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소하동에 기형도문학관이 건립돼 오늘 개관한다. 문학관이 지어진다는 소식은 언젠가 전해들은 바가 있는데 어느새 3층짜리 번듯한 건물로 완공되었다. 개관을 즈음하여 기념행사도 진행되는 모양인데 나는 나대로 나중에 찾아보고 그의 짧았던 삶과 시에 대해서 반추해보려 한다. 오래전에 기형도 시에 대한 강의도 진행한 적이 있기에 기억을 되살려 새 강의도 진행해볼 참이다.

˝당초 광명시는 시인이 실제 살았던 안양천 끄트머리에 문학관을 지으려고 했다. 하지만 땅 주인이 거부해 집 인근이자 시인이 많이 오갔던 소하동에 문학관을 짓게 됐다고 한다. 광명문화재단 관계자는 “유가족들도 ‘외진 안양천 주변보단 번화가에 들어섰으면 좋겠다’고 찬성했다”고 말했다.

문학관 완성까진 시민의 힘도 컸다. 광명지역 문화활동가들은 2003년부터 유가족을 찾아가는 등 기형도기념사업회 활동을 벌여왔다. 시 낭송회는 물론 시의 배경이 되는 장소를 걷는 ‘시길밟기’ ‘추모식’ 등 다양한 행사를 추진해 왔다. 광명시에 건의해 광명 중앙도서관 등에 ‘기형도 코너’도 만들고 광명 실내체육관 주변에 시비를 세우기도 했다. 김세경 기형도기념사업회 회장은 “2014년부터 추진했던 시인을 기리는 공간이 드디어 문을 연다니 감개무량하다”고 했다.˝(중앙일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얼마전에 위아래가 잘린 파본 형태의 황석영 중단편전집 중고본을 구입했다가 반품처리하지 않고 폐기했는데 두 권을 재구입해서 짝을 맞추었다. <몰개월의 새>는 아직 품절되지 않아서 새책을 구입했더니 출판사 표기가 차이가 난다는 게 옥에 티라고 할까(창작과비평사가 창비사로 바뀌었다). 그렇더라도 책 사이즈는 맞으니까 장서용으로 하자가 있는 건 아니다. 이제 <객지>부터 다시 읽어볼 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저녁을 일찍 먹은 날은 밤참을 먹게 된다. 밤참용 책이 따로 있지 않지만 오늘은 오은의 시집 <유에서 유>(문학과지성사)를 읽었다. 읽다 말았다. 단숨에 읽기에는 분량이 좀 되는 시집이어서다. 그래도 ‘읽다 만 책‘까지는 읽었다.

사다 만 책은 없다
빌리다 만 책이나 버리다 만 책은 없다
읽다 만 책만 있다

이런 게 오은 시다. 알 만한 사람들은 다 알고 있는. 다 알고 읽은 터에 시비를 걸 수는 없다. 말장난도 상습이면 심지가 굳은 말장난이다. 다만 그의 시가 무얼 생산하는지는 의문이다. ‘유에서 유‘로 가는 여정은 제자리 걸음의 여정이어서다.

개가 한 마리 다가오고 있다
처음 보는 개
개도 나를 처음 보았을 것이다

내가 개를 스쳤다
개가 나를 훑었다 (‘계절감‘)

그리고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 게 또한 오은의 시다. 이 시집이 최소한 세번째 시집임에도 그러하다. ˝오은의 시는 현대의 도시락폭탄이다˝는 평도 재미있지만 올드하다. 도시락폭탄은 현대적이지 않다. ‘시인의 말‘도 저렴하다.

꿀맛이 왜 달콤한 줄 아니?
꾼 맛도 아니고 꾸는 맛도 아니어서 그래.
미래니까, 아직 오직 않았으니까.

이런 게 오은의 오원 짜리 유머다. 그대로 반복하지면 오은의 시는 아직 오지 않았다. 그의 시는 미래에 속한다. 그는 오다 만 미래파다. 온 것 같잖은 미래파다. 그래서 뭔가 기대하면 읽을 수 없는 게 오은의 시다. 기대를 접으면 터진다.

터진 수도관은 분수도 모르고
분수를 내뿜었어
시원한 것은 순간이었어
그다음에 찾아오는 것은
시원시원한 고통이었어 (‘폭우‘)

권혁웅 시인은 해설에서 ˝오은을 사랑하십니까?˝라고 물었다. 오, 에, 그건 원 없이 읽은 다음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른 일정이 없는 한 주말의 일과는 강의자료를 만드는 일로 채워진다. 매주 적지 않은 강의를 하다 보니 강의자료를 만드는 것도 만만찮은 일이다. 때로는 몇 시간씩 타이핑을 할 때도 있다.

