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Enjoy Your Coffee

                         To encourage your sprit and sense...

  

 

 

 

 

커피맛, 그 미묘한 세계

           

 

     커피맛의 특징 나아가 품질은 크게 대체로 다음의 4가지로 표현됩니다. 

 

  • 아로마(aroma)

커피 볶는 과정에서 열 작용으로 생기는 각종 휘발성 방향 물질에 의한 커피 향기. 커피를 볶으면 800여 가지의 방향물질이 생긴다고 합니다.

커피 향기

  • 바디(body)

커피 맛의 농도와 깊이. 농밀함. 흔히 '입안에 가득찬 혹은 꽉 찬 느낌의 정도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 산도(acidity)

신맛의 정도. 커피의 신맛은 쓴맛, 단맛과 함께 커피 맛의 3대 요소입니다. 좋은 신맛은 새콤하다라고 표현되며, 일반적으로 고도가 높은데서 재배된 커피가, 뉴 크롭(신 생산품)이, 옅게 볶을수록 신맛이 잘 살아납니다. 잘 못 볶던가, 볶은지 오래됐던가, 잘 못 보관했다던가, 잘 못 추출한 경우, 나쁜 신맛이 나기도 합니다

  • 향미(flavour)

수용성 물질에 의한 맛(taste)와 방향성 물질에 의햔 향(aroma)가 합하여 만들어내는 커피 특유의 맛. 좋은 커피에는 풍부한 향미(flavour)가 있습니다


 

 

더 나아가 커피 맛을 판단하거나 표현할 때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표현들을

사용합니다. 맛에도 이런 다양한 느낌을 묘사할 수 있다니 정말 놀랍다고나 할까요!

  

  • 윤택함 (richness)

농도(body)와 풍부(fullness)함에 관하여 언급할 때 사용

  • 복합적인 (complexity)

복합적인 풍미의 지각

  • 균형 (balance)

기본적인 맛의 특징들이 어느 하나가 튀지 않고 만족스러운 상태.바람직한 풍미의 특징들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단어

  • 생기있는(bright)

산뜻한

  • Dry

톡 쏘는 풍미의

  • Sharp

자극이 강한

  • Snappy

향기가 강한 *중앙 아메리카 커피의 대표적인 특징

  • 카라멜의 (caramelly)

사탕이나 시럽과 비슷한

  • 초코렛같은 (chocolaty)

달지 않은 초콜릿 또는 바닐라와 비슷한 뒷맛

  • 여운(aftertaste)/섬세함 (Delicate)

혀의 끝에서 지각되는 미묘한 풍미

* 세척한 뉴기니아 아라비카의 대표적인 특징

  • 흙 냄새 나는 (earthy)

흙의 특징 *수마트라 커피의 특징

  • 향기로운 (fragrant)

꽃향기에서 짜릿한 향기까지를 나타내는 향의 특징

  • 과일 같은 (fruity)

딸기(berry)나 귤(citrus)을 연상시키는 향의 특징

  • 농익은 (mellow)

신맛이 부족하지만 완만하고 부드러운 맛

  • 견과류와 같은 (nutty)

볶은 견과류를 먹을 때 느낀 맛과 비슷한 뒷맛

  • 톡 쏘는 (spicy)

향신료를 연상시키는 풍미와 향

  • 감미로운 (sweet)

깔깔함이 없는 상태(harshness)

  • 야생(wildness)

이디오피아 커피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보통 생각되지

않는 활력이 있는 풍미

  • 와인풍미가 있는(winy)

잘 숙성된 와인을 연상시키는 뒷맛

*케냐와 예맨커피의 대표적 특징

 

 

 

 

바람직하지 않은 풍미의 특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합니다.

 

  • 쓴(bitter)

보통 너무 볶아서 생기는데 혀의 뒤쪽에서 느껴진다

  • 밋밋한 (bland

풍미에 있어서 중성적인 상태

  • 숯의 (carbony)

타서 숯과 같이 너무 진한

  • 생기가 없는 (dead)

신맛과 향, 뒷맛이 부족한 상태

  • 탁한 (dirty)

진흙을 머금을 때 느껴지는 케케묵은 느낌

  • 단조로운 (flat)

신맛 향, 뒷맛이 부족한 상태

  • 풀 내가 나는 (grassy)

새로 깎은 잔디밭을 연상시키는 향과 풍미

  • 거친 (harsh)

열렬하고(caustic) 할퀴는 듯하고(clawing), 성깔 있는(raspy) 특징

  • 탁한 (muddy)

