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한겨레에서 발췌 편집)

- 248번째 작품을 연출하는 김 피디는 1962년 한국 최초의 사극 〈국토만리〉를 시작으로 〈용의 눈물〉, 〈여인천하〉, 〈왕의 여자〉 등을 만들었다. 〈허준〉, 〈상도〉, 〈대장금〉으로 한류 사극을 일으켜 세운 이 피디는 사극 경력 30년에 이른다.

- 시청률 경쟁으로 치면 2001년 〈상도〉(15.4%)와 〈여인천하〉(33.3%) 대결에서 김 피디가, 2003년 〈대장금〉(46.3%)과 〈왕의 여자〉(7.6%)에서 이 피디가 이겨 1승 1패를 주고받았다. 3번째 결전을 앞두고 칼끝을 벼리는 두 연출자를 만났다.

- 그는 이 작품[김재형 피디의 <왕과 나>]에 현대적 감각을 최대한 많이 불어넣었단다. 폐비 윤씨(윤소화) 역의 구혜선, 성종 역의 고주원, 정현왕후 역의 이진 등 신세대 배우들을 대거 기용하고 바이올린과 국악기를 접목한 퓨전음악을 배경음으로 깔았다. 그래도 변하지 않는 것도 있다. 인물 클로즈업을 반복하는 촬영 방식은 변함없다. “내 사인 같은 것이다. 각 인물 간의 팽팽한 긴장감을 보여주고 시선을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무엇보다 지금까지 공개되지 않았던 내시들의 삶을 본격적으로 드러냈다는 점에서 신선했다는 평이다. 시청자 유제택씨는 “수염이 나서 탈락하고 우아한 자태를 인정받아 은 12냥에 팔리는 등 자세하게 묘사된 내시 선발 과정이 흥미로웠다”고 했다.

- 허준, 이재술, 장금 같은 역사서에서 희미했던 인물에게 구체적인 형상을 불어넣었던 그가 이번에는 역사적으로 생생한 정조대왕의 이미지에 의존하는 위험을 무릅쓴다. 정조는 단지 ‘콤플렉스 없는 그의 첫번째 주인공’일 뿐만 아니라 〈한중록〉(1988)을 시작으로 수없이 많은 사극에서 이미 묘사했던 왕이다. 그러나 이 피디가 20여권의 책에서 읽어낸 정조는 “인간적으로 완벽하면서도 항상 죽음의 위협에 쫓긴 왕이었다”고 했다. “사흘에 한번씩 암살시도를 당하고 매일 잠자리를 옮기는 인간을 상상할 수 있겠는가. 살아남으려는 노력을 그려내는 것만 해도 충분히 흥미로운 소재가 되리라”는 것이다.

-  “〈허준〉에서는 의술, 〈대장금〉에서는 식문화를 그렸다. 〈서동요〉 때 과학기술을 부각해 보려다 시청률이 떨어져서 그만뒀지만, 이번에는 그림 그리는 관청, 도화서가 주무대다. 반응이 좋으면 다음에는 조선시대 화가 이야기를 해보고 싶다.” 드라마와 전통문화를 한데 땋아내리는 것이 사극의 재미이자 장점이라는 생각은 변하지 않았다.

글 남은주 기자 mifoco@hani.co.kr, 사진 정용일 기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출처: 한겨레)

1990년대 이후 겨우 명맥을 이어온 ‘마르크스 경제학’은 더욱 위축되는가?
지난 1989년부터 서울대 경제학부에서 마르크스 경제학을 가르쳐 온 김수행 교수는 이 학부의 유일한 마르크스 경제학 전공자이다.

지난달 29일 서울대 경제학부 인사기획위원회 위원 6명은 내년 2월 정년퇴임을 앞 둔 김 교수의 후임자 채용 문제를 논의했다. 참석자들에 따르면, 위원회는 내년 2월 채용하는 김 교수 후임자의 전공을 특정하지 않고 ‘경제학 일반’으로 하기로 결정했다. 서울대 경제학부는 오는 5일 전체 교수회의를 열어 방침을 최종 논의한다.

