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비평 100호 - 2012.가을 역사비평 100
역사문제연구소 엮음 / 역사비평사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에 진보냐 보수냐는 것은 없었고 오직 깊은 관심만을 가지고 시작했다.

역사를 선택하게 된 계기가 된 책이 '한국사시민강좌'였고, 난 그 책을 많이 읽었다. 지금은 50권을 마지막으로 종간되었는데, 1987년 처음 시작될 때 부터 1년에 2번 출간되었던 책이다.

 

한동안 읽다가 알게된 것은 이 책이 보수적인 성향을 보여주는 글이 많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난 이 글을 재미있게 많이 읽었다. 진보냐, 보수냐는 중요한 기준이 되지 않았다.

 

학부시절 나이어린 선배들 손에 들려진 '역사비평'을 보게 되었는데, 그땐 이 책에 신경쓸 여력이 없었다. 그저 삶이 바쁘던 시절이었고, 이 책에 대한 이야기를 하던 선배들이 조금은 격하게 토론하던 모습만이 기억에 남는다.

 

강만길님의 글을 2011년 실로 재미나게 읽었다. 한명의 역사가의 삶 속에서 우리의 역사를 돌아보는 그의 글 '역사가의 시간'은 내 가슴에 깊이 남는다. 익히 강만길님의 글은 알고 있었지만, 특히 그의 글에서 난 시대를 보는 또 하나의 눈을 가지게 되었다.

 

신문에서 읽었다. '역사비평'이 100권을 맞이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제 진보역사학술지의 첫장을 넘긴다. 난 진보와 보수를 떠나 진보의 눈으로 보수를 바라보고, 보수의 눈으로 진보를 생각할 수 있는 안목을 가고자 한다. 이 거대한 희망이 한낱 실소를 유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노력하겠다.

 

2012. 10. 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광화문의 부활, 잃어버린 빛을 찾다
하워드 리드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영국의 다큐멘터리작가 하워드가 광화문복원의 과정과 광화문의 역사를 정리해 둔 기록물이다. 우리가 아닌 다른 나라 사람의 눈으로 바라본 우리의 복원공사와 그 역사적 의의는 새로운 역사로 보여진다.

 

유홍준 교수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6권과 함께 읽으면 더욱 좋을 듯 하다. 나 역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를 읽다가 이 책에 대한 내용을 알게 되었고, 구입하여 읽게 되었다.

 

나는 이런 글을 보면, 그들이 어떻게 강한 국가가 되었는지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역사에 대해, 그들은 속속들이 알고 있다고 여겨진다. 그러니, 그들의 누적된 이런 연구가 국력이 될 것이라는 것은 명약관화하다고 생각된다.

 

2012. 9. 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기열전 1 - 개정2판 사기 (민음사)
사마천 지음, 김원중 옮김 / 민음사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 영화 초한지를 보았는데, 원제목이 '홍문연' 이었다.

대학교에서 동양사를 공부할 때 진시황본기,항우본기, 고조본기를 공부했는데, 그때의 기억이 새록새록 날 감싸안았다.

 

한신과 관련한 사면초가, 토사구팽의 이야기를 다시 읽고 싶었다.

회음후열전을 다시 읽으니, 여태후가 한신을 죽이고 유방에게 알렸더라구요...

 

한신은 왜 천하를 3분하지 않았을까?? 마치 스타크래프트처럼,,,, 유방의 한, 항우의 초, 한신의 제나라로 나누었다면, 그의 삶은 완전히 달라졌을 텐데...

 

얼마전 끝난 '추적자'를 보다 깜짝 놀랐다. 서동현회장의 집무실에는 사마천의 사기가 가득했고, 특히 책상위엔 사기열전이 있다.

 

그의 멋드러진 대사는 거의가 사마천의 사기에서 나온 것이리라...

 

2012. 7. 31. 또 한번 더 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야모토 무사시 오륜서
미야모토 무사시 지음, 노만수 옮김 / 일빛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야모토 무사시의 이야기는 유명하여,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사람이 알고 있다.

센코쿠시대의 유명한 인물 가운데, 그도 들어간다.

세계 3대 병서의 하나인 오륜서를 읽는다.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요토미 히데요시.... 이시다 미쓰나리,,,, 오다 노부나가..... 그리고, 미미하지만, 미야모토 무사시....

 

일본의 사무라이 정신이 생기는 근원을 생각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 리라이팅 클래식 15
고미숙 지음 / 그린비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우선 작자 고미숙에 대한 느낌을 말하고 싶다. 그녀의 책을 읽은 기억이 있다.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 난다. 그녀의 글은 참으로 발칙하다는 생각을 했다. 열하일기,,,, 우리의 개화사상의 뿌리라 할 것이다. 그녀는 강연과 글쓰기로 먹고산다고 했다. 너무도 낭만적인 삶일 것이다. 허생전의 허생과 같이 10년 공부를 7년만에 그만두는 일이 없길 바란다.

 

동의보감에 대한 생각은 남다르다. 우리 의학으로 세계에 가장 널리 알려진 의서라고 한다. 실로 적절한 분량과 적절한 처방과 적잘한 서술방식이 최적이라고 본다. ㅋㅋㅋ 그냥 '동의보감'에 대한 내 느낌이 그러하다는 것이다.

 

허준에 대한 이야기를 하겠다. 그의 삶이 바로 '동의보감'일 것이다. 그의 삶은 고대부터 내려오는 많은 치료에 대한 이야기, 인간신체에 대한 이야기를 종합하고 분석하여 실행하는 활동으로 가득할 것이다. 마치 사마천이 '사기'를 써내려가는 기분이 바로 허준이 '동의보감'을 써내려가는 기분이었을 것이다. 모두가 역사라고 본다. 허준은 의학의 역사서를 쓴 것이라고 감히 말하고 싶다. 허준은 역사가이기도 할 것이다.

 

이 책엔 전체적인 양생의 기술이 보인다. 어떻게 하면,,, 건강하게 살수 있는지 천천히 읽다보면 하나하나 고개를 끄덕이며, 알게 되는 내용으로 가득하다. ㅋㅋ 사실 지하철에서 출퇴근하면서 많이 읽었다. 중간에 후다닥 100페이지 씩 읽기도 했다. 너무 재미난 문체라~~~ 하룻밤에 모두 읽겠다고 생각한 적도 있는데, 그저 천천히 읽고자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