다소 답답하거나 케케묵은 냄새  *일부러 묵힌 커피에 있어서는 항상 좋지 않은 특징은 아니다

  • 요오드 냄새 나는 (rioy)

요오드와 같은 특이한 냄새

  • 거친 (rough)

탄 고무를 연상시키는 냄새와 풍미 * 대표적으로 자연건조방식을 사용한 로부스타에서 만 발견된다

  • 부드러운 (soft)

풍미에 있어서 중성적인 상태 (bland)

  • 시큼한 (sour)

대표적으로 추출 부족의 결과로 만들어진 결여된 신맛

  • 테레빈 같은 (turpeny)

풍미가 테레빈같은

  • 물 같은 (watery)

입안에서 느껴지는 농도나 점성의 부족을 말함빈 같

  • 야성의(wild)

기운 좋게 활발한 특성

* earthy와 wild는 정도의 차이와 개인적인 취향의 문제로 평가가 아주 상반될 수 있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렌초의시종 2004-07-04 20: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맘에 드는 내용이네요. 퍼갈께요~^^

꼬마요정 2004-07-04 21: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맘에 드신다니 다행이네요~^^
 


 

 

 

커피맛을 느낌 혹은 기분에 따라 한번 나누어 보았습니다.  미묘한 커피의 맛을 이렇게 분류해 본다는 것이 절대 정확한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커피를 선택할 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좋겠습니다.

 

상쾌한 맛

산뜻한 향과 부드러운 맛이 우리의 가슴과 정신을 일깨우는 커피.  하루 중 언제 마셔도 좋지만,  아침에 상쾌한 커피 한 잔을 즐기세요.

  • 코스타리카 타라쥬 : 마일드하고 똑 쏘는 듯한 개운한 뒷 맛. 하루를 즐겁게 해주는 커피.
  • 이디오피아 이가체페 : 코 끝을 스치는 황홀한 꽃향기와 와인 향처럼 상큼한 부드러운 뒷 맛이 오래 오래 입 안에 감도는 커피.
  • 탄자니아 킬리만자로 : 탄자니아의 킬리만자로 산록에서 자라  깊은 풍미를 지니고 있는 이 커피는 와인향과 새콩한 과일맛이 나며 드라이하고 와일드한 느낌때문에 가장 아프리카산 커피답다고 합니다.
  • 파푸아 뉴기니아 : 유기농으로 재배한 특별한 커피. 깨끗하고 상큼한 신 맛이  상큼한 하루를 약속합니다.               

 

 

유쾌한 맛

풍부한 풍미와  부드럽고 중후한 맛. 식사 뒤에  마시는 한 잔의 커피가 당신을 언제나 행복하게 해 줄 것입니다.

  • 케냐'AA" : 강렬하면서도 맛의 조화가 이루어진 커피. 그레이프 후르츠같은 달콤함과 건포도의 풍미가 느껴집니다.
  • 콜롬비아 수프레모 : 깊은 맛과 향이 좋은 마일드한 커피의 대명사. 커피미소에서는 항상 좋은 생두만을 엄선하여 정성껏 볶습니다.
  • 예멘 모카 마타리 : 천상엔 블루마운틴, 지상엔 모카가 있다지요. 모카 마타리는 쵸코릿 향이 감도는 과일 맛이 나는, 전통있는 기품있는 맛으로 유명합니다.
  •  미소 블렌드 : 미소에서 엄선한 여러가지 커피를 볶아 혼합한(블렌드) 커피로서 마일드하고 균형잡힌 맛을 지닌 커피. 언제 마셔도 기분 좋은 커피.
  • 브라질 세하도 : 브라질 커피는 섞음(블렌드)커피용으로 많이 쓰이지만, 세하도 커피는 단종(스트레이트)커피로 마셔도 깊고 오묘한 맛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통쾌한 맛

뭔가 강하고 확실한 맛의 묘미를 느끼고 싶을 때. 혹은 식 후에 입안에 강한 느낌의 여운이 감돌게 하고 싶을 때, 나른한 일상을 한 잔의 커피로 날리고 자신을 곧추 세우고 싶을 때... 한번 드셔 보세요.

