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로쟈 > 이기적 유전자, 이타적 개체

11년 전에 옮겨놓았던 대담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일본 본자고생물학자의 책이다. 사리사나 이사오의 <절멸의 인류사>(부키). 이 분야의 책으로 일본 저자의 책이 소개되는 건 드물어서 눈길이 갔다. 알고 보니 앞서 <폭발적 진화>(생각정거장)도 소개된 저자.

˝일본의 분자고생물학자인 사라시나 이사오는 이 책에서 인류의 기원에 대한 기존의 학설을 새롭게 해석하고 최신의 고고학 성과와 실시간으로 수정되고 있는 학문적 논의를 바탕으로 이러한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최신의 성과와 논의를 반영한다니 기대해봄직하다. 얼마전에 나온 책으로는 유전학자 데이비드 라이크의 <믹스처>(동녘사이언스)와 같이 읽어봐도 좋겠다. 지난봄에 앞부분만 읽다가 말아서 숙제로 남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번주 과학책은 과학사 분야의 책이다. 영국의 역사학자 데이비드 우튼의 <과학이라는 발명>(김영사). '1572년에서 1704년 사이에 태어나 오늘의 세계를 만든 과학에 관하여'가 부제. 연도가 특정된 것은 이유가 있다고. 
















자는 "근대 과학은 튀코 브라헤가 신성을 관찰했던 1572년과 뉴턴이 《광학》을 출간했던 1704년 사이에 발명되었다고 주장하며, 현재 과학사의 주된 입장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혁명 같은 것은 없었다’, ‘과학혁명은 점진적으로 일어났다’는 연속적, 상대주의적 견해를 반박한다." 저자는 앞서 <의학의 진실>(마티)을 통해서 국내에 소개된 바 있는데, 의학사의 이면을 들춘 책이었다. 















과학사에 대한 상식을 보강해줄 만한 책으론 레토 슈나이더의 <매드 사이언스>(뿌리와이파리) 시리즈가 있다. 엉뚱하고 기발한 과학실험들을 소개하고 있는데, <매드 사이언스북>(2008)에 이어서 최근에는 <매드 매드 사이언스북>이 출간되었다. 무려 12년 터울이다. 과학사의 에피소드가 될 만한 주제로 정밀성을 향한 도전을 다룬 사이먼 윈체스터의 <완벽주의자들>(북라이프)도 이 분야의 책을 좋아하는 독자들에겐 필독의 책이겠다. 
















국내서로는 과학사 전공의 과학저술가 정인경의 <모든 이의 과학사 강의>(여문책)가 얼마 전에 출간되었다. 과햑사 분야의 책은 많이 나와 있는 편이지만, 좀 가볍게 읽어볼 수 있는 책이다. 
















아, 그리고 기억을 주제로 한 책들은 따로 적어야 할 테지만, 여유가 없는 핑계로 같이 적는다. 글도 과학책 범주에 들어가는 것이니.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신작 소설이 <기억>(열린책들)인데, 마침 찰스 퍼니휴의 <기억의 과학>(에이도스)도 최근에 나왔다. '뇌과학이 말하는 기억의 비밀'이 부제. 기억이란 주제를 소설가는 어떻게 푸는지 살펴보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유전자 스와핑과 바이러스 섹스

10년 전에 스크랩했던 기사다. 판데믹을 다룬 니키포룩의 <대혼란>은(<바이러스 대습격>이란 제목으로도 다시 나왔었다>)은 현재 절판된 책인데 요지 정도는 참고할 만하다. 더 센 놈이 온다고 경고했고 이번 코로나 사태가 실감시켜주듯이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로쟈 > 진화심리학과 살인 환상

8년 전에 쓴 칼럼이다. 까맣게 잊고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