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스포츠의 본질 - 제례의식에서 기록추구로 나남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서양편 228
앨런 거트만 지음, 송형석 옮김 / 나남출판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근대스포츠의 독자적인 특징 일곱 가지는 대비를 통해 그 윤곽이 분명하게 드러날 것이다. 이 일곱 가지 특징이 각기 함축하고 있는 바와 서로 중복되는 내용, 그리고 상호간의 영향 정도 등을 분명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층 세밀한 분석이 요구된다... 근대 스포츠의 일곱 가지 특성들은 1) 세속성, 2) 평등, 3) 전문화, 4) 합리화, 5) 관료화, 6) 계량화, 7) 기록 추구 등이다._ 앨런 거트만, <근대스포츠의 본질>, p42

 

 앨런 거트만(Allen Guttmann)는 <근대스포츠의 본질 From Ritual to Record: The Nature of Modern Sports>에서 자본주의, 종교(신교)와 결합한 근대스포츠가 갖는 특징을 위와 같이 7가지로 정리한다. 저자의 분석에 의하면 이러한 근대스포츠의 특징을 결코 분리된 것이 아니다. 마치, 우리나라 재벌들의 지배구조와 같이 서로 얽혀있듯 이들은 서로를 유지시키고, 발달시키며 근대스포츠를 자체가 되어왔다.


 이 일곱 가지 특징들은 논리적으로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근대의 기록추구는 계량화를 토대로 하며, 계량화는 합리화에 크게 의존한다. 전문적으로 훈련받지 못한 신체조건으로 새로운 기록을 세울 수 있는 가능성은 대단히 희박하다. 전문화는 합리화된 훈련을 가능하게 만들어준다. 전문화와 합리화는 재차 관료조직을 필요로 한다. 그와 같은 조직 없이 세계선수권대회의 개최나 기록의 인준, 또는 용구와 규칙을 세계적으로 표준화시키는 작업은 불가능하다. 기록추구는 그 이외에도 평등을 전제로 한다._ 앨런 거트만, <근대스포츠의 본질>, p99 


 거트만은 본문에서 이러한 특징을 갖는 근대스포츠가 수학적, 경험적, 합리주의적 세계관의 토대 위에서 세워졌음을 말한다. 근대의 산물을 종교, 과학, 자본주의, 제국주의라고 한다면 스포츠의 전통적 성격인 제례의식은 근대스포츠 자체가 되었고, 과학은 정량화에 기여하면서 기록추구를 가능케 했고, 자본주의를 바탕으로 조직화가 가능했다. 제국주의는 아래 본문에서 직접 인용하자. 결국, 근대스포츠는 근대화의 전형임을 확인하게 된다.


 근대의 수학적, 경험적, 합리주의적 세계관의 이면이 낭만주의에서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낭만주의의 스포츠 적대성은 이미 근대스포츠의 발생에서 근대적 세계관이 담당한 역할에서 언급했다. 근대스포츠의 뿌리를 찾는 과정에서 우리는 산업혁명, 자본주의, 신교 같은 추상들로부터 더욱 추상적인 일반화로, 즉 수학적, 경험적, 합리적 세계관으로 거슬러 올라가게 되었다.(p144)... 스포츠는 원시적인 것이며 동시에 고도로 근대적인 것이다._ 앨런 거트만, <근대스포츠의 본질>, p145


 스포츠의 상업화만이 유일한 문제가 아니다. 스포츠는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 지배계층이 민족주의, 군국주의, 제국주의의 도움을 받아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교화수단이 되었다.._ 앨런 거트만, <근대스포츠의 본질>, p109   


 우리나라 스포츠팬을 제외한 일반에게 그다지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얼마 전 유러피안 슈퍼 리그( ESL (European Super League) 의 출범이 큰 화제가 되었다. 코로나 시대 이후 재정이 악화된 유럽 명문 구단들과 미국 대자본 J.P 모건 체이스(J.P  Morgan Chase)의 공통된 이해가 모여 만들려 했던 리그가 유럽 슈퍼 리그다. 그렇지만, 아래 기사에서 보듯 결국 없던 일이 될 모양새다.


관련기사 :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992101.html


htt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56826470


 위의 기사에서도 볼 수 있듯 이러한 해프닝은 미국 대자본들과 유럽인들간의 스포츠(특히 클럽)에 대한 인식 차이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축구 클럽(club)을 하나의 비즈니스 모델로 생각하는 미국 대자본들은 클럽으로 연결된 유럽 스포츠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는 점이 하나의 원인이 될 것이다. 중세 봉건제의 유산이 지금도 남아있는 유럽에게 클럽이 갖는 의미는 상상 이상이다. 이를 이해하지 못한 결과가 J.P 모건의 사과로 이어졌다고 하겠다. 그렇다면, 유럽 명문 구단

이 지탄받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그것은 '공정하지 못한 룰(rule)'의 수용 때문일 것이다. 