 

  • 과테말라 : 신 맛과 단 맛의 조화가 오묘하고 스모키하고, 스파시한 향과 초콜릿 향이 뛰어납니다.
  • 수마트라 만델링 : 인도네시아의 만델링커피는 세계에서 가장 육질이 뛰어나다고 합니다. 입안에 꽉 찬 듯 풍부한 맛과 깊은 커피 향. 만델링 한 잔에 힘찬 느낌을 느껴  보세요. 남성다운 커피 같다고도 합니다.
  • 술라웨시 토라자 : 셀라베스 카로씨라고도 하며 특별한 단 맛과 단풍시럽같은 깊은 맛이 납니다.     
  • 미소 에스프레소 블렌드 : '악마와 같이 검고 불같이 뜨겁고 천사같이 순수하고, 키스처럼 달콤한(프랑스 시인  탈레이랑) 미소의 에스프레소 커피.... 순수하고 진하고 균형잡힌 맛을 느껴 보세요. 굳이   에스프레소로 뽑지 않아도, 드립으로 추출하거나, 프렌치 프레스로 추출하여 드시거나,  서버에 얼음 듬뿍 넣고 추출하여 아이스커피로 즐기셔도 진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커피하우스와 예술가

 

한편 커피하우스는 가난한 예술가들이 모여들어 작업도 하고 토론도 하는 장이었다. 파리의 카페는 북쪽 교외에 있는 몽마르뜨 주면에 발달해 왔는데 치솟는 집값 때문에 파리 시내에서는 더 이상 살 수 없는 가난한 예술가들이 몽마르뜨로 몰려 들었다. 피카소 등이 살던 '세탁선'이라 불리는 아파트도 이곳에 있다.

생 뱅상의 묘지 옆에 있는 카페 '라팡 아지르'에는 르노와르, 피카소, 로트렉, 로드리고 등이 매일 모였고 '오드와 마고'는 사르트르와 보봐르가 항상 들렀던 곳이다. '샤놀', '카페 당브랑' , '카페 누벨아테네' , '카페 라무르' '카페르보와' 등에는 로트렉, 마네, 졸라, 모파상 등이 드나들었다.

 "카페가 붐비는 시기는 왠지 집에 가만히 있지 못하고 좀이 쑤시는 인종, 즉 보헤미안 기질이랄까 아무튼 이러한 기질을 지닌 사람들이 나타나는 시기이다. 세기 말의 파리는 바로 그런 장소였다. 파리의 거리가 급격히 성장하고 세계 각국에서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카페는 단순히 음료를 마시는 곳 뿐 아니라 그들의 아지트로서 수다를 떨기도 하고 읊조리기도 하고 음악을 연주하는 장소가 되기도 하였다."

파리의 카페와 캬바레는 지금도 계급, 신분, 직업 구분없이 사람들로 층층마다 꽉 차있고 대부분의 가게는 커피 이외의 음식물도 취급하며 문 밖에도 테이블을 설치해 두고 시간을 제한하는 일도 없다. 대혁명 시절 혁명파에 대항한 왕당파의 무리가 모였던 '카페 드 라페'는 아직도 오페라좌 옆에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완성 2004-07-03 09: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렇게 오랫동안 한 곳에서 버텨온 커피하우스의 커피맛은 어떨까요?
똑같이 다방커피 맛일라나...? '왠지 집에 가만히 있지 못하고 좀이 쑤시는 인종' 풉;;
저도 2년 전엔 팔팔했건만...이젠 이렇게 손가락 두드리는 것도 힘드니..;;
//반갑습니다..^^

꼬마요정 2004-07-03 12: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설마요~ ^^ 뭔가 깊은 맛이 나지 않을까요...?
가보고 싶네요~~~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이슬람의 세력이 점차 커져가면서 이슬람의 와인으로 불리던 커피의 세력도 점차 그 힘을 더해가기 시작하였습니다.
투르크는 십자군 전쟁이후 1517년에는 이집트와 아라비아까지 평정하며 오스만제국의 일부로 편입시켰습니다. 기독교의 영향아래 와인의 문화가 만연했던 새로운 식민지들은 포도를 재배하는 곳이었는데, 이슬람의 문화와 함께 커피가 전파되면서 이 새로이 통일된 투르크의 영토에서 포토밭은 사라지고, 커피가 음용되었으며, 커피의 문화가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점차 그 음용의 범위가 넓어지면서 여성들까지 커피를 마시게 되었고 투르크에서는 아내가 주는 커피를 남편이 거부하는 것이 이혼사유에 해당된다는 법안이 통과되었을 정도입니다.
1554년 터키의 콘스탄티노플에 처음으로 하킴과 젬이라는 두명의 상인이 최초의 커피하우스를 열게된 이후 커피하우스는 멕테비이르판(mekteb-I-irfan) - 문화의 학교로 불리게 되었으며 커피도 ‘체스 두는 사람들과 사색가들의 우유’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아마도 커피하우스에서 커피를 마시면서 체스를 두거나 이야기를 나누고 생각에 잠겼기 때문이겠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