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인류학자들이 쓴 책이다.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디플롯). '친화력으로 세상을 바꾸는 인류의 진화에 관하여'가 부제. 흔히 '적자생존'의 뜻을 '강한 자가 살아남는다'로 해석하는데, 저자들에 따르면 타당하지 않다(진화인류학의 최근 경향으로도 보인다). 
















"늑대는 멸종 위기에 처했는데, 같은 조상에서 갈라져 나온 개는 어떻게 개체 수를 늘려나갈 수 있었을까? 사나운 침팬지보다 다정한 보노보가 더 성공적으로 번식할 수 있던 이유는? 신체적으로 우월한 네안데르탈인이 아니라 호모 사피엔스가 끝까지 생존한 까닭은? ‘21세기 다윈의 계승자’인 브라이언 헤어와 버네사 우즈는 이에 대해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라는 답을 내놓는다. 
이들은 ‘신체적으로 가장 강한 최적자가 살아남는다’는 ‘적자생존’의 통념에 반기를 들며 최후의 생존자는 친화력이 좋은 다정한 자였다고 말하는 한편, 친화력의 이면에 있는 외집단을 향한 혐오와 비인간화 경향도 포착한다. 이들이 제시하는 해결책 또한 교류와 협력이 기반이 된 친화력이다. 우리 종은 더 많은 적을 정복했기 때문이 아니라, 더 많은 친구를 만듦으로써 살아남았기 때문이다.'

두 저자의 공저로는 <개의 천재성>(2013)도 있는데, 애견가들이 늘어난 상황이라 소개되어도 좋지 않을까 싶다.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와 같이 읽어볼 만한 책은 따로 소개했단 <우정의 과학>이다. 역시나 지난해에 나온 책으로 유대의 기원과 진화를 다룬다. 브레흐만의 <휴먼카인드>도 주제적으로 같이 묶을 수 있는 책. 안 그대로 강의차 읽고 있는 책이다. 브레흐만의 앞서 소개되었던 <리얼리스트를 위한 유토피아 플랜>도 생각나서 찾는 중이다...
















P.S. 책의 추천사는 최재천 교수가 쓰고 있는데(<휴먼카인드>의 추천사도), 최 교수의 책으로 <손잡지 않고 살아남은 생명은 없다>(샘터)도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 다윈의 저작 가운데서는 특히 <인간과 동물의 감정 표현>도 이 주제와 관련하여 참고할 채. <휴먼카인드>가 다시 떠올려준 책인데, 리베카 솔닛의 <이 폐허를 응시하라>도 재난 상황에서 피어난 공동체적 우정을 탐사하고 있다. 팬데믹 시대에 필요한 성찰을 담은 책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스케일이 말해주는 것

3년 전 책소개다. 최근 강의에서도 언급한 일이 있었다. ‘스케일‘을 주제로 한 책들은 관심도서에 해당한다. 양자역학에서 우주론까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로쟈 > 인간은 왜 무의식적 낙관주의자일까

8년 전 리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주의 과학서로 두 권을 고른다. 리디아 덴워스의 <우정의 과학>(흐름출판)과 샹커 베단텀 외, <착각의 쓸모>(반니)다. 저자들이 모두 과학 저널리스트. 
















리디아 덴워스는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저자로 <톡식 트루스>(독성 중독에 관한?) 등의 책을 펴낸 바 있다. <우정의 과학>은 유대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최신 과학의 발견 성과를 모아놓은 책. 


"저자는 뒤르켐의 사회학 연구, 볼비의 애착이론과 로렌츠의 각인 실험, 다윈의 진화론, 윌슨의 사회생물학으로 거슬러 올라가 우정의 과학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살펴보고, 20세기 중후반부터 현재까지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는 영장류학, 역학, 유전학, 사회심리학, 발달심리학, 최신 뇌과학의 성과를 결합해 우정의 기원과 진화, 인간과 사회에 갖는 의미를 총체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사실 새로운 주제는 아니다. 협력 혹은 이타적 행동의 진화에 대해서는 상당한 연구가 축적돼 있기에. 토픽을 '우정'으로 하게 되면 뭔가 다른 이야기가 나오는 것인지 궁금하다. 


 














샹커 베단텀은 앞서 10년쯤 전에 <히든 브레인>이란 책으로 소개되었던 저자다. 빌 메슬러와 공저한 <착각의 쓸모>는 그의 최신간으로 '자기기만'이 진화해온 이유를 해명하고 있다. 


"세계적 팟캐스트 <히든 브레인>을 진행하며 동명의 베스트셀러를 선보였던 베단텀은, <착각의 쓸모>에서 자기기만이 우리에게 ‘좋은’ 결과를 끌어낼 수 있는지 질문한다. 그리고 스스로 이성적이라 믿는 수많은 사람이 허황된 믿음에 매달리는 이유는, 그것이 ‘실용적’이기 때문임을 발견한다. 자기기만이 인간관계를 깊이 맺게 하고, 집단의 성공에 토대가 되며, 심지어 우리의 수명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저자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하는 예의상의 말부터 건강, 마케팅 나아가 종교와 국가에 이르는 삶의 전반에 착각과 자기기만의 메커니즘이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철학자 사르트르라면 경악할 일이지만, 자기기만은 우리의 생존에 매우 유익하기에 진화돼왔다는 주장 같다. 우리의 뇌는 무엇이 진실인지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다는 것. 적어도 뇌의 기본 설정은 아니라는 것. 그럼에도 우리가 진실에 대한 관심을 견지하는 거은 '착각의 쓸모'와 결별한다는 뜻도 되겠다. 우리에게 유리한 착각과 곤란한 진실 사이에 무엇을 선택하겠는가, 잠시 고민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케임브리지대학에서 과학사와 과학철학을 강의하는(이 분야의 한국인 석학이다) 장하석 교수의 책이 하나 더 번역돼 나왔다. 첫 저작 <온도계의 철학>(2004)에 뒤이은 <물은 H2O인가?>(2012). 국내에는 2014년의 EBS강연을 엮은 <과학, 철학을 만나다>가 먼저 소개되었었다(그러니까 한국어판만 있는 책이다). 과학철학 입문서이면서 장하석 소개서였다면, 번역된 두 책은 그에게 학자로서의 명망을 가져다준 역작들이다.

˝세계적인 과학철학자 장하석 교수의 ‘상보적 과학’ 프로젝트 두 번째 책. ‘상보적 과학’이란 과학지식을 역사적, 철학적으로 재조명함으로써 과학자들이 가르쳐주지 않는 과학을 배울 수 있다는 저자의 과학사-과학철학적 비전이다. 그 첫 번째 책 <온도계의 철학>에서 저자는 ‘온도 측정법’에 얽힌 난제를 상보적 과학으로 풀어내 국내외에서 큰 반향을 일으킨 바 있다. ‘온도계’에 이은 상보적 과학의 두 번째 연구 대상은 ‘H2O’, 즉 화학적 물이다. 예리하고 풍부한 과학사적 탐구를 바탕으로 저자는 현대 과학철학에서 핵심적인 주제인 실재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다원주의를 옹호한다.˝

토머스 쿤이나 포퍼, 러커토시 같은 학자들의 이름을 주워섬기게 되는 학문분야에서 한국인 학자가 쓴 높은 평판의 책을 읽는 것은 지적 만족에 더불어 자긍심까지 느끼게 한다. 젊은 과학도들에게(고등학생도?) 널리 읽히면 좋겠다. 일반독자라면 서가에 꽂아두는 것만으로도 이 분야에 일조할 수 있다(책이 계속 나올 수 있을 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