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 2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시인 보들레느와 어울려 다녔던 초대 보헤미안의 한사람 중에 앙리 뮈르제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보헤미안답게 가난했으나 많은 꿈을 지닌 커피광이었다. 그가 어느 정도 커피를 마셔댔는지 그의 하숙집 동료였던 쥘 위송은 그에게 매일 아침 일찍 일어나 수도꼭지에 입을 대고 배가 차도록 물을 마셔야 한다고 충고했을 정도였다.
그 커피광은 마침내 '루돌프와 미미'라는 책을 냄으로써 인기작가의 대열에 올라선다. 그 '루돌프와 미미'의 내용은 오페라로 각색되어 현재까지도 매년 전세계의 모든 나라에서 공연되어지고 있다. 바로 푸치니가 오페라로 각색한 『라보엠』이 그것이다.

또 『걸리버 여행기』의 저자 조나단 스위프트는 젊은 시절 '미친 사제'라고 불렸을 만큼 많은 기행을 한 행적으로 유명하지만, 그의 많은 글들 속에 녹아난 커피 예찬론자로도 유명하다. 그의 글들 속의 커피에 대한 예찬은 마치 낯뜨거운 성적 묘사처럼 보여 당시에는 출판 금지되기까지 했었는데, 그는 커피를 일컬어 그의 글을 만드는 원동력이라고 말했다.

커피는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하찮은 기호 음료에 불과하지만, 몇몇 사람들에게는 아주 특별한 음료가 되기도 한다. 그 몇몇 사람들에게 커피는 음악과 미술, 그리고 작문에 이르는 영감을 주는 마법의 음료이기 때문이다. 60알의 원두를 헤아려 커피를 끓여 마셨던 베토벤이나 커피 칸타타를 지었던 바흐 이외에도 그러한 실례는 부지기수로 많다.

역사를 뒤적여보면 보다 섬찟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커피는 '바그다드 왕국'이라고도 불렸던 당시 아프리카와 동유럽의 거대한 제국이었던 사라센 제국에 의해 최초로 농장 단위로 재배되었고, 사라센 제국에 이은 오스만 투르크(현재의 터키)의 전유물이 되었다.
이 오스만 투르크는 당시 유럽 십자군의 전쟁 대상국이었으며, 그들에게 깊은 좌절과 튤립과 커피의 오묘한 맛을 전해준 나라이기도 했었다. 십자군은 야만의 이민족 국가이자 이교도로 지칭한 이 오스만 투르크(여기에서 투르크란 '도적떼'란 뜻이다)를 정벌하고 교화시키고자 했으나 실제 오스만은 비잔틴 문화를 융성시키고 유럽의 귀족사회에서 오스만의 여러 전통을 모방, 유행시킨 동경의 대상국가이기도 했다. 후일 모차르트의 터키 행진곡도 그러한 오스만의 문화를 예찬함에서 비롯된 것이니 더 말이 필요할까.

그리고 동인도 회사의 시대로 분류되던 네덜란드와 영국의 융성기에는 그 나라에서 커피가 유행했고, 나폴레옹으로 대표되던 프랑스 전성기에는 프랑스에서 커피가 유행했다.
그리고 현재 세계의 경제와 군사력의 최우위에 있는 미국이 『스타벅스』를 앞세운 커피 시대에 들어섰고, 독일과 일본, 이탈리아 등 선진국에서는 커피 한 톨 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커피를 가공해 세계 시장에 팔고 있다.

어쩌면 그러한 역사적 현상은 우연한 것이 아니라, 커피의 역할이 그 사회를 깨어나게 하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개개인으로 하여금 건전하고 올바른 사고를 도와줌으로써 그 사회 전체를 건강하게 만드는 음료가 아닌가 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신토불이라는 용어를 앞세워 차(茶)를 마셔야지 커피를 마셔서는 안 된다는 논리는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차와 커피는 기능상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역사는 현재의 바로미터라는 말이 있다. 육체의 건강을 위해 커피를 멀리하라는 발상보다는 개개인의 정신적 건강과 사회적 건강을 위해 커피나 차를 가까이 하자는 게 개인적 생각이다. 그래서 나는 원뜻과는 약간의 차이를 갖는 새로운 개념의 "음차흥국(飮茶興國)"이라는 말을 즐겨 쓴다. '커피나 차를 많이 마셔 사회를 깨어나게 하면 (맑고 좋은 생각들이 많이 모아져) 나라가 부강해진다'는 뜻이다. 그래서 나는 커피를 일컬어 '세상을 바꿀 특별한 음료'라고 말하는 것이다.

