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벌이가 고단하다. 남이 해주는 밥 한 끼(점심)가 좋아서, 퇴근길이 좋아서, 출근한다고 말하지만 돈을 번다는 건 결국 내 시간과 내 육체를 헌납하는 일이다.

 

버스를 두 번 타야하는 출근을 앞두고 나는 늘 아침마다 내 뱃속의 신호를 고대한다. 내 용변 습관은 참으로 속전속결이라서 변의가 오면 단 몇 분 내에 화장실로 달려가야 한다. 좀처럼 기다려주지 않는다. 차라리 변비를 부러워할 정도이다. 혹여 버스를 타고가다 신호가 올까 내내 두렵기까지 하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아침에 밥을 먹고 화장 비슷한 걸 하고 옷을 갈아입고 화장실에 가서 시원하게 일을 보고나면 그렇게 행복할 수가 없다. 하루치의 행복이 이것 뿐이라도 좋다고 생각할 만큼 흐뭇하다.

 

이렇게 소박한 일상이지만 밥벌이는 역시 고된 일이다. 틈틈이 온라인 연수까지 한 강좌 해치우자니 책 한 권 읽기가 빠듯하다. 겨우 읽기를 마친 책 한 권, 제목이라도 기억하고자 작은 기록을 남긴다.

 

 

 

 

 

 

 

 

 

 

 

 

 

'

미술사학자 이주은의 글은 읽기 편하고 가슴에도 적절히 와닿아서 즐겨 읽게 된다. 이 책에 소개된 여러 화가들의 일화가 특히 재밌다. 재밌다? 불우한 일생을 보낸 화가들의 이야기가 재밌다니...인상적이라고 해두자. 그 중 조반니 세간티니. (Giovanni Segantini 1858~99)

 

국적이 없어지던 때는 일곱 살 무렵이었는데, 그 무렵에 그는 부모도 잃었다. 어릴 적 그의 삶은 외롭고 처참했다. 아버지의 세번째 부인으로 들어간 그의 어머니는 남편보다 스물여섯 살이나 어렸다. 세간티니가 태어나던 해에 그의 형은 화재로 인해 숨지고, 그 일로 어머니는 쇠약한 몸에 우울증까지 겹쳐 세간티니를 돌볼 여력이 없었다. 그가 여섯 살 되던 해에 어머니는 죽고 말았고, 자기를 이복 누나에게 잠시 맡기면서 봄이 되면 돌아오겠다고  약속하던 아버지는 영영 돌아오지 못했다. 아버지도 이듬해에 갑작스레 세상을 떠났던 것이다. 겨울만 잘 견디면 봄이 오고, 아버지도 오리라 믿었던 어린 세간티니에게 봄은 끝내 오지 않았다.

 

 

곡절 많은 타인의 일생은 때로 내게 위안이 되기도 한다. '이런 사람도 살아냈구나.' 하는.

 

 

세간티니는 오직 한 여인만을 평생토록 온 마음을 다해 사랑했다. 그녀에게 반하여 청혼도 했고, 아이도 넷이나 두었지만, 정식 부부로 살지는 못했다. 이유는 세간티니의 국적이 분명치 않아 행정상 혼인신고가 보류되었기 때문이다. 세간티니가 살던 집은 지금은 이탈리아 땅이지만 당시에는 오스트리아에 속해 있던 아르코에 있었다. 전 생애에 걸쳐 그는 자신이 이탈리아인이라고 철석같이 믿고 있었으나 국적의 문제는 살면서 몇 번이나 그를 자잘하게 괴롭혔다. 화가로서 이름을 날렸던 1890년 무렵에는 국제전시회에 출품하기로 했는데, 행사 막바지에 이를 때까지 참가신청서가 통과되지 않았던 일도 있다. 세간티티는 이탈리아 국적을 끝내 취득하지 못했고, 사후에 그에게 국적을 부여한 나라는 결국 스위스였다

 

 

가정사에 국적 문제까지...

 

 

이런 세간티니을 맡게 된 이복 누나는 일을 하려면 이탈리아 국적으로 옮겨두는 편이 낫겠다 싶어 세간티니와 함께 오스트리아 국적을 포기하는 신청서를 냈다. 그런데 그 일로 인해 두 사람의 국적은 허공에 뜨고 만 것이다. 일곱 살에 누나의 집에서 나와 떠돌이가 된 세간티니는 읽을 줄도 쓸 줄도 모른 상태로 어른이 되었다. 그리고 30대 중반이 되어서야 겨우 글쓰기를 제대로 익혔다. 그가 글쓰기를 배워야 했던 이유는 단 하나였다. 사랑하는 한 여인에게 멋진 편지를 쓰기 위해서.

 

 

세간티니는 그래서 봄이 되면 제비꽃을 연인에게 보내며 이런 편지를 쓰곤 했단다.

