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91
미셸 투르니에 지음, 김화영 옮김 / 민음사 / 200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셸 트루니에의 소설,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을 이제 다 읽었다. 서울 출장가면서 좀 지루한 시간을 진득하게 읽어 보려고 빌렸던 소설인데, 앞부분은 정말 좀 지루했지만, 방드르디의 출현 이후로는 재미있기도 하다.

미셸 트루니에의 발칙한 상상력이 한껏 돋보이는 신화적인 이야기 세계로 들어갈 수 있다.

대니얼 데포의 <로빈슨 크루소>는 인간의 자연에 대한 승리, 뭐 이런 것이 주제다.

그렇지만, 미셸의 로빈슨은 <승리>를 해 보려고 혼자서 총독도 되고 목사도 되고 농부도 되어 보지만, 결국 그 무인도와 사랑을 나눈다. 정신적인 사랑 말고, 육체적인 사랑을...

자연과 나누는 사랑은 일견 우습게 보이지만, 로빈슨이 자연에 동화되어가는 모습을 가장 잘 드러낸 방법이 아닐까 싶다. 요즘 들어서야 옛날 것을 찾고, 전통적 생활의 과학성 운운하는 꼴을 보면 좀 웃기기도 하지만, 암튼 로빈슨은 자연과 동침을 과감하게 시작한 것이다.

그렇지만 방드르디는 원래 자연에서 나온 존재로서, 로빈슨의 개와 금세 마음을 나눌 수 있고, 새끼 독수리에게 구더기를 씹어 그 즙을 먹일 만큼 자연 속의 삶을 누리고 있다. 그 방드르디는 결국 자연을 버리고 인간 세상을 향해 흰 새를 타고 떠나 버린다.

그  화이트 버드 호의 수부였던 죄디는 다시 지긋지긋한 지옥을 떠나서 무인도에 남게 되고...

로빈슨과 방드르디는 서양과 동양이기도 하고, 현대와 미래이기도 하다.
신화 속에서 어울린 서양과 동양은 개척과 미개의 교점에서 서로 엇갈리기도 하지만, 그 투쟁 속에서 잃은 것을 찾아 나서는 적극성을 보이기도 한다.

자기들이 먹은 밥그릇, 포크까지 쓰레기통에 넣는다는 서양의 문명 세계가 그리워 그리워 날이면 날마다 유학을 떠나고 기러기 아빠들은 몸을 곯아 가지만, 또 가난에 찌들린 동양의 눈동자는 그 정신을 잃어 버리고 육체를 팔기도 하는 것이 어리석은 인간들의 세상이다.

방드르디, 그가 도달한 곳은 태평양의 끝일까? 아니면 시작인 것일까?

인간이 말하는 끝이란 것이 과연 세상에 존재하기나 하는 것일까? 소설을 읽을 때는 좀 지겹고, 일어나는 사건들이 좀 웃기고 했는데, 다 읽고 나니 별 잡다한 생각들이 사로잡는, 역시 생각하게 만드는 소설인 듯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연 2006-11-13 15: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예전에 읽었을 때 제겐 상당한 충격이었죠. 생각 뒤집기라고 해야 하는 건지.

글샘 2006-11-14 08: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상당히 철학적인 사유의 공간이 넓은 소설이더군요.
미셸 투르니에가 원래 좀 그런 경향이 있지만...
 
브로크백 마운틴
애니 프루 지음, 조동섭 옮김 / Media2.0(미디어 2.0)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브로크백 마운틴을 읽으면서, 작가의 이름이 참 여성스럽다고 생각했다.

이런 글을 여성이 쓸 수 있다는 생각을 해 본 적이 없어서 그랬는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이 글은 내가 읽은 책들 중에서 가장 남성스런 소재와 우악살스런 주제와 뻣뻣한 남성들의 이야기가 와이오밍이라는 먼지나는 건조 지역에서 펼쳐지는 이야기였던 것 같다.

이른바 서부라는 곳이 이런 황야였으리라. 먼지 냄새 풀풀 풍기는 사막과 언덕에서 소, 말, 양, 개 등의 가축들과 땀냄새 푹푹 나는 남자들이 엮어 내는 이야기들은 단순하다면 단순한 매력을 가진다.

그렇지만, 이 책을 관통하여 애니 프루가 보여주는 이야기의 섬세한 선은 '추억' 또는 '기억'에 맞닿는 선이다. 아슴푸레하게 떠올랐다가 어느 순간 발화점을 넘어선 듯이 화르륵 전율로 불타오르는 정신의 도화선.

