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에 '노블레스'에 실은 리뷰를 옮겨놓는다. 리처드 도킨스의 <신, 만들어진 위험>(김영사)에 대한 리뷰를 청탁받고 쓴 것이다. 지난달에는 <리처드 도킨스의 영혼이 숨 쉬는 과학>(김영사)까지 출간되었는데, 진화론에 관한 책과 무신론 책으로 대략 양분해서 볼 수 있을 것 같다. <신, 만들어진 위험>은 도킨스의 무신론 압축판으로 읽을 수 있다... 
















노블레스(21년 5월호) 리처드 도킨스의 과학적 무신론


영국의 생물학자이자 저명한 과학 저술가 리처드 도킨스는 우리에게도 친숙한 저자다. 대표작 <이기적 유전자>(1976)를 시작으로 그의 저작 대부분이 번역되었고, 다윈의 진화론에 관한 가장 명쾌한 해설가로 찬양받는다. 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악명도 높은데, 주로 <이기적 유전자>보다 더 많은 주목을 받은 <만들어진 신>(2006) 때문이다. 그로부터 13년 뒤(번역서는 15년 뒤)에 나온 <신, 만들어진 위험>은 <만들어진 신>의 속편이면서 보급판이다. 


<신, 만들어진 위험>의 독자는 두 부류로 나뉘는데, <만들어진 신>을 이미 읽은 독자와 그렇지 않은 독자다. 아직 읽지 않은 독자를 고려해 내용을 되짚어보면 <만들어진 신>은 종교, 특히 인격신에 대한 신앙을 근거 없는 망상으로 비판함으로써 도킨스를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무신론자로 만들어준 책이다. 비종교인은 그의 거침없는 종교 비판에 환호했고 종교인, 특히 기독교인은 그의 비판이 너무 거칠거나 독선적이라고 생각했다.
















도킨스의 도발적인 과학적 무신론은 자연스레 그의 지지자와 반대자를 낳았다. 학자 중에서 꼽자면, 도킨스를 포함해 '무신론의 네 기사'로 불릴 만한 크리스토퍼 히친스와 대니얼 데닛, 샘 해리스 등이 그의 강력한 동료들이고(네 사람은 <신 없음의 과학>을 공저했다), 존 레녹스와 알리스터 맥그래스 등의 신학자가 단호한 비판자들이다. 쟁점은 '과연 신은 존재하는가'부터 '우리가 도덕적으로 선해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신이 필요한가'까지 여러 문제에 걸쳐 있지만, 가장 핵심적인 것은 지적 설계론과 그 비판이다.


흔히 도킨스를 비롯한 일군의 '전투적 무신론자' 입장을 신무신론(새로운 무신론)이라 부르는데, 신무신론의 특징은 종교적 신앙을 과학이라는 척도로 재단하고 그 비합리성을 가차없이 폭로하는 데 있다. 사실 과학과 종교가 반드시 대립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과학과 종교가 각각 사실의 세계와 의미(구원)의 세계에 관여하고 각기 다른 질문에 해답을 제시하려는 것이라면 둘의 공존이 불가능한 것만도 아니다. 그런데도 과학자들이 정색하고 종교 비판에 나서게 된 배경에는 변형된 창조론으로서 지적 설계론의 등장과 득세가 있다.
















지적 설계론은 생명 현상이 너무도 복잡하기에 무작위적인 우연의 결과로는 탄생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마치 시계처럼 복잡한 기계장치가 시계공이라는 창조자 없이 만들어질 수 없는 것처럼 복잡다단한 생명 현상도 고도의 지적 능력을 갖춘 설계자를 가정해야만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킨스는 이것이 틀린 주장이며, 다윈의 자연선택론이 실제로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의 진화과정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제공한다고 예증한다. 한걸음 더 나아가 진화생물학자들은 인간의 종교가 어떻게 해서 진화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까지도 제시하려 한다 예컨대 종교가 진화적 적응이라는 설과 진화의 부산물이라는 설, 그리고 종교가 문화적 복제자로서 하나의 밈(meme)이라는 설 등이 그것이다.