 

 

눈에 잘 안 띄는 꽃이지만 받으세요. 내 사랑의 상징입니다. 봄이 와도 당신에게 배달되지 않는다면, 아마 그건 내가 살아 있는 것들 사이에 없기 때문일 겁니다.

 

 

앞으로 제비꽃을 보면 이 화가가 떠오르겠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식구들도 기억하지 않는 내 생일을 기억해주고 챙겨주는 유일한 사람인 내 친구, 가 준 선물이다.

 

그런데 친구야, 나는 결국 민화에 홀리지 못했다. 저자는 민화에 홀려 책을 쓰고, 흥분해서 이런저런 책을 잔뜩 인용해가며 민화의 매력에 대해 논하고 있지만 설득력이 많이 부족하다. 남의 책을 인용할 때는 자신이 먼저 소화시킨 다음에 자신의 언어로 풀어야 읽는 사람이 부담스럽지 않을 텐데...소화가 잘 안 된다. 책에 실린 민화는 대부분 서공임이라는 분의 그림인데 그게 또 불만스럽다. 민화박물관도 있는데 옛그림 좀 많이 소개해주면 좋았을 텐데 말이다. 옛그림 몇 점 보는 것이 구구한 설명보다 나을 수 있는데, 좀 아쉽다. 민화가 희귀해서 그랬을까? 민화라는 게 민중의 그림이라면 글도 민중이 재밌게 읽을 수 있게 써야지 싶다. 쉬운 그림을 왜 그리 어렵게 설명하는지 원.

 

하여튼 잘 읽었다. 고맙다, 친구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림에 관한 글 중 손철주는 최고다. 순전 내 생각이다. 붕붕 떠다니는 시간을 보낼 때 손철주의 글을 읽으면 마음이 차분해진다. 더불어 그림에 대한 자잘한 지식도 얻을 수 있어 읽고나면 항상 무언가 남는다.

 

이 작은 책은 버릴 게 하나도 없다. 글솜씨나 내용이나 마음에 꼭 든다. 이런 책을 읽는 건 행복이고 기쁨이다. 뭐가 행복이고 기쁨이냐고 묻는다면 직접 읽어보는 수밖에 없다. 이 책을 소개 받았다는 것에 고마움을 느낄 터이다. (오늘 내가 왜 이러지...)

 

두보의 아름다운 시 한 수 베낀다.

 

一片花飛減却春  일편화비감각춘

風飄萬點正愁人  풍표만점정수인

且看欲盡花經眼  차간욕진화경안

莫厭傷多酒入脣  막염상다주입순

 

한 조각의 꽃잎이 날려도 봄은 깎이어 나가는데

바람에 만 점 흩날리니 정녕 이내 마음 시름겹도다

또한 내 눈앞에서 떨어지는 꽃잎을 다 보아야 하니

한잔의 술이 해롭다 한들 어이 마다하리요

-<곡강이수 曲江二首>에서

 

 

이 시를 읽으니 벌써 봄이 온 것 같다.

 

우리 옛그림을 볼 때 뭔가 어리둥절하고 이해가 가지 않던 이유를 이 책을 읽고 비로소 알게 된다. 까치와 호랑이가 함께 등장하는 그림, 파초가 상징하는 것 등... 다음의 책과 함께 읽으면 동양화에 대한 조예가 좀 생기리라.

 

 

 

 

 

 

 

 

 

 

 

그러나 손철주의 책을 읽다보면 <동양화 읽는 법>과 같은 책은 딱딱하고 계몽적이어서 완독하기가 쉽지않아 사전처럼 필요할 때마다 들춰보게 된다. 이 책은 분명 동양화 읽는 법을 확실하고 분명하게 설명하고 있어 어쨌거나 요긴하긴 하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6-01-29 18: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nama님 , 좋은 저녁시간 되세요.^^

nama 2016-01-30 21:57   좋아요 1 | URL
감사합니다.

서니데이 2016-01-30 18: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nama님, 오늘도 좋은 저녁 시간 되세요.^^

nama 2016-01-30 21:58   좋아요 1 | URL
네, 오늘도 좋은 저녁 보내려고 노력할게요.^^
 

 

 

 

 

 

 

 

 

 

 

 

 

 

장점

1. 우리에게 친숙하면서도 인간적인 매력이 넘치는 유명인의 초상화를 감상하고 그들의 훌륭한 면모를 되새겨 볼 수 있다.

2. 인생 2모작을 어떻게 설계해야 할지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모범이 될 수 있다.

 

단점

1. 굳이 과거에 CEO였음을 밝히는 것과 이 책의 연관성을 찾아 볼 수 없다.

2. 무언가를 열정적으로 해야겠다는 의욕은 읽혀지나 그게 꼭 책이라는 성과물(짜집기 같은)로 보여지기를 원하는가.

