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28년 의회 권리청원 통과시키자 왕 찰스1세는 의회를 해산

1632년 로크 출생

1640년 단기의회 재원조달을 위해 의회를 소집하였으나 선출된 청교도가 이를 반대하자 곧 해산

1642년 의회파와 왕당파 사이의 국내전쟁

1647년 의회군의 승리 

1647년 제2차 내전

1649년 찰스1세는 처형되고 올리버 크롬웰을 지도자로 하는 공화정부 성립.

1652년 크라이스트 칼리지 입학

1660년 왕정복고 의회는 신교의 자유, 마그나 카르타와 권리청원의 존중을 브레다 선언에서 맹세한 선왕의 아들 찰스2세를 망명처 네덜란드에서 맞아들이고 왕정 부활

1662년 옥스포드 수사학 강의

1663년 [자연법 시론] 집필

1667년 애슐리경 고문의사, 비서

1671년 [인간오성에 관한 시론]집필

1672년 애슐리경 섀프츠베리 백작작위와 대법관 임명, 로크는 성직록 담당서기

1677년 섀프츠베리 백작 반역죄로 투옥

1683-1689년 네덜란드 망명

1688년 명예혁명 제임스2세의 딸 메리와 그 남편 윌리엄을 네덜란드에서 맞아들여 여왕과 왕으로 만들었다(메리 여왕과 윌리엄 3세)

1689년 권리장전(權利章典) 의회 통과 왕은 의회의 승인 없이 법의 정지 또는 면제, 금전의 징수, 상비군의 유지 등을 하지 않는다

1689년 로크는 메리여왕 수행하여 영국 귀국

          [관용에 관한 서한][통치론][인간오성에 관한 시론]

1690년 7년전쟁 네덜란드·독일·에스파냐와 협력하여 1697년의 강화 때까지 제임스2세 복귀를 지원하는 프랑스와 싸웠다.

1693년[교육론] 출간

1702년 앤여왕 등극

1704년 로크사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9장 적자와 서자의 구분

 

가난한 사람은 배우지 않아도 절약하고 부귀한 자는 배우지 않아도 사치한다

적자와 서자의 순서를 지켜주어야 나라의 분란이 없다

법규를 제정하여 자손에 남겨주는 것이 중요


제10장 스승을 존경하라

 

스승을 예절로 섬겨라

훌륭한 군주는 훌륭한 스승에서 나온다

어진 스승 밑에서 어진 정치가 엄한 가르침 밑에서 폭정이 나온다

스승을 아버지처럼 모셔라

태자가 삼사를 대하는 예절 제정

왕이 직접 태자를 자주 보고 가르치며, 주위 어른과 사귀게 하여 견문을 넓혀주라


제11장 태자와 왕자 교육의 중요성

 

백성의 고통을 알게 하고 잘못을 바로 잡아주라

아버지인 왕의 가르침-남의 수고를 알고,사람을 인의로 다스릴줄 알고,백성을 두려워하고 간언을 즐기라

아버지의 후광으로 자란 자는 더욱 자기 행실의 잘못에 유의해야 한다

길흉은 자기에게 달려있으며 그 사람 스스로가 부르는 것이다(춘추좌전)

좋은 일을 하면 군주요 나쁜 일을 하면 소인이다

민간에서 성장하여 민정에 통달하면 실패가 적다

어린 자녀에겐 직위보다 가르침이 먼저다


제12장 태자 바로잡기

 

태자의 사치와 방종과 유희 탐닉을 간언함

사소한 악행도 고치고 사소한 선행도 행해야 그것이 쌓여 일이 바로됨

하늘은 친한자와 소원한 자 구별 않고 덕행을 갖춘 자를 돕는다

태자를 폐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1장 군주의 도리

 

