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자이고 영국 대학에 재직한 공통점이 있지만 지그문트 바우만(리즈대학의 교수와 명예교수였다)과 리처드 세넷(런던 정경대학의 교수였다) 사이에 따로 연결고리가 있는지 모르겠다. 그럼에도 같이 떠올리게 되는 건 비슷한 시기에 두 저자를 처음 접하고 읽은 때문인가 싶다. 한동안 자주 책이 나오기도 했지만 몇년 뜸하기도 했는데, 최근에 다시금 신간 매대에서 두 저자의 책을 보게 돼 반가움에 페이퍼까지 적는다. 
















바우만의 책은 지난해에 나온 <문학 예찬>을 얼마전 서평(강제독서) 강의에서 읽었는데, 최근에 두 권이 더 출간됐다. <행복해질 권리>와 <불안의 기원>(리퀴드 근대 시리즈에 속한다).
















바우만의 책은 평전과 대담을 포함해 여러 종의 책을 챙겨놓은 상태인데, <문학 예찬>과 <사회학의 쓸모>를 강의에서 읽으면서 좀더 욕심을 부려볼까도 싶어진다. <액체 근대>를 다른 근대/탈근대를 주제로 한 책들과 묶어서 읽는 것 같은. 구면의 저자를 다시 읽는 건 오랜 친구와 재회하는 것만큼 감회에 갖게 한다. 


  














리처드 세넷의 책은 <계급의 숨은 상처>가 출간되면서, 이전에 나왔던 <신자유주의와 인간성 파괴><불평등 사회의 인간 존중> 두 권이 다시 나왔다. 나름 '기획'의 산물인 것. 















세넷의 책은 <뉴캐피털리즘>과 <투게더>를 읽고, 주저 <삶과 돌>을 어렵사리 구하기도 했다(문학동네에서 다시 나왔다). 노동사회학이 주 분야로 알려져 있는데, 이번에 나온 책들도 서평 강의에서 다뤄볼까 싶다. 이렇게 끄집어내면 역시나 읽을 책은 많고 시간은 넉넉지 않다는 걸 새삼 깨닫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너의 무지를 알라

7년 전 시다. 엊저녁 플라톤 아카데미 장학생들과 만나고 귀가하는 참에 소크라테스의 말이 소재였던 시여서 불러놓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로쟈 > 자유롭고 평등한 관계의 모색

5년 전 글이다. 이번여름에도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에 대한 강의가 있어서 챙겨놓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강의 공지다. 서울시민대학 모두의학교(금천구 독산동)에서 내달 20일부터 6월 24일까지 5회에 걸쳐서 매주 화요일 오전에 ‘로쟈와 함께하는 세계문학 쉽게 읽기‘를 진행한다. 대면 유료강의이며(5강 수강료 1만원) 구체적인 일정은 아래와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