이아무개 위원은 이런 결정의 배경에 대해 “신규 채용교수 3분의1은 서울대 경제학부를 졸업하지 않은 지원자를 뽑아야 하는 규정이 내년 2월 신규채용때 적용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서울대 쪽에서 동일 전공 학부 출신으로만 신규 교수 채용을 하지 못하도록 3분의1은 다른 과나 대학 출신으로 뽑도록 하고 있다. 이 위원은 “비 서울대 경제학부 출신으로 마르크스 경제학 전공자를 뽑아야 할 경우 선택의 폭이 좁아져 아예 뽑지 못하는 사태가 벌어질 것을 우려했다”면서 “가장 훌륭한 학문적 업적을 가진 교수를 뽑기 위해 전공을 특정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에 김 교수는 “마르크스 경제학 전공자를 배제하기 위한 의도적인 결정”이라며 “누구나 지원할 수 있도록 하면 마르크스경제학 전공자가 뽑히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반박했다.

김 교수는 현재 마르크스 경제학을 전공하는 박사과정 연구자 9명을 지도하고 있다. 또 학부에서 ‘현대 마르크스 경제학’을 가르치고 있다. 김 교수는 “서울대 학부에는 ‘정치경제학 입문’과 ‘마르크스 경제학’ 등 모두 3개의 마르크스 경제학 전공선택 강의가 있는 데 수강생은 합해서 모두 200여명”이라면서 “다른 주류 경제학 강의에 비해 학생수도 많고 박사과정 연구자도 상대적으로 많은 편인데도 마르크스 경제학 전공 교수를 두지 않으려는 데 대해 이해할 수 없다”고 밝혔다.

마르크스 경제학 전공자들은 1980년 초·중반 활발하게 대학 강단에 진출했으나 1990년대 이후에는 단 2명만이 정규직 교수로 신규 채용되는 등 이 분야 학맥이 대학 강단에서 끊기고 있다. 현실 사회주의 붕괴 이후 마르크스 전공자들의 ‘전향’도 겹치면서 현재 서울대와 연세대, 전남대, 경상대 등 6개 대학만이 마르크스 경제학 전공 교수를 채용하고 있다고 경상대 정성진 교수는 밝혔다. 정 교수는 “대학 학부에서 자본주의 비판이 아니더라도 개방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기르도록 하기 위해서는 주류와 비주류 등 상반된 관점을 동시에 지도해야 하는 데 우리의 경우 ‘학문적 동종교배’가 이뤄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수행 교수는“최근 서울대 경제학부가 경제철학(박우희 교수)이나 농업경제학(정영일 교수) 경제통합(김세원 교수) 전공 교수들의 후임으로 모두 계량이나 미시·금융 등 주류 경제학 연구자들을 채용했다”면서 “서울대 경제학부가 신고전학파나 이에 근거한 계량주의 등 주류 경제학에서도 한 쪽으로 치우치고 있다”고 말했다. 

강성만 기자 sungman@hani.co.kr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람혼 2007-09-09 03: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기사, 감사드립니다.

sb 2007-09-09 07: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 제가 쓴 것도 아닌데요. 아무튼, 반갑습니다. ^^
 

그 외 참고자료

- 신용하「두레 공동체와 농악의 사회사」: 풍물굿의 생산적 철학.
- 이보형: 굿의 발전 과정을 축원-노작-걸립-연예로 구분.
- 김헌선「풍물굿에서 사물놀이까지」



5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전래 놀이 (양장)
토박이 기획, 함박누리 지음, 홍영우 그림 / 보리 / 2009년 3월
35,000원 → 31,500원(10%할인) / 마일리지 1,75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5월 14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11년 06월 19일에 저장

한국춤의 역사와 문화재
성기숙 지음 / 민속원 / 2005년 3월
25,000원 → 25,000원(0%할인) / 마일리지 1,25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5월 15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11년 06월 17일에 저장

개화기 대중예술의 꽃 기생- 매일신보에서 보는 한국근대춤 이야기 -첫번째
김영희 지음 / 민속원 / 2006년 3월
20,000원 → 20,000원(0%할인) / 마일리지 1,00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11년 06월 17일에 저장

엽서속의 기생읽기
국립민속박물관 지음 / 민속원 / 2009년 1월
11,900원 → 11,900원(0%할인) / 마일리지 59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11년 06월 17일에 저장



5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출처: 한겨레)

사물놀이의 대명사 김덕수(55·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씨가 예인 인생 50년을 되돌아보는 공연 ‘길-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을 꾸민다. 5~9일 서울 충무아트홀 대극장. (02)2232-7952.