  19세기 초 근대스포츠는 자본주의와 마찬가지로 진보적인 힘의 원천이었다. 그러나 통제를 벗어난 자본주의의 지속적 발달은 중세사회보다 더 비인간적인 노동계급 착취로 귀결되었다. 초기자본주의에서 스포츠는 점점 더 보수적이 되었으며, 그에 따라 종종 반동적인 역할을 맡게 되었다. 우리는 이러한 경향을 다른 무엇보다 자본주의적 스포츠의 강력한 상업화 경향에서 찾을 수 있다.(p108)... 축구공이나 스키, 요트와 같은 스포츠용구 생산자와 스포츠시설 시공업자들은 오래 전부터 미국과 유럽 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대기업과 백만장자들은 임의로 프로팀을 사거나 판다. 팀들은 미국이라는 큰 놀이판 위에서 움직이는 장기 말인 셈이다._ 앨런 거트만, <근대스포츠의 본질>, p95  


 미국의 스포츠는 주로 학교와 대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독일의 스포츠를 특징짓는 클럽 및 협회체계가 결여되었다. 물론 둥구권국가들에 있는 직장스포츠도 없다... 이런 맥락에서 400만 명이 넘는 독일 축구클럽 회원들은 미국의 성인들에 비해 조직 측면에서 큰 장점을 가진다고 말할 수 있다._ 앨런 거트만, <근대스포츠의 본질>, p215  


  유럽 슈퍼 리그 에는 20개 팀이 참가한다. 그 중 창립 구단 15개 팀과 매년 5개 구단이 새로 선정되어 경기를 치루는데, 창립 구단은 성적과 관계없이 매년 참가를 보장받게 된다. 이러한 슈퍼 리그 방식은 유엔(UN) 하의 국제 질서를 떠올리게 한다. 상임이사국 5개국은 체제 내에서 지속적으로 그 자리를 유지하고 비상임 이사국들은 돌아가며 선정되는 UN의 방식을 기존 팬들은 납득하지 못했고, 대회가 무산되는 가장 큰 원인이 되었다. 능력에 따라 유럽 하부 리그의 팀도 언젠가는 챔피언스 리그 우승도 가능하다는 희망이 있는 리그. 이 때문에 프리미어 리그, 분데스리가, 라리가 등에 소속되지 않은 무명 선수들도 미래의 메시가 될 수 있다는 꿈을 안고 땀을 흘릴 수 있었는데, 슈퍼 리그는 이를 인정하지 않은 것이다. 그리고, 유럽 팬들은 이러한 리그를 받아들일 수 없었다. 이를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이 맨체스터 시티의 명장 과르디올라감독의 인터뷰 "It's not a sport if success is already guaranteed"라 생각된다.



 전형적인 근대스포츠인 축구와 현대 자본주의가 철저하게 작용되는 유럽 축구 리그.  '유럽 슈퍼 리그' 사건은 근대 스포츠 특징인 '평등'과 '관료화'가 충돌한 사건이자, 이들이 지태하던 자본주의 시장 질서를 대신할 포스트 코로나 체제의 서막을 알린 사건이라 여겨진다. 거대 자본의 힘으로 바뀌어질 새로운 신세계. 이러한 변화에 대해 '공정함'을 이유로 거부한 유럽 축구팬들의 모습 속에서 새로운 희망을 발견한다. 동시에, 자본화되고 있는 스포츠의 본질이 사람임을 다시금 깨달으며 리뷰를 갈무리한다.


PS. 미국에서 인기있는 스포츠인 야구, 미식축구의 본질에 대해 설명한 부분은 밑줄긋기로 넘긴다...   

야구와 직선으로만 운동하는 다른 단체스포츠 사이에 또 하나의 중요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야구에서 주자는 공을 성공적으로 때린 후에 다시 홈으로 돌아올 때까지 루에서 루로 달린다. 그는 달리면서 한 바퀴의 원을 그린다. 직선과 원은 역사와 신화의 가장 오래딘 상징이다. 이와 같은 움직임을 토대로 야구는 영원한 회귀를 재현하는 반면, 다른 구기경기에서는 이와는 정반대로 시간적 일회성이 반영된다. - P174

