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물만두 > 우울한 알라디너분들께 바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얼마 전 철학과에서 알게 된 선배랑 우연찮게 대화할 기회가 생겼다. 열심히 이야기하다가 문득 강연 이야기가 나와서 내가 "저두 강연 많이 들으러 다니구 해야 하는데.. 그래야 사고의 폭이 넓어질텐데 말이죠.."라고 말을 던졌다. 그랬더니 그 선배 왈. "책 많이 읽어.. 그러면 사고의 폭이 넓어지거든"

순간 나의 기분은 솔직히 더러웠다. 격한 표현이라 생각되지만 사실이다. 그 선배가 나쁘다거나 잘난 척하는 사람이라거나 그러지는 않다. 사실 우리는 안 지 몇 개월 밖에 안 됐고, 수업 시간에나 보는 그런 겉만 아는 사이다. 그리고 그 선배는 나에게 조언의 형식으로 다정하게 이야기 한 거다. 그런데 내 기분은 왜 그렇게 나빴을까...

책을 많이 읽으라고? 거기에 내 자존심이 다친거다. 겉으로는 내가 겸손한 척, 모르는 척 잘 했는데, 막상 그런 말을 들으니 나의 가식이 가면을 벗어버린 거다. '남들보다 책 많이 읽었어.. 당신보다 많이 읽었을걸..이거 왜 이래?' 그 때 내 맘속의 대답이었다. 겉으로는 "네.. 그래야겠죠.. "라고 가식을 떨었지만 말이다.

오만한 나... 언제부터 이렇게 된 것일까? 언제부터 남의 호의마저 나의 잘난 자존심의 방정식에 맞춰 답을 내는 그런 허영덩어리에 가식쟁이가 된 것일까... 처음에는 자존심이 다쳐서 기분이 상했지만, 잠시 후 나의 이러한 거만함에 역겨워졌다. 내가 잘난 게 뭐가 있다고... 너무 아팠다. 나 자신안에 이런 의식이 있다는 건 너무 아팠다. 내가 생각하는 나는, 내가 지향하는 나는 이런 나가 아니었는데... 

나 혼자 나란 인간에 실망하면서도 남이 모르겠지란 안도감이 밀려왔다. 그리고..나는 다시 나의 이런 어리석음에 몸서리쳤다.

우울한.. 날이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uperfrog 2004-06-16 13: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저도 비슷한 경험을.. 대학 동기 녀석이 직장 그만두고 집에서 일한다 했더니 대뜸 하는 말이 '이번 기회에 책 많이 읽어라!'였어요. 그 순간 '뭐야! 너보다 10배는 더 읽을 거다! 지는 유부남 주제에 바람이나 피워놓고 말야말야..!!'라는 말이 목구멍까지 올라왔지만.. 그래, 하고 말았죠.. 흠.. 저도 전화 끊고 나서 불쾌하기도 하고 우울하기도 하고.. 복잡복잡..;;;

꼬마요정 2004-06-16 14: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ㅠ.ㅠ 서글퍼요.. 이런 생각을 한다는 게... 사실 이 세상에 하고많은 책들 중에 읽은 책은 극히 일부분인데..그런데도 잘 났다는 생각을 하니까.. 그래도 저만 그런게 아니라는 데 또 다시 안도감...ㅋㅋㅋ 울다가 웃으면 어디어디 털 난다던데...

superfrog 2004-06-16 19: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열심히 내공을 쌓아야 겠죠... ?^^;;;

로렌초의시종 2004-06-16 19: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새삼 제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저 같은 경우는 제가 워낙 잘난척을 했는지(저는 물론 아니라고 생각합니다만^^;) 누가 저보고 책을 더 읽으라고 하지는 않더군요. 꼬마요정님도 한번쯤은 님의 독서량을 적절한 때에 한번쯤 드러내시면 아무도 그런 말 안할꺼에요!, 물론 겸손이 미덕이지만 말이죠. 만약 제가 누가 그런 말을 한다면 저는 한마디 하고 넘어갔을 것 같은데 꼬마요정님은 잘참으셨네요^^ 맘에 드는 글을 써주셨기에 추천하고 퍼갑니다^^ 저도 언제 한번 비슷한 주제로 써봐야겠네요(언제쯤일지는...... ㅡ ㅡ;)

꼬마요정 2004-06-17 01: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맘에 드셨다니 다행이네요.. 추천도 감사^^*
물장구치는금붕어님 말씀대로 내공을 키워야겠어요~~~^^
 


★ 소비

Consommation / 전세계에서 사랑받고 있는 커피는 물 다음으로 많이 소비되는 음료이다. 지구상의 인구 세 명 중 두 명은 커피를 마시고 있으며, 그들이 하루에 마시는 총 커피량은 약25억 잔에 달한다. 프랑스에서는 성인의 90%가 커피를 마신다. 그 중 85%는 커피를 하루 종일 마시고, 79%는 아침 식사 후에, 48%는 점심 식사 후에 마신다.

