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세트 - 전2권 - 개정판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핵무기개발과 관련된 소설이 현실감이 이토록 생생하게 살아있는 이유는 뭘까. 한반도를 둘러 싼 강자들의 힘의 논리에 어쩌지 못하는 우리의 신세 때문이 아닐까. 요즘은 국력이 많이 신장 되어서 목소리를 낼 수 있지만 아직도 힘의 부족을 느낀다. 우리가 길러야 할 힘은 뭘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세트 - 전2권 - 개정판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힘의 논리와 평화의 논리에서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건~~

 

 

오래 전에 읽은 책이다.

천재 재미 핵물리학자 이휘소 박사의 이야기를 소설로 구성했다고 해서 화제가 된 책이다.

 

김진명 작가를 처음 알게 된 책이다.

저자의 매력적인 글 솜씨에 빨려서 후~딱 읽었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우리도 핵무기를 보유하기 위해 노력했구나 싶어서 충격을 받으며 긴장하며 읽었던 기억이 난다.

 

 

 

 

어느 날, 경찰 출입기자인 권순범 기자에게 최영수 경찰청 특수부장은 북악 스카이웨이에서 10년 전에 일어 난 뺑소니 사고를 이야기 한다. 그는 사건의 흥미를 느끼며 교도소에 있는 조폭두목 박성길을 찾아 가고... 박성길은 누군가의 사주를 받고 했는데 지금까지도 꺼림칙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고 했다. 꼭 공무원이 깡패를 시켜서 선량한 시민을 죽인 느낌이 든다며.

북악 스카이웨이 근처에서 신원미상의 남자를 살해하고 교통사고로 위장한 이유는 무엇일까. 누가 그런 일을 사주 했을까.

 

 

죽은 사람은 재미 핵물리학자로서 미국 핵물리학계에서 최고의 실력을 자랑하는 인물인 이용후 박사...... 

박대통령의 부탁을 몰래 받고 미국의 눈을 피해 일본을 거쳐서 한국으로 비밀리에 귀국해서 핵연구에 가담하게 된다.

 

1980년 8월 15일 지하 핵실험을 계획하고 그 핵실험에 대하여 박대통령과 상의하러 삼원각으로 향하던 중 살해되었던 것이다. 

 

그 당시 한미 양국은 핵 개발에 있어서 서로 반대 입장이었다. 그러나 박대통령은 비밀리에라도 핵무기를 보유해야 힘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고 강행하게 되고.....보이지 않는 대립각을 세우는 한국과 미국......

이용후가 미국을 몰래 떠나자 결국 미국은 이 용후를 죽인 뒤, 박정희 정부에 핵 개발 중지 압력을 가한다.

 

본능적인 기자 직감에 상당한 흥미를 느끼며 진실을 파헤치던 어느 날, 권순범 기자는 이용후에게 딸(이미현)이 있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하버드에서 일하고 있는 이미현은 아버지가 죽기 한 달 전 자신에게 보낸 시계를 권순범 기자에게 준다. 그 시계 안에는 스위스 은행 계좌번호가 적힌 작은 쪽지가 들어 있고..... 

 

스위스 계좌에서 3천5백만 달러를 인출해간 기록을 발견하고 인출한 이를 만나러 프랑스에 간다. 그는 1978년 여름 이용후가 인도정부로부터 플루토늄을 살 수 있도록 도와주었고 그 플루토늄은 한국에 검은 코끼리 상에 봉한 채 보내졌다는 사실을 전한다.

 

 

권순범은 자신이 알아낸 진실들을 대통령에게 알리기 위해 대통령을 만나게 되고, 청와대 별관 뒤 연못가에서 검은 코끼리 석상을 발견하게 된다. 

 

이 사실을 안 대통령은 북한은 핵기술력을, 남한은 핵기술력과 플루토늄을 제공하는 조건으로 북한과 비밀리에 핵합작을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비밀작전명을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라고 명명한다.

 

그 후 국제원자력기구와 유엔 안보리의 대북 핵사찰을 지혜롭게 넘긴다. 물론 남북 핵 합작은 순조롭게 진행되어 핵 개발을 완성하기에 이른다.

 

 

핵무기 보유가 가능할 뻔 했던 이야기, 결국 강대국의 힘의 논리에 밀려서 불가능하게 된 이야기.... 그 과정에서 천재 물리학자의 의문의 죽음... 너무도 가슴 아픈 이야기다.

 

 

 

과연 한반도의 핵포기가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걸까, 아니면 강대국들의 힘의 논리일까...

사실 말 안하고 있을 뿐이다. 힘의 논리라는 것을,,,, 전쟁은 없어야 하고 무기도 없으면 더욱 좋겠고 그래서 우리는 암묵적으로 동의하고 있는 게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 본다.

 

역사의식을 가지고 글을 쓰는 김진명 작가의 글은 늘 재미와 감동을 주어서 다음 작품을 기대하게 한다.

 

 

 

1995년에 정보석, 황신혜 주연의 영화로도 나온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http://movie.naver.com/movie/bi/mi/detail.nhn?code=17165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봄덕 2013-06-30 20: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핵무기개발과 관련된 소설이 현실감이 이토록 생생하게 살아있는 이유는 뭘까. 한반도를 둘러 싼 강자들의 힘의 논리에 어쩌지 못하는 우리의 신세 때문이 아닐까. 요즘은 국력이 많이 신장 되어서 목소리를 낼 수 있지만 아직도 힘의 부족을 느낀다. 우리가 길러야 할 힘은 뭘까...
 
우리는 함께 늙어갈 것이다
카미유 드 페레티 지음, 윤미연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도 금세 나이 들겠죠. 화살보다 빠른 세월이니까....노년의 삶을 한번 돌아본 계기였어요. 하루 동안의 일인데도 인생을 담아내서 감동인 소설입니다.^^ 나이 든다는 게 쓸쓸한 것만은 아니겠죠. 청춘과 똑 같음에 흥미로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함께 늙어갈 것이다
카미유 드 페레티 지음, 윤미연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도 금세 나이 들겠죠. 화살보다 빠른 세월이니까....노년의 삶을 한번 돌아본 계기였어요. 하루 동안의 일인데도 인생을 담아내서 감동인 소설입니다.^^ 나이 든다는 게 쓸쓸한 것만은 아니겠죠. 청춘과 똑 같음에 흥미로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함께 늙어갈 것이다
카미유 드 페레티 지음, 윤미연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도 금세 나이 들겠죠. 화살보다 빠른 세월이니까....노년의 삶을 한번 돌아본 계기였어요. 하루 동안의 일인데도 인생을 담아내서 감동인 소설입니다.^^ 나이 든다는 게 쓸쓸한 것만은 아니겠죠. 청춘과 똑 같음에 흥미로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