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명한 심리학자이자 인지과학자 스티븐 핑커의 새책이 나왔다. <지금 다시 계몽>(사이언스북스). 벽돌책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사이언스북스, 2014) 다음으로 소개되는 책인데, 원저를 기준으로 하면 <우리 본선의 선한 천사>는 2011년, 그리고 <지금 다시 계몽>은 2018년에 나온 책이다. 대략 번역까지 3년씩 소요된 셈(아무래도 분량이 만만찮은 책들이다). 
















개인적으로는 2018년에 교보문고에서 두툼한 원서를 보고(바로 구입하진 않았지만 이후에 구했다) 놀라기도 하면서, 한편으론 번역본이 곧 나오겠다 싶었다. 하지만 그 사이에 많은 일들이 있었기에 책의 존재를 잊고 있었다. <지금 다시 계몽>이란 제목과 맞닥뜨리니 지금이 그땐가 싶다(대선판에서 여전히 무속 얘기가 난무하는 시절이니 말이다).


"핑커는 냉소와 공포에 도전한다. 인간은 본래 불합리한 존재일까? 도덕성을 세우기 위해 종교가 꼭 필요할까? 근대성이 우리에게 외로움과 자살만 남겨 주었을까? 우리는 “탈진실 시대”에 살고 있을까? “공포의 시대”에? 전면적인 핵전쟁, 자원 고갈, 기후 변화, 고삐 풀린 인공 지능이 어느 순간에 이 모든 것을 파괴할까? 핑커는 지적 깊이와 문학적 재능을 유감없이 발휘하며 이성, 과학, 휴머니즘을  옹호한다."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와 마찬가지로 핑커의 기조는 낙관론이다. 객관적으로 보면, 세계는 더 나아지고 있다는 것(그런 면에서 브레흐만의 <휴먼카인드>와 맥을 같이 한다. 브레흐만은 핑커의 책도 참고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보다는 인류학자 아구스틴 푸엔테스의 <크리에이티브>의 견해에 동감하는 편이다. 쟁점은 하버드대학의 영장류 학자 리처드 랭엄의 <악마 같은 남성>의 주장에 대한 둘의 견해차다. 나는 핑커보다 푸엔테스가 설득력이 있다고 생가한다). 나는 그것이 방향이면서 동시에 동시대인의 책무라고 생각한다.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의 독자라면, 필히 다시 손에 들어볼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인류세와 인간의 책임

역시 3년 전. 인류세(그리고 기후변화)에 관한 책은 이후에도 여러 권이 추가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오전에 백신(1차)을 맞고 조용히 지낸 하루였다(지침에는 용태를 관찰하라는 날이다). 팔을 움직일 때만 약간의 뻐근함이 느껴지는 정도이고 현재까지는 특이증상이 없다. 저녁에 동네서점에 들렀다가 다시 눈에 띄길래 마크 라이너스의 <6도의 멸종>을 손에 들었다.

안그래도 며칠전 서평강의에서 호프 자런의 <나는 풍요로웠고 지구는 달라졌다>를 읽었는데, 강의준비하면서 떠올렸던 책 가운데 하나다(기후변화를 주제로 한 책은 적게 잡아도 십수권이다). 앞서 초판은 <6도의 악몽>이라고 나왔었다. 원저와 번역본 모두 2008년간.

매대에 새로 깔린 이유는 새로 찍어서인데 2014년에 찍은 신판이 지난달에 14쇄를 찍었다. 나름 스테디셀러인 셈. 아마도 입소문을 탔던가, 누군가의 강추가 있지 않았을까 싶다. 기후변화 문제를 실감나게 다룬 책으로 꼽을 만하다.

˝이 책의 1장에서는 기온의 1도 상승과 관련된 지구온난화의 모든 영향을, 2장에서는 2도 상승과 관련된 것들을, 3장에서는 3도 상승과 관련된 것들을 다루는 식이다. 그런 식으로 라이너스는 최악의 시나리오인 6도 상승 단계까지 정리했다. 또한 전문적이면서 무미건조할 수 있는 이 시나리오를 저널리스트의 능력을 발휘해 소설 혹은 다큐멘터리 영화처럼 구성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멈추지 못하는 사람들

2년 전 페이퍼다. 인터넷 혹은 스마트폰 중독에 대해 주의해야 한다고 셩각하면서도 이미 중독자가 된 것 같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산책자 2021-08-14 21: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에서는 인터넷이 우리의 뇌구조를 바꾼다고 주장하는데 저도 그 무한 재미에 빠져 허우적거릴 때가 많죠. (특히 유투브^^ ). 매체의 발달이 인터넷의 중독을 넘어 가짜뉴스에 속아 넘어가기 쉽게 만들기도 합니다. 전자매체에 포위된 인류가 다시 얄팍하고 협소한 사고로 돌아가지 않을까 걱정되기도 합니다.
 
 전출처 : 로쟈 > 우리에게 휴식이 필요한 이유

7년 전에 쓴 리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