건조할 정도로 푸석거리는 문체를 타고 쿨럭거리며 다가오는 보잘것 없는 인간들의 추억들은 그 글을 읽는 우리들에게 일정 정도의 거리를 주는 것처럼 보이지만, 오히려 거리감이 주는 아스라함이 그미의 글이 갖는 힘일까? 어느 순간 그 거리를 타고 넘어와 우리 심장 속의 핏줄 안으로 먼지 냄새 가득 풍기는 뒷맛을 남기고, 어느새 글을 다시 메마르고 건조하게도 끝나 버린다.

눈물을 펑펑 흘린다거나,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가 애절하게 뒤엉킨다거나 하는 자잘한 이야기가 아니다. 이 이야기들은 단편이어서 금세 읽을 수 있는 이야기들이지만, 그 속에 담긴 인생들은 두고두고 REM 수면 상태에서 떠오르는 첫사랑 또는 동경의 기억처럼 아슴프레하게 떠오를 추억들을 강렬하게 담고 있는 것이다.

브로크백 마운틴이란 영화가 멋진 것이었다는 이야기는 들었다. 물론 소설에서 모티프를 따갔을 뿐, 소설과 영화는 전혀 다를 수도 있다. 그렇지만, 와이오밍주의 모래가 서걱거리는 남자들의 이야기를 화들짝 놀라게 뜨거운 전율로 느끼기에는 소설이 나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장 작은 영혼
엘리자베스 마셜 토마스 지음, 이은선 옮김 / 홍익 / 1997년 2월
평점 :
절판


세상의 모든 딸들을 썼다는 작가의 우화소설이다.

양떼를 지키는 개와 염소는 뛰어난 삶의 지혜를 간직한 존재들이다. 그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은 세상이 존재하는 그대로이다. 인간처럼 제 머릿속에서 맘대로 조작하고 변형시켜 추상화시킨 것만을 세상이라고 착각하며 살지 않는 그들은 인간보다 훨씬 넓은 세계를 보고 냄새 맡고 듣고 느낀다.

보잘것 없는 인간의 감각을 우리는 얼마나 과장해서 느끼고 있는 것일지...

인간은 만물의 척도라는 둥, 만물의 영장이라는 둥, 인간을 대단한 존재인 것처럼 여기는 사소한 별 지구에서 신비한 빛과 함께 신비로운 향기와 함께 나타난 아기 예수님의 존재를 모든 감각으로 느끼게 되는 짐승들에 비하면, 그 아기 예수를 경배하러 가는 박사들조차 얼마나 무식하며 얼마나 권위적이고, 자기 중심적인지...

인류학자의 눈으로 바라본 여성의 문제를 소설로 써서 유명해진 저자는, 이제 과연 인류학의 주제인 <인류>는 얼마만한 영혼을 가진 존재인지를 에둘러 우화로 적어 낸다.

지혜로운 염소와, 카리스마 넘치는 개의 영혼을 살핀다면 온갖가지 불결하고 쾨쾨한 냄새로 가득한 추악한 인간의 세상에서 굴러먹는 인간의 영혼은 그 질량은 21그램일는지 몰라도, 그 가치는 너무도 보잘것 없는 것일는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햇빛사냥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 2
J.M.바스콘셀로스 지음, 박원복 옮김, 김효진 그림 / 동녘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를 읽으면서, 제제의 순수함에 목이 메인 독자들이 많았으리라... 우리도 불과 30년 전만 해도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던 나라였으니, 나이든 독자들도 제제와 눈물을 흘렸을 것이다.

포르투갈어를 쓰는 머나먼 브라질의 꼬마, 제제와 거의 지구 반대편에 있는 한반도의 꼬마, 아홉살 인생의 여민이는 많은 부분에서 비슷하다. 여민이가 좀더 영악한 차이가 있다면 있을까?

청소년이 된 제제의 이야기는 별로 재미가 없다.

동심에 심어주었던 라임오렌지 나무를 두꺼비로 바꾸었지만, 이젠 두꺼비에게 끝없는 질문을 퍼붓는 청개구리띠 청소년이 된 제제의 질문들을 읽는 일은 지루했다.

다만, 이 책을 읽다가 우연히 눈에 들어온 상 파울루란 도시에서, 이십 년 전 첫사랑 소녀와 가장 자주 다니던 대학로의 찻집이 떠올라서 아련한 추억을 한참 떠올렸다. 지금도 그 찻집은 그대로 있을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전만루홈런 2006-10-17 00: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이 원래 3부작으로 된건데, 1편만 유명해진 것 맞나요?
아닌가..다른책이었나..^^;

글샘 2006-10-17 08: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건 잘 모르겠는데요... 1편이 먼저 유명해지고 쓴 건지 어떤지는...
 