미식축구가 신체적 폭력의 표현이라는 점은 너무나도 명백하다. 이 경기는 의도적 충돌과 격한 공격형식 속에서 규칙에 부합하는 공격적인 행동을 특징으로 한다.(p181)... "접촉"은 선수들뿐만 아니라 관중들에게도, 그 사람이 고등교육을 받았건 받지 않았던 불문하고, 이 경기의 본질이며, 추측건대 환상이기까지 한 요소인 것이다. 미식축구에서는 통제되고, 규율된 폭력이 나타난다.(Nitschke,Wells,1973,253) - P18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드립백 니카라과 라 라구나 - 10g, 5개입
알라딘 커피 팩토리 / 2021년 7월
평점 :
품절


대체로 배고프면 먹고, 목마르면 마시고, 졸릴 때 커피를 마시되 달달한 것을 원할 때는 라떼를, 깔끔하게 마시고 싶을 때는 아메리카노를 찾는 편이라 맛을 평가할 자격이 없다고 스스로를 생각하지만...

드립백을 열었을 때 맡았던 부드러운 향이 한 모금 들어오면서 혀 끝에서 재현되고, 재현된 향은 입 안에 가득하게 퍼지면서 기분 좋은 들림을 안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유 국가가 리버럴한 정신과 리버럴한 태도를 지닌 시민들을 필요로 한다는 것은 논쟁의 여지가 없는 사실이지만, 그 사실이 리버럴한 정치적 강령의 기초로서 충분하지는 않다. 자유주의의 정치적 미래는 오늘날 자유와 평등 간의 긴장, 개인의 자기 결정과 사회적 형평성의 제도적 보장 간의 긴장, 법치국가와 복지국가 간의 긴장이 민주주의 정치 체계 속에서 어느 정도로 균형을 이룰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 P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지」와 「아리랑」. 한국 근대시기를 다룬 두 작품에서 다른 느낌을 받는다. 「아리랑」에서는 시대의 흐름에 떠밀려 가는 사람들의 모습이 그려진다면, 「토지」에서는 등장인물에 주름살처럼 세월이 새겨진다. 마치 거시세계와 미시세계를 보는 듯 다른 관점의 두 작품을 통해 민족의 아픈 시기를 바라볼 수 있다는 사실은 아픔과는 결이 다른 축복이라 여겨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평화의 원原개념에는 나중에 더 뚜렷해지고 서로 대조를 이루게 되는 미세한 차이를 지닌 두 가지 의미가 이미 포함되어 있다.(p12)... 즉 결정적인 것은 평화의 상태를 '사랑하다'로부터 이해해야 하는지 아니면 '보호하다'로부터 이해해야 하는지가 차이를 유발한다는 것이다. 이에 상응해서 '평화'는 어떤 때에는 생각과 행동에 있어서의 상호 결속 상태로, 또 어떤 때는 단순한 비폭력 상태로 파악될 수 있다는 말이다._ 라인하르트 코젤렉,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5 : 평화>, p13



 라인하르트 코젤렉(Reinhart Koselleck, 1923 ~ 2006)의 개념사 사전 5번째 주제는 평화(friede)다. 개념사 사전에서는 이미 '평화'라는 단어의 어원 안에 담긴 서로 다른 의미가 후대에 미칠 영향에 대해 어느 정도 암시한다. '사랑한다'의 개념 안에 담긴 박애(博愛)의 이미지가 중세 기독교 사회 사상과 임마누엘 칸트( Immanuel Kant, 1724 ~1804)의 영구평화론(Zum ewigen Frieden)에 영향을 미쳤다면, '보호하다'는 외부로부터 구성원을 안전하게 한다는 의미로 홉스(Thomas Hobbes, 1588~1679)의 사상과 연결된다. 

 

아우구스티누스가 "현세적 평화"를 이 속세에서 도달 가능한 모든 평화로 파악하고, "영원한 평화" 즉 피안의 완전성이라는 시간을 초월한 평화의 상태와 대비시켰었다면, 적어도 중세 절정기 이래 사람들은 그것을 세속적 평화, 즉 "자연인 homines naturales"으로서의 인간들이 서로서로 유지해왔고 또 유지해야 하는 평화로 알고 있었다. 그에 대한 반대 개념으로서 대립하고 있는 것이 "영적인 평화 pax spitualis"인데, 이는 "영적인 인간 homines spirituales"으로서 사람들이 "신의 평화 속에서" 다 같이 함께 살았던 종교상의 평화다._ 라인하르트 코젤렉,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5 : 평화>, p28


 그렇지만, 사실 '국가에 절대 권력을 부여하여 구성원들을 불안과 공포로부터 보호한다'는 홉스의 사상 역시 기원을 따라가다 보면 중세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이의 연장선상에서 바라봤을 때 우리는 오늘날 '팍스 아메리카나(pax americana)'의 의미를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리라.