사실 생명의 진화에 관한 진화론의 설명은 매우 강력하고 설득력이 있기에 지적 설계론이 충분한 반론을 제시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하지만 신학자와 일부 과학자는 다시 생물학 대신에 우주론을 주제로 끌어온다. 중력상수(G)를 포함하여 우주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힘과 그 상수의 값이 왜 그렇게 매겨졌는지 현재의 과학은 아직 알지 못한다. 하지만 도킨스는 그것이 신이라는 설계자를 다시 끌어들이는 명분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내기를 건다면 단연코 신이 아니라 과학에 걸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제 그 내기판이 독자 앞에 놓여 있다. 당신이라면 어디에 걸겠는가?


댓글(6) 먼댓글(0) 좋아요(4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걸으며자는사람 2021-05-25 12: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신, 과학과 물질이 종교가 되고 신이 되었다는 거 아니겠습니까. 무언가 모아서 흔들어대면, 충분히 긴 시간만 흐르면 그것들이 시계부품이 되고, 또 시계가 된다는 과학적으로 전혀 불가능한 궤변을 구사하는 도킨스는 한때 나도 그러했지만 무신론자들만을 위한 아이콘인 것같습니다. 하지만 나이가 드니 그는 목록에서 지워버릴 정도로 가벼워지더군요. 힘이 들고 정신적으로, 물질적으로 궁핍해지면 사람들은 아무래도 신을 찾게 마련이라는 생각입니다. ^^

로쟈 2021-05-26 08:49   좋아요 0 | URL
종교는 인간적인 현상이죠. 과학과 경쟁하려고만 하지 않는다면, 독선을 고집하지만 않는다면, 허용될 수 있다고 봅니다. 말씀대로 인간은 나약하니까요..

2021-05-26 01: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5-26 08: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5-26 09: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넘버플레이 2024-03-17 23: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선생님은 과학주의자이신가요? 신학과 과학이 경쟁관계는 아닌데 과학주의자들은 한치의 양보도 없는 것 같습니다.
 
 전출처 : 로쟈 > 사회생물학에 대한 오해와 이해

8년 전 리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로쟈 > 우리는 이렇게 나이 들어간다

6년 전에 적은 페이퍼다. 노화에 대한 책이 늘어나고 있는 건 고령화 추세와 무관하지 않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로쟈 > "과학에서도 독재는 나쁘다"

5년 전에 쓴 짧은 서평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대략 1년에 한권꼴로 나오고 있는 '오파비니아' 시리즈의 20번째 책은(19번보다 먼저 나왔다) <포유류의 번식 - 암컷의 관점>(뿌리와이파리)이다. 이 시리즈의 책 대부분이 그렇듯이 높은 수준의 과학교양서로서(학술교양서로 분류해도 되겠다) 해당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식견을 제공한다. '오파비니아' 시리즈에 눈 뜨게 해준 책은 <미토콘드리아>이고, 내가 아직 독서 과제로 삼고 있는 책은 <뼈, 그리고 척추동물의 진화>다.   
















지구상의 생물 가운데 다른 어떤 계급class(혹은 강)보다 더암컷 포유류는 그들의 번식에 대해 비범한 통제권을 소유하고 있다.”



서론의 첫장('암컷 관점')의 첫 문장이다. 영장류보다 시야를 더 확대하여 포유류의 한 종으로 인간을 바라볼 때 어떤 이해에 도달할 수 있을지 가늠하게 해준다. 자연스레 책의 마지막 4부는 인간에 할애돼 있다(마지막 15장의 제목이 '포유류로서의 여성'이다). 
















오파비니아 시리즈의 다른 책들 가운데서는 <공룡 이후>나 <걷는 고래>, <최초의 가축, 그러나 개는 늑대다> 등이 포유류 관련서로 같이 참고할 만하겠다. <공룡 이후>는 특히 '신생대 6500만 년, 포유로 진화의 역사'를 다룬다. 이런 종류의 책들이 나올 정도로 연구가 축적돼 있다는 사실이 다행스러우면서 대견하다. 더 많은 독자가 생겼으면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