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렇지만 다들 너무 이기적인 것 같다. 촛불 시위 피켓엔 “이명박 너나 미친 소 쳐먹어” ''내 인생 좀 펼쳐보려고 하니 광우병 걸렸네“ 등 내가 죽고, 내 이웃이 죽고 우리 국민이 죽는 문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조금 더 나아간다 해도 친미 정부, 자국민을 생각하지 않는 정부를 탓하는 지점에서 끊긴다. 대한민국 안에만 들어오지 않으면 된다는 생각들이다. 그러나 지구 위 어딘가에서 미친 소와 병든 닭, 그리고 오리는 여전히 아프다. 이런 병이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지, 누가 어떻게 끊어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하는 사람은 집회현장에는 거의 없었다. 좁은 우리에 꽉꽉 채워 넣어 면역력을 떨어트리고 지구상의 모든 인간이 충분히 먹을 만큼 많은 곡식을 소에게 먹여 소수가 먹을 고기를 만들고, 그도 모자라 소가 소를 먹어 병들게 만든 것. 이것이 가장 근본적인 문제인데 말이다.” (인디고잉 12호)

- 촛불을 음해하는 놈들은 말한다. “미국산 소고기 문제는 이미 노무현 정권 시절 다 진행이 된 것이고 이명박 대통령은 사인만 했다.” 그들이 그런 말을 하는 더러운 의도와는 별개로 그 말은 사실이다.

- 우리가 사회문제를 이야기할 때 늘 미궁에 빠지는 가장 큰 이유는 ‘정권’에 지나치게 집착하기 때문이다. 마치 고대 사회에서 정치란 단지 ‘왕이 누구인가’의 문제였던 것처럼 우리는 ‘정권’과 ‘대통령’에 집착한다. 그러나 오늘 우리가 살고 있는 후기 자본주의 사회의 지배자는 ‘정권’이 아니라 ‘정권을 포함하는 훨씬 더 넓고 복잡한 체제‘다.

- 한국사회는 당연히 자본화, 즉 신자유주의 세계화를 수용하는 세력과 반대하는 세력으로 나누어져야 했다. 군사파시즘 출신 세력과 민주화운동 출신의 개혁세력이 구우파와 신우파로서 우파 진영을 이루어, 좌파와 맞서는 구도로 말이다.

- 결국 한국사회는 자본화의 시절을 맞아 정작 자본화를 반대하는 세력은 배제된 채 자본화를 찬성하는 두 세력이 각각 우파와 좌파를 자임하며 싸우는 괴상한 상황이 되어버렸다.

- 물론 그런 행동은 분노의 열기에 젖은 사람들에게서 오해를 받거나 전선을 흐트러트리는 짓으로 비난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성이란, 바로 그런 상황에서 ‘오해와 불편을 무릅쓰고’ 문제의 본질을 드러내는 것이다. (김규항의 글, 일부 발췌)

-----------

- 만일 현실사회주의라는 거대한 왼쪽으로 당기는 힘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자본주의 나라들엔 복지라는 게 애당초 생겨나지 않았을 것이고, 이른바 ‘사민주의’라는 자본주의에 이식된 사회주의 시스템도 생겨나지 않았을 것이다. 한국에서 이른바 사민주의자를 자처하며 ‘사회주의의 폐기’를 주장하는 바보들은 그 맥락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 제 이념이 현실이 되길 바라는 사람이 가져야할 가장 합리적인 태도는, 나보다 왼쪽에 있는 사람들을 진정 존중하고 나보다 오른쪽에 있는 사람들을 진정 혐오하는 것이다. 그런데 그 바보들은 존중해야 할 사람들은 혐오하고 혐오해야 할 사람들에겐 보기 불편할 만큼 관대하(거나 유착되어 있)다. 그러면서 만날 제가 세상에서 제일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좌파란다.  (김규항의 글, 일부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식객 13 - 만두처럼
허영만 지음 / 김영사 / 200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소내장

- 양, 벌집양, 천엽, 홍창, 막창: 소의 위
- 곱창: 소의 소장
- 대창: 소의 대장

# 궁중떡볶이

- 소고기
- 숙주, 미나리, 표고, 당근, 양파

- 떡, 소고기 + 야채, 간장 + 계란고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식객 12 - 완벽한 음식
허영만 지음 / 김영사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빈대떡 (오두산막국수)

- 녹두+소(고사리,숙주나물,생강,마늘,돼지목살,절인배추,소금,참기름,후춧가루)
- 간장: 파, 마늘, 생강, 양파, 멸치 다린 물

- 미리 섞으면 물이 생기고 삭는다.

# 메밀묵

"메밀묵은 김치 또는 김을 얹어 먹는다. 한 입 가득 넣으면 향이 살아 입안에 퍼지는 것을 느끼는데 이것이 전부가 아니다. 뒤이어 구수하고 텁텁한 메일 고유의 맛이 재차 그 향기와 어울려 깔끔한 뒷맛을 선사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식객 11 - 도시의 수도승
허영만 지음 / 김영사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설렁탕 (벽제갈비)

- 석박지: 김장하고 남은 무, 배추를 섞어 담근 김치
- 14시간: 설렁탕 완성 시간, 소머리와 사골, 양지로 만든다.

- 이그니: 소의 머리 껍질
- 사골: 소의 다리
- 우지: 소의 기름
* 곰탕은 고기 국물, 설렁탕은 뼈 국물

# 도시의 수도승

- 하체: 레그 프레스
- 배: 크런치
- 가슴: 벤치 프레스, 인클라인 덤벨 프레스

- 에너지: 탄수화물→포도당(인슐린이 나른다)→글리코겐
- 과식: 간과 근육에 지방으로 쌓인다.
- 당뇨: 췌장에 지방이 쌓여 인슐린 분배를 포기→포도당 배출/글리코겐 부족→에너지원 부족
- 탄수화물: 밤 11시 이후의 호르몬 분비 방해→근육 생성 저해/피로 회복 저해

- 덜 짜게, 덜 맵게, 덜 달게
- 고구마, 수박, 사과 등이 좋다.
- 닭가슴살: 지방이 적고 단백질이 많다.
- 비타민E: 면역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식객 10 - 자반고등어 만들기
허영만 지음 / 김영사 / 200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간고등어
- 내륙 지방 안동의 특산물: "고등어는 살아도 썩는다."
- 숯불: 복사열인 적외선의 발산으로 생선 표면이 균일하게 구워진다.
- 손: 2마리

# 요리사의 사랑
- 달래무침: 국간장, 참기름, 깨, 식초, 설탕
- 냉이조갯국: 냉이(나중에 넣는다), 된장, 두부, 바지락, 다진 마늘, 소금
- 모시조갯국: 모시조개(국물은 종이에 거른다), 소금, 파, 홍고추

# 콩나물
- 콩이 발아할 때, 비타민과 아스파라긴산이 생성된다.

# 콩나물국밥
- 육수, 콩나물, 썰이김치

# 정어리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