그는 다섯살 때인 1957년 9월 남사당 단장으로 벅구놀이 명인인 부친 고 김문학의 손에 이끌려 조치원 난장에서 남사당 무동으로 데뷔하면서 예인의 길에 첫발을 들여놓았다. 그 뒤 남운용, 송순갑 등에게 장구와 쇳가락을 배웠고, 78년 서울국악예술학교 후배 최종실(54·중앙대 국악대학 타악과 교수)과 남사당 단원인 김용배(1986년 작고), 이광수(55·민족음악원 원장)와 함께 ‘사물놀이’를 창단해 국악 대중화와 세계화에 힘써왔다. 그는 올해 출간된 일본 음악교과서에 80년대부터 90년대를 빛낸 세계 음악가로 소개되기도 했다.

이번 공연은 서양 음악과 한국 전통의 가·무·악·극 및 영상을 한 데 모아 콘서트와 드라마를 결합한 형식으로 펼친다. 풍물과 버나를 비롯해 살판, 소고놀이, 탈춤, 무당춤, 민요 등 다양한 전통연희가 비보이(B-Boy) 댄스, 재즈, 힙합 등 서양의 춤, 소리와 어우러진다.

그가 94년 총체극 ‘영고’, 98년 콘서트라마 ‘사물이야기’, 2006년 ‘광대놀이’ 등으로 꾸준히 추구해온 ‘총체적인 전통연희’를 만들려는 노력의 연장이다. 그는 “기존 연희 형식에 ‘우리 것’으로 흘러들어 온 힙합과 새로운 한류로 각광받는 비보이와 함께 예술적 교감을 한 곳에 풀어내 새로운 연희의 가능성을 보여주려고 한다”고 소개했다.

이번 공연에는 김덕수씨와 그가 이끄는 사물놀이 한울림연희단이 주축이 되며, 논버벌 퍼포먼스 〈도깨비 스톰〉의 음악감독 이경섭씨(테마음악 작곡), 비보이 그룹 드리프터즈 크루(살판 및 비보잉), 안무가 겸 뮤지컬 배우 김사량씨(안무) 등이 참여한다. 또한 김덕수씨의 아들인 래퍼 수파사이즈(본명 김용훈)가 소속된 그룹 스퀘어(랩 공연)도 함께 무대에 설 예정이어서 부자가 다른 장르로 함께 어울리게 된다.

김덕수씨는 최근 다국적 프로젝트 재즈그룹 레드선과 함께 작업한 50년 기념 음반 〈길〉을 냈다. 음반 〈청배〉 이후 6년 만에 낸 이 음반에는 ‘덩덕궁’ ‘비나이다’ 등 모두 10곡을 담았다. 또 에세이 형식의 자기계발서 〈글로벌 광대 김덕수, 신명으로 세상을 두드리다〉(김영사)도 5일 나온다. 또한 13일에는 제18회 일본 후쿠오카 아시아 문화상 예술문화상 수상자로 뽑혀 일본으로 건너가 상을 받는다. 아시아 문화진흥과 상호 이해, 평화에 공헌한 인물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역대 수상자는 미술가 백남준, 영화감독 구로사와 아키라, 임권택 감독 등이다.

정상영 기자 chung@hani.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영화 원작 만화. 요즘 대세는 허영만 원수연 박인권 그리고 강풀.
가자, 종로 3가 대박만화카페로. ㅎㅎ




8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타이밍 1
강도영 지음 / 문학세계사 / 2006년 8월
10,000원 → 9,000원(10%할인) / 마일리지 500원(5% 적립)
2007년 09월 08일에 저장
구판절판
순정만화 전2권 세트
강도영 지음 / 문학세계사 / 2004년 2월
24,000원 → 21,600원(10%할인) / 마일리지 1,200원(5% 적립)
2007년 09월 08일에 저장
구판절판
26년 1
강도영 지음 / 문학세계사 / 2007년 5월
12,000원 → 10,800원(10%할인) / 마일리지 600원(5% 적립)
2007년 09월 08일에 저장
구판절판
대물 1
박인권 프로 지음 / 삼양출판사(만화) / 2004년 2월
5,000원 → 4,500원(10%할인) / 마일리지 250원(5% 적립)
2007년 09월 08일에 저장
절판


8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