 

 

이상 까칠한 책읽기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랑스 알프스 산자락에 있는 '그랑 샤르트뇌즈 Grand Chartreuse' 수도원의 일상을 다큐멘터리로 찍은 것인데, 대사가 거의 없고 상영시간이 2시간 49분이나 되어 성공적 흥행은 애초에 기대 밖이엇지만 이상하게도 한국에서 꽤 맣은 관객을 모았던 영화였다. 필립 그뢰닝Philp Groning이라는 감독이 이 수도원에 촬영을 청원한 지 무려 15년 만에 허락을 얻어 6개월을 수도사들과 함께 기거하며 혼자서 찍었다고 했다. 영화의 내용은 지루하기 짝이 없다. 동트기 전 일어나서 기도를 시작으로 오로지 성경 읽기와 쓰기, 묵상, 기도, 세 번의 미사를 드리는 수도사들의 일과를 담백하게 담고 있을 뿐이다. 수도원은 폐쇄되어 외부와 단절되고, 내부도 대화는 금기되어 침묵만이 흐른다.

.....수도원을 의미하는 영어에는 '클로이스터 Cloister'와 '모나스터리Monastery'라는 두 단어가 있는데, 본래의 뜻은 다르다. '클로이스터'는 '갇혀 있다'라는 뜻의 'Claudere'를 어원으로 가지는 반면, '혼자됨'이라는 'Moochus'를 어원으로 삼는 '모나스터리'는 그런 '클로이스터'중에서도 스스로를 독방에 가두어 침묵과 은둔의 삶을 원하는 수도원을 뜻한다. 안에서는 밖으로 나오는 문을 열 수가 없으며 음식도 작은 구멍을 통해 외부에서 공급받는다.

  1084년에 브루노라는 수도사를 비롯한 여덟 명이 그르노블 인근 프랑스 알프스 산맥 속 험준하기 짝이 없는 샤르트뢰즈까지 기어이 찾아가 스스로를 유폐시키며 시작한 수도생활이 최초의 모나스터리이며, 그들이 시발하여 만든 그랑 샤르트뢰즈가 카투샨 카르투지오, 체르토사 혹은 차터하우스로 불리며 세계 곳곳에 퍼진 봉쇄수도원의 본산이다. 이 그랑 샤르트뢰즈 수도원은 영화 촬영으로 무려 천 년의 세월이 흘러서야 처음으로 그 내부를 공개한 것이다.

 

승효상의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에 소개된 영화 <위대한 침묵>을 보았다. 위 인용문에서 '이 수도원에 촬영을 청원한 지 무려 15년 만에 허락을 얻어'라고 되어 있는데 영화 자막에 의하면 15년이 아니라 16년으로 나온다.

 

 

 

 

 

 

 

 

 

 

 

 

 

 

 

오전 7시에 출근하면 창밖은 아직 어둑하고 서서히 날이 밝아오기 시작하는데 그때가 이 영화를 보기에 가장 좋은 시간이다. 그러나 이 시간은 오래 가지 못한다. 이내 아이들이 들어오고 수업에 들어가고 잡무 처리를 해야 한다. 어디까지나 직장이니까. 더군다나 TV화면이 아닌 컴퓨터 모니터나 작은 노트북으로 영화를 보다보니 단번에 보지 못하고 끊어서 여러 번에 걸쳐서 보게 되었다.

 

솔직히 말하면 좀 지루하긴 하다. 금욕적인 수도원 생활이야 조금만 생각해도 상상할 수 있는 거니까. 울림이 없는 것은 아니나 크게 감동 받았다거나 놀라웠던 건 아니다. 물론 '무려 천 년의 세월이 흘러서야 처음으로 그 내부를 공개한 것.'이니만큼 호기심이 앞선 것은 당연하다.

 

살다보면 어느 순간 기도가 저절로 나올 때가 있다. 막막하고 불안하고 절망적일 때. 어떻게든 안 될 때. 사방이 꽉 막혀있을 때. 무언가 절절해질 때. 이런 순간에는 말(언어)이 무의미하게 느껴진다. 침묵도 일종의 언어임을 깨닫게 된다. 절망이라는 막다른 골목 앞에 이르러서야 겨우 깨닫게되는 이 '침묵'을 스스로 선택하는 사람들은 도대체 어떤 사람들일까. 그 길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은 또 무엇일까. 스스로 선택한 침묵이라서 '위대한'이라는 수식어가 붙는 것일까.

 

한편으로는 이 영화에 나오는 수도사들처럼 말년을 보내도 되겠다는 생각도 든다. 깊은 산 속의 암자건, 히말라야 오지에 있는 곰파든, 알프스의 천 년된 수도원이건. 그렇게 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한번 살아보고 싶기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