커피 리필; 원래의 "음차흥국(飮茶興國)"이라는 말은 임진왜란 때 중국의 장수 이여송이 한 말이다. 지리산 등에서 차를 재배하여 몽고 등 북방족의 훈련된 군마(軍馬)와 바꿔 군력을 강화시키면 나라가 안정되어 부강해진다는 뜻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잉크냄새 > 언어와 디자인의 완벽한 조화




--------------------------------------------------------------------------

살인의 추억에서 송강호가 <나이스> 운동화를 건네주던 장면이 생각난다.

언어의 변형만이 아닌 디자인과의 조화가 대단하다고밖에 표현할 길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안녕 *

쓰디 쓴 커피 한 잔이 일상이 되어버린 오후

허탈한 마음으로 마셔버린 그 커피엔 너의 향기가 가득한데..

이젠 그리움이 익숙해져 버린 듯 해...

너 떠난 뒤로 난 밤이 싫어졌지

밤이 오면 잠을 이루지 못하고 젖은 눈으로 까만 하늘을 바라본다

가슴 쓰린 아득함을

기억 저 편에서 숨쉬고 있는 추억으로 달래려 하지만...

아득한 기억의 끝은 언제나 너의 차가운 눈빛일 뿐...

때로는 따스한 말 한마디 바래도 보지만

귀찮은 듯 너의 표정은 날 아프게 해

우연처럼 부딪히는 너의 모습에 내 눈은 젖어들어가고

나의 절규도, 나의 눈물도

모두 밤의 향기 속으로 녹아내려..

너 하나만으로 아름다웠던 시간들..

이제는 그리움만 남았어

(그래도) 혹시나 하는 어설픈 기대를 가져보지만

헛된 바램은 더 이상의 기다림을 힘들게 해..

서툰 바램은 원망일테니-

(그러니) 그대-

이젠 안녕

원하는 마음이 간절하면 얻을 수 있다는 말은 거짓일거야

그토록 널 원했는데 넌 떠나갔으니-

                     -1998.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안녕...

달리 무슨 말을 할 수 있을까요?
안녕..그 말밖에..

기뻤던 순간, 힘들었던 순간, 아팠던 순간, 슬퍼했던 순간..모두 함께하지 못한 나이기에..이제 와서 달리 무슨 변명을 할 수 있을까요..
그저 힘들었다고 곤한 어깨 내게 잠시 쉬고 싶다고 그저 그렇게 말이라도 했더라면 달라졌을까요...
지금의 내가 이제와서 이해할 수 있다고 말한다면... 이기적인걸까요..
사람이..
사람과 만나면서 아프고 힘든 건 당연한건데...
그래도..
그 아픔보다 더 큰 행복을 얻었다면... 모든 것을 감싸줄 수 있을텐데..
어리석은 나는..차마..그러질 못했네요...

미안해요... 이제는 소용없겠지만..
그래도 정말 미안하단 말 너무 하고 싶었어요...

며칠을 불면으로 지새우든, 며칠을 눈물로 지새우든..
이제는 돌이킬 수 없다는 것을
모르지는 않지만
그래도...

간절히 원하면 얻을 수 있다는 그 말..
거짓이라고 비웃었더랬죠..
하지만..
이제는 이해할 수 있어요...
물질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는 거..
마음...
난 얻었으니까...

잘 지내요..
정말로..행복해요..

나 또한 행복할테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길을 걷다 문득 낯익은 음악 소리를 듣고 멈칫... 너무나 익숙한 그 선율에 나도 모르게 눈물이 흐른다. 이 곡은..

이른 오후, 뜨거운 커피 한 잔 내려놓고 잠시 머뭇거린다. 나른한 커피 향기에 나도 모르게 피식 웃음이 나고... 방 안 가득 퍼지는 시나몬의 향기는 나를 예전으로 돌아가게 만든다.

생각하고 싶지 않은 일들 때문에 거리를 방황할 때면 의식하지 않아도 나의 발걸음은 늘 가던 곳으로 향한다.

이제는 정말 잊고 싶은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 2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