, 향기, 환희 속에 녹아들었다. 나는 프루스트의 이 글들을 읽으며 그것이 나 자신이 이미 경험한 무엇인가에 근거를 두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것은 또 다른 책으로 번역하고, 읽히고, 나누기 위해 암호로 쓴, 살로 된 한 권의 책과도 같은 나 자신의 깊은 곳으로 들어가는 것이었다. 이후 그 텍스트를 번역하는 작업은 나의 직업이 된다. 나는 그 작업을 말라르메, 셀린, 그리고 다른 작가들에게 적용해보려 했고, 그중엔 물론 프루스트도 있다. 말할 것도 없이. - P176
프루스트를 읽고 나서, 글쓰기는 적어도 두려운 것이 되었다. 나는 밤에 글을 쓴다. 특히 소설들을 쓰는데 가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책장들을 들추어, 그것을 음미하고, 이해하고, 뒤섞는다. 이런 약간의 환각 상태에서, 이제는 세심하고도 민감한 나의 언어가 된 제2의 모국어 프랑스어 속으로 스며들기도 한다. 그것은 하나의 훈련 그이상이다. 프루스트를 읽는 것은 진정한 체험이고, 작가가 자신만의 길을 찾기 위해서는 이런 경험에 열려 있어야만할 것이다. 그런데 이 길은 ‘어린 마르셀‘이 내는 길이다. - P178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가 단지 어떤 과거에 대한 탐구만은 아니라고 말한다. 글쓰기는 과거의 재창조, 포이에시스의 표명이다. 프루스트는 자신의 내면에서 상상의 세계를 창조해내는 능력을 상세히 검토한다. 그는 인생의 의미가 외부에 있지 않고 주도적인 상상력 안에 존재한다는 것을 깨닫는다. 즉 단어들을 만들어내고 감각들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자신의 고유한 방식 속에 인생의 의미가 존재하는 것이다. - P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