  서구 중세는 프리트리히 헤르의 표현을 빌리자면 "닫힌" 평화라는 관념을 넘어서지 못했다. 말이 났으니 말이지만 이 사실은 서구의 평화 개념과 '법'과 '정의' 간의 길밀한 결합을 생각해보면 쉽게 이해가 될 것이다._ 라인하르트 코젤렉,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5 : 평화>, p37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5 : 평화>에서는 이처럼 게르만 어의 기원에 담긴 모순된 의미가 후대에 어떻게 변용되어 왔는가를 그려낸다. 본문에는 나오지 않지만, 개인적으로 다음의 <신약성경> <루카복음>의 구절을 추가하고 싶다.


 내가 세상에 평화를 주러 왔다고 생각하느냐? 아니다.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오히려 분열을 일으키러 왔다. 이제부터는 한 집안의 다섯 식구가 서로 갈라져, 세 사람이 두 사람에게 맞서고 두 사람이 세 사람에게 맞설 것이다.(루카 12:51) 


 그들이 이러한 이야기를 하고 있을 때 예수님께서 그들 가운데에 서시어, "평화가 너희와 함께!"하고 그들에게 말씀하셨다.(루카 24:36)


 같은 복음서 내에서 충돌하는 두 문장에 대해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다른 한 편의 페이퍼가 될 것이기에 더 깊이 들어가는 것은 멈추자. 다만, 기독교 사상 안에 담긴 평화와 분열의 이미지는 해석 여부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만 생각해 두자. 일반적으로 우리는 평화가 전쟁보다 낫다고 생각한다. 전반적으로 동의하지만, 다르게 생각해 볼 수도 있지 않을까.


 '평화'라고 하는 안정적 상태가 불평등한 관계에서 맺어진 것이었다고 한다면, 불평등한 관계를 강요당한 입장에서는 오히려 '전쟁'이 더 발전적인 관계라 볼 수도 있지 않을까. 또한, '전쟁은 피 흘리는 정치이고 정치는 피 흘리지 않는 전쟁'이라지만, 육체적으로 힘든 분열 사태와 정신적으로 힘든 분열 상태 중 우리가 어느 한 쪽을 일방적으로 우위(優位)에 있다 말할 수는 없는 것은 아닐런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극단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전쟁, 혁명 등에 대해 무조건적인 찬성을 할 수 없는 이유 또한 그것을 행하는 주체(主體)가 심판자의 입장에서 모든 것을 결정짓기 때문이 아닐까.... 이런 생각할 거리들은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의 주제를 '정의'와 '독재'라는 다음 주제로 이끈다...








 



신학이 해 놓은 pax 에 대한 해석은 중대한 결과들을 낳았다. 언급했던 것처럼 게르만의 평화 개념이 원래 사회생활에 있어서의 어떤 상황을 나타냈다면, 기독교 신학은 간단히 표현해 pax를 우주적 질서의 원칙으로 파악했다... pax가 인간에게 적용되는 한, 인간은 "사회적 존재"라기보다는 "도덕적 존재"로서의 관점에 서게 되었다._ 라인하르트 코젤렉,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5 : 평화> - P14

홉스에게 ‘시민 평화‘의 본성이란 바로 이렇게 평화와 공정성을 분리하는 데 있었다. 여기서 공정성은 진리의 개념과 아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었다. 평화, 공정성 그리고 진리의 결합 부분이 바로 종파적 시민 전쟁이 불붙었던 지점이기도 하다. 이에 대해 홉스는 "권력도 진리도 평화를 가져다 주지 않는다 Authoritas non veritas facit pacem"라고 대답했는데, 이것은 그의 말들 가운데 가장 영향력 있는 말 하나를 약간 바꿔 표현한 것이다._ 라인하르트 코젤렉,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5 : 평화> - P46

칸트에게는 내부의 ‘올바른‘ 질서 없이는 외부의 어떤 평화도 없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였다.... 보댕, 홉스 그리고 푸펜도르프 같은 국가 이론가들이 신중하고 명확하게 설정해 놓은 절대적 국내 평화와 불안한 국가 간 평화 사이의 경계선은 평화를 이성의 전래적 명령으로 이해함에 따라 희미해졌다. "이제 우리 마음 속의 도덕적/실천적 이성이 저항할 수 없는 거부권을 표명한다. 자연 상태의 나와 너 사이에도, 국가들로서의 우리 사이에도 전쟁이 있어서는 안 된다."._ 라인하르트 코젤렉,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5 : 평화> - P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