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눈 (1disc) - 할인행사
한상희 감독, 이준기 외 출연 / CJ 엔터테인먼트 / 2008년 2월
평점 :
일시품절


사실 이 영화는 daum에서 1,000원을 주고 다운로드했다.

 

한일 합작영화로 이준기와 일본 배우 미야자키 아오이가 주연을 맡았다. 어설픈 장면을 손으로 꼽으라면 열 손가락으로도 모자라지만 그래도 흥미롭게 감상했다. 우선 교토의 아름다운 명소들이 눈을 즐겁게 한다. 아라시야마에서 여주인공 아오이가 그림을 그리는 장면이나 마츠리 축제의 와중, 혼잡한 군중 속에서 이준기와 사이가 떨어진 잠깐 동안 여주인공의 말 못하는 가슴 저린 표정 등이 얼마전 읽은 일본작가 야스나리의 <고도>를 떠올리게 한다. <고도>는 교토의 사시사철과 축제, 생활상 등 교토의 거의 모든 부분이 쌍둥이 자매의 이야기를 줄거리로 펼쳐진다.

 

교토를 배경으로 한 소설이나 영화는 50%이상은 먹고 들어간다고나 할까. <고도>라는 소설이 구성이나 문체 등이 그저 그렇고 이 영화 역시 여고생이 시나리오를 썼나 싶을 정도로 어설픈데도 뭔가 아련한 구석이 남으니 말이다.

 

교토, 이 아름다운 곳을 배경으로 한 소설이나 영화가 계속 궁금해진다.

 

있었다. 교토를 배경으로 한 영화를 검색해보았더니 과연, 인생도처유상수!

http://khaosantokyo.blog.me/120146233924

 

***(2012.12.27) 진도가 모두 끝나서 방학날짜만을 간절히 기다리는 요즈음, 이 영화를 중1, 중2 아이들에게 보여줬다. 로맨스라서 여학생이 좋아할 수도 있겠다 싶었는데 오히려 남학생, 특히 중2남학생들 반응이 의외로 좋았다. 자극적인 맛에 길들여진 아이들이라 그저 그런 영화를 보여줬다가는 외면당하기 딱 알맞는 일이라 영화 선정에 자신이 없는데 참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그러나 반응이 좋아봤자 겨우 몇 명 정도 관심을 끈 것에 불과하고 대부분은 영화를 무시한 채 제멋대로 떠들었다. 그가운데 분위기가 어수선하여 소리가 잘 안들린다며 한두 명이 교탁 주변으로 몰려와서 컴퓨터 모니터를 들여다보기 시작하더니 이내 그 숫자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평소 수업 시간에 딴짓하거나 엎어져 자는 녀석이 모처럼 눈을 반짝이고 집중하는 모습을 보니 귀엽기도 했다. 틱 장애가 있는 녀석은 자리에 앉는 것보다 서서 공부하는 게 편하다며 늘 비뚤어진 자세로 책상에 상체를 엎드린채 공부를 하는데 오늘은 아예 처음부터 교탁주변으로 와서 일찌감치 자리를 잡았다. 이 녀석에게서 이런 열의를 본 것은 일 년 중 아마 처음이지 싶다. 우울증 치료를 받고 있는 또 한 녀석은 내 옆에 서서 영화를 보면서 내가 제친구라도 되는양 중얼거린다. "난 평생 솔로로 살아야지."   

 

  내용도 뻔하고 구성도 어설픈 이 영화가 아이들의 관심을 끈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도 중학교 2학년 남학생들에게.(중1교실에서는 이런 반응이 전혀 없었다.) 어설픈 청춘이 시작되는 나이라서 그럴까?

 

  영화의 초반부만 겨우 맛본 이 남학생들 왈.

"제 USB에 복사해도 될까요? 다음 시간이 과학인데, 보려구요."(A반의 범생이)

"(친구 이름을 부르며) 나 이 영화 다운받아야지."(B반의 잠꾸러기)

 

이준기가 주인공으로 나오는 이 영화를, 여학생들은 이준기라는 배우를 바라보는 것만으로, 남학생들은 머지않아 시작될 자신의 어설픈 청춘을 꿈꾸며, 이 영화에 빠져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철수의 웃는 마음 - 판화로 사람과 세상을 읽는다
이철수 지음, 박원식 엮음 / 이다미디어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역시 이철수의 판화! 도서관에서 빌려 읽어서 죄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하 : 세기말의 보헤미안 - 새롭게 만나는 아르누보의 정수
장우진 지음 / 미술문화 / 201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알폰스 무하(1860~1939)의 삶과 그림. 세월을 뛰어넘는 예술세계가 잘 설명됨. 가끔씩 나오는 오타는 옥의 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밥 말리 - 노래로 태어나 신으로 죽다
스티븐 데이비스 지음, 이경하 옮김 / 여름언덕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말리 포토 보기

 

영화 <말리>의 포스터와 책 <밥 말리>의 겉표지가 매우 비슷하다. 마치 체 게바라의 얼굴이 전형적이듯.

 

cgv에서 하루에 두 번 상영하는 이 영화를 딸과 함께 관람했다. 관람객은 20명 정도 되었을까? 재미있는 영화를 기대했던 딸내미는 다큐라는 걸 확인하고 아쉬워하고 시큰둥했다. 픽션 같은 인생을 살았던 밥 말리라는 인물 자체만으로도 흥미롭고 감동적이었는데, 10대인 딸아이는 올림픽에 대한 관심만큼도 기울이지 않았다. 스포츠라는 게, 자기 몸을 직접 몸소 움직여서 하는 게 스포츠지, 눈으로만 구경하는 게 무슨 스포츠냐는 내 지론(?)이 무시당하는 것 쯤은 괜찮은데 밥 말리 영화에 흥미를 못 느낀다니, 흠, 딸, 네가 어찌 음악을 알고 인생을 알겠노?

 

작년에 구입했던 이 책을, 그래서 겨우 손에 잡았는데, 너무나 두껍다. 밥 말리에 대한 것은, 노래 하나 만으로도 만족했는데, 거기에다 일생을 다운 다큐 영화까지 나와서 대만족이었이므로, 이 두툼한 책은 일단 만져보는 것으로 만족하기로 했다. 이래도 만족 저래도 만족, 밥 말리에겐 이유없이 너그러워진다.

 

영화는, 말리는, 내 알량한 짐작보다 대단한 인물이라는 인상을 받았다. 책 겉표지에 쓰여있는 '노래로 태어나 신으로 죽다'라는 문구를 이 영화를 통해서 비로소 이해할 수 있었다. 책을 더 이상 읽지 않아도 그대로 그 의미가 전달되었다. 감동과 아쉬움에 영화의 엔딩크레딧을 끝까지 사수한 만큼 언젠가는 완독하는 날이 오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지윤 & 이성우 - 후조 : 해금과 기타를 위한 작품집
백병동 외, 이성우 외 / 유니버설(Universal)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떻게 들어야, 몇 번을 들어야, 제대로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을까. 내 취향이 너무나 대중적이어서 그런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