1인당 커피 소비량이 가장 많은 나라는 다음과 같다. 핀란드와 스웨덴(연간 1인당 커피 소비량 : 13㎏, 하루 약 4-5잔). 네덜란드(연간 1인당 커피 소비량 : 9㎏, 하루 약 3잔 이상), 독일 (세계 제 2위 커피 수입국)· 오스트리아· 벨기에· 룩셈부르크(연간 1인당 커피 소비량 : 8㎏, 하루 약 3잔), 프랑스(세계 제 3위 커피 수입국)와 스위스(연간 1인당 커피 소비량 : 6㎏, 하루 약 2-3잔), 미국(연간 1인당 커피 소비량 : 4.5㎏, 하루 약 2잔 미만, 세계 제 1위 커피 수입국), 이탈리아(연간 1인당 커피 소비량 : 4.5㎏, 하루 약 2잔 미만, 세계 제 5위 커피 수입국), 그 밖의 국가들의 경우,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은 캐나다가 4㎏이며, 스페인 3㎏, 영국 2.5㎏, 일본 2㎏이다. 일본은 세계 제 4위의 커피 수입국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앵글로 색슨

커피 對 차

ANGLO-SAXON / 17세기 말, 영국은 커피 하우스의 성공으로 유럽에서 커피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나라가 되었다. 그러나 그로부터 한 세기가 지나자 영국 사람들은 더이상 커피를 마시지 않고 차만 마시게 되었다. 만일 훌륭한 로스트 가게가 즐비한 대영제국에서 커피 마시는 것을 금지시키지 않았더라면 대부분의 영국 사람들은 인스턴트 커피만을 마시게 되었을 것이다.

대서양 건너편에 있는 신대륙의 식민지 사람들은, 설탕을 타거나 계피로 향을 더해서 마시는 음료가 있다는 사실이 뉴욕에  알려진 1668년에 이르러서야 커피를 마시게 되었다. 차가 영국 식민통치의 상징이었다면, 커피는 커피는 영국에 대한 독립의 상징이었다. 따라서 커피는 아주 빠른 속도로 미국인들이 애용하는 음료가 되었다. 1920년대의 알코올 금지령 또한 미국의 커피 소비를 증가시키는데 한몫 했다. 그러나 커피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한 것은 인스턴트 커피의 등장이었다. 수백만의 미국인들은 인스턴트 커피의 간편함에 순식간에 매료당했다.

1960년대에는 카페인이 많이 함유된 맛없는 로부스타와 인스턴트 커피가 범람하던 때라 한 잔의 좋은 커피를 마신다는 것은 기적과도 같은 일이었다. 그러나 1980년대 시애틀을 중심으로 에스프레소 바 체인점 스타벅스가 등장하여 상황을 완전히 바꿔놓았고, 에스프레소와 카푸치노를 유행시켰다. 서부 해안가에서 처음으로 마시게 된, 시럽(바닐라, 헤이즐넛, 캐러멜, 초콜릿, 박하)을 이용해 향을 낸 커피도 차츰 모든 지역으로 퍼져나가서 성공을 거두었다. 스타벅스의 가장 큰 공로는 무엇보다도 소다수에 길들여진 젊ㅇ느 세대에게 커피의 세계를 알렸다는 점이다. 보다 고전적 풍미가 있는 차갑게 만든 아이스 커피 또한 이미 오래 전부터 세계 어디서나 사랑받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panda78 > 러시아 조각들

표트르 대제 동상










표트르 1세

 표트르 1세



표트르 궁전 내 분수




러시아 예술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없어서, 검색 도중 발견한 것들 올려봤습니다.

이파리님,  찾으시던 것이 있으신지요? ^^;;;

나중에 더 잘 알게 되면 또 올릴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