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꽃을 드는 이유'

'염화시중'拈華示衆ᆞ'이심전심'以心傳心
마음과 마음이 통하고, 말을 하지 않아도 의사가 전달됨의 상황을 이르는 말이다. 곧 '마음에서 마음에 전한다'는 뜻이니 말이나 글에 의하지 않고도 할 수 있다는 말이다.


어찌 부처와 가섭만 그러하겠는가 그대와 나,
꽃 한송이, 사진한장, 문장기호 하나로도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얼굴에 번지는 미소를 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집중한다는 것'
전체를 봐야한다. 이런 저런 다양한 모습, 때론 비슷해 보이는 조건에서 어긋나는 듯 보이는 반응을 통해 나타나는 요소들을 종합하여 대상의 본질적 모습에 접근해야 한다.


지극히 당연한 말이다. 그래야 대상을 올바로 이해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오해를 불러오는 일이 없을 것이다. 하나, 이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꽃을 보는 방법으로 대부분 전체를 한눈으로 본다. 그것 만으로도 충분할 때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역으로 부분에 집중하여 보면 전체로 볼때는 전혀 알 수 없었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할 때가 많다.


사람도 이와다르지 않다. 전체를 보아야 당연하지만 그 전체자리를 보기 힘들 때에는 특정 부분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좋아보이는 모습, 대상의 장점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모습에 집중하여 대상과 교류ᆞ공감을 통해 소통한다면 대상의 본질자리로 나아가는 빠른 길이 될 수 있다.


내가 그대의 본질로 들어가기 위해 무엇에 집중하고 있는지 아시는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비종 2015-08-04 00:1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키 작은 야생화를 집중해서 볼 때, 이런 꽃이었나 싶을 정도로 놀라운 아름다움을 느낀 적이 있습니다.
사람의 경우는. .음. . 한 사람의 모든 면을 완벽하게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니까, 집중해서 볼 필요가 있다는 말씀이 맞는 것 같습니다. 어차피 나의 관점에서 내가 보고 싶은 것을 보고, 가고 싶은 길로 가기 마련이니까요.
관계의 시작은 관심이고, 어떤 면이 보인다는 것은 대상과 소통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았다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본질까지 얼마나 깊이 들어갈 수 있는 지는 언제까지 집중해서 바라보느냐에 달려있다 보면 될까요?

무진無盡 2015-08-04 01:05   좋아요 1 | URL
어디에 주목하느냐에 따라 관계성립 자체가 달라지기도 하지요. 하여, 난 상대에게 무엇이고 싶은지를 보고 확인하는 것이 되기도 합니다.
 

선을 넘는다는 것
풀잎 위에 앉은 물방울은 고요 속에 있다. 고요가 흐트러지는 순간 위태로워진다. 자칫 자신의 존재가 무너질 수도 있다. 선을 넘지 않는 균형감이 필요한 것이다.


자신만의 범주를 정해두고 들어오고 나가는 모든 것을 자신의 의지대로 통제하고 사는 이에게 이 선을 넘는다는 것은 강한 저항을 불러오기 마련이다. 그러기에 누군가의 선을 넘고자할 때는 상대의 마음상태를 잘 살펴야 한다.


앞서지도 말고 그렇다고 한발 물러서서 애써 확보한 거리를 포기해서도 않된다. 예민하기 그지없는 선의 미묘한 움직임에 촉수를 두고 스미듯 나아가야 선을 넘을 수 있다.


이때, 중요한 것이 감정의 조절이다. 오바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상대의 조그마한 변화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해석해 넘치는 감정을 조절하지 못하면 균형이 무너지고 존재가 사라질 수 있다. 애쓰는 수고로움이 과잉감정으로 상대를 도망가게해서는 안된다.


하지만, 감정의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는 말, 선을 넘지 않아야 한다는 말은 틀렸다. 이는 관계의 깊어짐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의미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서둘지 않을 것이다. 멈추는 일도 없을 것이다. 그대와 나 이와 같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대에게 줄 수 있는게 없어요"
상대를 지극히 배려하는 마음이다. 더불어 스스로 가슴에 상대를 받아들이겠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까만밤 길어진 목으로 달을 기다리는 달맞이꽃이 먼동트는 새벽 태양을 기다리는 해바라기의 마음과도 다르지않다.

'주는 게 없어도 받는 게 많다는 것이 가능하다' 는 이 속 깊은 정은 시간의 겹이 쌓여 깊어진 마음일 때 비로소 알게 된다.

"꽃에 물든 마음만 남았어라
전부 버렸다고 생각한 이 몸속에"
-사이교

이제, "그대에게 줄 수 있는게 없어요"라고 안타까워하는 그대 마음자리 깊은 곳에는 꽃물든 깊은 정으로 가득채워질 일만 남은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과정過程에 맡기다

봄ᆞ여름ᆞ가을ᆞ겨울, 사계절, 12달, 365일을 비, 눈, 바람, 햇볕ᆢ등 자연을 구성하는 이 모두의 수고로움으로 준비해서 꽃을 피웠다. 그러니 어떤 꽃이든 귀하지 않을리 있겠는가. 그러기에 무슨꽃이든 자세하게 들여다보고 눈을 맞춘다. 눈이 맞아야 그때부터 서로의 교감이 시작된다.


사람과 사람이 관계 맺는 일도 마찬가지다. 사계절을 맨몸으로 맞이하는 수고로움이 꽃을 피우듯 각기 다른 우주를 가슴에 품고 있는 그 사람과 교감해 가는 일에 어찌 순조롭기만을 기대하겠는가? 눈, 비, 바람 맞으며 울고 웃고 때론 슬퍼하고 외롭기도 한 수고로움의 시간이 지나야 비로소 관계가 무르익고 깊어진다.


꽃피고 열매 맺기 위해 이 수고로움의 시간은 필수과정이다. 필수과정이라고는 하지만 이를 바라보는 시각은 각기 다를 수 있다. 그러니 자신의 처지에서 준비된 만큼씩만 상대를 향해 마음열어 나아간다면 이 관계는 성숙한 열매를 맺을 것이다. 그것이 열매가 무엇이든ᆢ


하여, 이 수고로움의 과정을 민낯으로 함께 걸어가는 일, 그대와 내가 해야할 숙명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