아침에 떨어진 프린터 토너를 오후에 이마트에 들러 사온 이후엔 저녁을 먹은 시간을 제외하면 내내 강의자료를 만들고 프린트하는 일을 반복했다. 다시 뒷골이 당기는 느낌이 있어서(과열인가?) 머리를 식히며 시집을 펼쳤다. 보드카의 안주로 맥주를 마시는 것 비슷하게.

86년생 시인 송승언의 시집 <철과 오크>(2015)에서 아무 곳이나 펼쳤는데 ‘새와 드릴과 마리사‘가 그럴 듯하게 여겨졌다. 오규원과 박상순을 연상케 하는 시인이다(안 그래도 박상순의 <마라나, 포르노 만화의 여주인공>(문학과지성사)이 최근에 재간되었다. 반가운 일이다). 오규원을 떠올린 건 ‘골목‘ 때문일까?

골목은 차다 골목은 반짝인다 골목은 깊이를 잃은 채 골목은 갈라진다 골목은 둘로 나뉜다
셋으로도 나뉜다 넷으로도 나뉜다

죽은 새를 주워 저글링을 했다 죽은 새를 양손으로 주고받으며
둘로 갈라지는 골목을 걷는다 셋으로 갈라지는 골목을 넷으로 갈라지는 골목을

걷는다 의자가 있다 아무것도 발생하지 않는 의자 하나 아무것도 발생하지 않는 의자 둘...

이 시인에게서, 혹은 이 시집에서 ‘새‘는 어떤 의미로, 혹은 형상으로 반복되는지는 검토해볼 일이지만, 여하튼 죽은 새를 저글링하면서 여러 갈래로 나뉜 골목길을 걸었다는 게 3연까지의 진술이다. 이 진술을 실어나르는 언어의 리듬감이 좋다. 영혼과 성당, 음악 등의 단어가 나오는 다음 두 연을 건너뛰면 마지막 두 연은 이렇다.

죽은 새가 살아나고 반짝이는 날개를 꿈틀거리면 짓눌러 죽은 새로 만드는 일
냉담자들만이 음악을 하지 열심히 하지

지겨울 때까지 그 짓을 했다 더는 골목이 생각나지 않을 때까지 둘째 골목이 생각나지 않을 때까지 셋째 골목이 생각나지 않을 때까지

‘죽은 새로 저글링을 했다‘와 등치되는 건 ‘음악을 했다‘와 ‘그 짓을 했다‘다. 성당 주변을 빙빙 돌면서 저글링=음악=그 짓을 지겨울 때까지 반복했다는 게 시의 요지.

‘드릴‘과 ‘마리사‘는 시집 안에 있는지 바깥에 있는지 (전후를 살피지 않아) 모르겠으나 시적 화자는 ˝성당에 들지 않고 성당을 뜨지 않는˝ 냉담자로 스스로를 지칭한다. 열심히 음악을 하기에 리듬은 만들어 내지만 죽은 새는 죽은 새일 뿐(혹여 살아나도 죽은 새로 만들 뿐) 의미가 충전되지는 않는다. 무의미의 리듬만 남게 되는가? 일견 그렇게 보인다.

그렇게만 읽혀도 재미있는 시다. 그 재미는 물론 리듬이 만들어내는 재미다. 리듬이 죽으면 송승언의 시도 죽은 시가 될 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목만 보고도 피식하게 된다. 이노우에 히사시(1934-2010)의 <나는 강이지로소이다>(현암사). 문학 독자라면 일본의 문호 나쓰메 소세키의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의 패러디라는 걸 알 수 있다. 우리에겐 생소한 편인데 저자는 일본의 저명한 소설가이자 방송작가였다고.

˝나는 강아지다. 이름은 아직 없다, 라는 것은 거짓말이고 돈 마쓰고로라고 한다.˝

이렇게 서두를 뗀 마쓰고로 이야기가 펼쳐지는데 일본에서는 TV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로도 만들어졌다 한다. 영화 제목은 <돈 마쓰고로의 생활>(1986), 속편은 <돈 마쓰고로의 대모험>(1987).

자연스레 소세키의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와 비교해서 읽고픈 마음이 생기는데, 1월 일본문학기행 때 소세키 문학관과 몇몇 관련 장소를 찾아볼 예정이라 안 그래도 다시 읽어보려 했다. <나는 고양이로소이다>는 창비 세계문학전집판도 나와 있는데 제목은 <이 몸은 고양이야>로 바뀌었다. 새로운 시도이지만 아무래도 어색하다(이노우에의 책도 <이 몸은 강아지야>가 될 뻔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