열정
산도르 마라이 지음, 김인순 옮김 / 솔출판사 / 200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젠가 알라딘에서 이 책의 리뷰를 읽고는 이 책을 도서관에서 열심히 찾았다. 학교 도서관에는 산도르 마라이의 이혼 전야만 있고 이 책은 없었고, 도서관에서는 늘 대출중이었다. 이번에 우연히 도서관에서 이 책을 만났는데 이미 그 표지가 손때에 절어서 테이프까지 붙여 둔 낡은 상태였다.

겉표지의 여인이 감춘 감정이 열정이라는 듯이 표지는 독자를 끄는 힘이 있다.

그런데... 막상 책을 읽다 보니, 낡고 오랜 성에 웬 장군 출신 노인이 느릿느릿 이야기를 이끌고 있다. 오로지 노인의 시선으로 노인의 모놀로그(독백)로만 이야기는 진행된다. 마치 노인은 추억을 위해 존재하는 사람인 듯이... 더욱이 유모 니니의 존재는 잿빛 스토리를 더욱 그레이 톤으로 바래게 만든다.

41년 만의 친구의 등장으로 지루하기 그지없던 노인의 이야기에는 탄력이 붙고, 드디어 스토리가 개입하고, 독자를 몰입하게 만드는 <열정>이 불붙는다. 그 모놀로그에는 철학이 담기고, 오랜 삶을 반추하며 털어 놓는 회한과 의문이 쏟아지는데... 이 책의 뒷부분 1/3을 차지하는 노인의 이야기를 읽기 위하여 지루함을 조금 참고 앞의 2/3를 읽어볼 가치가 있는 책이다.

마치 나르치스와 골드문트를 읽고 있는듯한 인간의 분류와 사랑과 질투, 인생의 덧없음이 교차되며 직조하는 <열정>이란 직물에는 오로지 헨리의 모놀로그라는 실만 부려쓰는 작가의 노회함이 돋보인다.

아가사 크리스티 류의 추리 소설처럼, 친구 콘라드의 시점으로 본 모놀로그도 삽입되고, 거기에 이미 죽어버린 크리스티나(난 크리스티나를 읽으면서 아가사 크리스티의 추리소설이 가진 박진감과 크리스틴 다에가 지닌 신비함을 동시에 느끼고 있었다.)가 기록한 노란 일지의 진실마저도 부가되었더라면 이 소설은 통속하기 그지없는 러브스토리로 전락하고 말았을는지도 모른다.

"글을 쓸 수 있는 마지막 순간까지 나는, 충동에 대한 오성의 승리를 선포하고 죽음에의 동경을 제어할 수 있는 정신의 저항력을 믿은 시대와 세대가 있었다는 것을 증언하려 한다."는 저자의 말에서 헤세가 보여준 지와 사랑의 한 측면, 즉 <지>로서의 화자로 헨리를 선택했음을 읽을 수 있다.

"인간들이 처한 상황을 깊은 뜻 없이 기계적으로 정의내리는 낱말들이 있는데, 지금 우리 두 사람처럼 모든 것이 끝나는 경우, 그런 낱말들이 무슨 소용이 있겠나. 기만, 부정, 배반..." 이같은 대목은 뜨거운 연애담을 깊이있게 만드는 장치로 보인다. 그러나 하루하루의 삶이란 것은 나와 다른 성향을 가진 존재들에 대한 끊임없는 동경으로 엮어지며, 그 동경은 동류임을 확인한 존재들끼리 교류하는 것을 바라보는 이의 질투를 자아내게 하는 역정의 과정을 통과하게 되는 것이고, 그 속에서 스스로 소외시키고 마는 <지>의 오성은 고독하고 퇴색한 잿빛으로 울고 있는 것이다.

이 <서로 다름>에 이끌리고, <서로 다름>에 상처받는 인간이 만든 작품이 <2분법>이란 것이다. 지와 사랑을 나누고, 이성과 예술로 나누고, 혈액형별로 기질을 나누고, 히포크라테스처럼 기질을 구분한다. 점액질인 사람과 다혈질인 사람은 서로 끌리면서도 서로 이해할 수 없는 영역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우리말에서는 <다르다>를 써야할 경우에 <틀리다>를 쓰는 경우가 많다. 틀린 그림 찾기에서부터 '나는 너와 생각이 상당히 틀려.'처럼 쓰고 있기도 하다. 다른 것은 서로를 인정하는 표현이지만, 틀렸다는 말은 가치를 포함한 용어다. 산도르 마라이는 계속 대답을 요구하다가 독백으로 점철하고 끝내 독백으로 마치는 이야기 전개를 통해서 서로 다른 것을 인정하고, 열정에서 비롯된 모든 이야기들은 결국 지나갈 것임을 <지적>으로 통찰함으로써 이야기를 마치고 있다. 그의 내부에서 <지>가 <사랑>을 맞아 승리한 이야기로 볼 수도 있겠다.

산도르 마라이를 찾아 읽으며 이 가을을 보냄도 재미있을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