        군주가 바르면 나라가 안정된다

        현명한 군주는 아랫사람의견을 받아들인다

        창업과 수성은 다르다

        수나라는 나라다스리는 원칙을 잃어 멸망했다

        무위치지-저절로 다스려지게 하라

        나무는 뿌리가 튼튼해야 잎이 무성하다

        물(백성)은 배(군주)를 띄울수도 뒤집을 수도 있다

        十思

            - 자기 좋아하는 것 앞에서 만족하여 자기경계

            - 대규모 토목공사는 가능한 일만 하고 그칠때 알아 백성을 평안케 해야한다

            - 높고 위태로운 일은 겸손과 온화함으로 자신을 경계하면서

            - 자만가득찰때는 큰 간과 바다가 사방의 물줄기를 받아 큰 것을 생각

            - 유희와 사냥이 즐거울땐 고대제왕이 일년 세차례만 했던 것 기억

            - 나태가 걱정될땐 시종 신중하게 일을 처리

            - 위아래 신뢰의 단절이 걱정될땐 마음비우고 아랫사람의견받아들이는 것 생각

            - 참언과 간신이 걱정되면 자기 언행 단정히하여 간사함 제거

            - 상을 줄땐 일시적 기쁨으로 아름다움 장려의 원래목적 잃지 않고

            - 벌을 줄땐 일시적 분노로 징벌남용 않도록

       신하는 군주의 잘못을 바로잡아야함

       편안할때 위험을 대비

 

제2장 정치의 근본

 

       외부의 일은 항상 물어 알도록 하여야 한다

       백성위한 것 아닌 사사로운 한 개인의 감정을 거스를수 있어야 한다

       백성이 무얼 원하는지 아는 경전에 정통한 자가 관리이어야 한다

       군주의 잘못된 명령은 자기의견을 내어 토론하여야 한다

       지나치게 많은 일은 현명한 자에게 위임하라

       병이 재발하면 생명이 위태롭듯 평화로울때 더 근신해야 한다

       궁궐에 갇혀 눈귀가 막히면 천하를 알지 못한다

       끝까지 직언하는 신하가 옳다

       혼란 뒤일수록 더 안정화를 서두르는 것이 통치의 원칙이다

       군주의 도리를 다하지 않고 상 주는 것으로 다스려지지 않는다

       백성이 평안해야 나라가 바로선다

       군주가 바르면 신하의 잘못이 보인다

       신하는 군주의 교만과 자만을 경계해 주어야 한다

       원칙을 따르는 자의 성공


제3장 태종의 명신

 

       방현령-자기장점을 타인의 단점과 비교말라

       두여회-사리판단과 문제해결이 명쾌해야 한다

       위징-군주의 허물을 지적하는 자가 충신이다

       왕규-자기와 남을 정확하게 평가하라

       이정-군주의 근심을 자기의 치욕으로 군주의 치욕을 자기 죽음으로 씻는 장수

       우세남-덕행 충직 박학 문장 서법

       이적-순박하고 충직한 장수

       마주-빠른 이해, 곧은 성격, 정확한 인물평가

      
제4장 간언을 구함

 

      신하는 군주의 허물을 비추는 거울이다

      간언하는 신하가 있으면 망하지 않는다

      간언하는 자는 간언을 받아들일줄 아는 자이다

      군주가 화내는 것을 피하려 말고 간언하라

      간언하는 신하는 믿을 수 있는 신하이다

      간언하는 분위기는 군주가 만든다

      마음을 비우고 신하의 의견을 받아들이면 간하는 자가 생긴다

      군주 혼자서는 일을 올바로 처리치 못한다

      사소한 일도 잘못되었으면 그 시초부터 간언하여야 한다

 

제5장 간언의 수용(예화)

 

      군주라고 반역자의 아내를 취할 순 없다

      건원전 중수를 포기함

      애마가 죽인 사육사에 대한 사형령을 거둠

      매를 진상하라는 사신의 청을 거절한 지방관을 칭찬함

      과격한 상소를 보고 화가 난 것을 뉘우침

      서둘러 미봉속주에서 말을 사들이려는 계획을 취소함

      하찮은 상소를 면박주는 것을 그침

      아들의 간언을 칭찬함

      빈으로 들이려는 여인이 약혼자 있음을 알고 취소함

      中男 이상을 입대시키려는 계획을 취소함

      모함일삼는 두 신하를 이용한 신하들에 대한 견제를 거둠

      위징에 대한 처신 조심의 당부가 나라세우는 신하에 대한 명령으로 부당함 인정 

      너무 이른 자축의 봉선을 포기함

      외척에 대해 법집행한 관리에 대한 징계를 거둠

      자기업무이외에 관심 갖는 관리에 대한 책망을 거둠

      청렴한 관리에 대한 심증으로 징벌하려던 것 멈춤

      자식에 대한 총애로 대신을 질책한 것을 뉘우침

      단점만 보고 관리로서 장점사용을 놓친 것 인정

     평안해지자 간언을 소홀히하고 마음으로는 싫어하게 됨을 인정


제6장 군주와 신하의 계율

     나라의 흥망은 군신의 공동책임

     포악한 군주와 마음다해 일처리 않는 신하

     군주의 역할을 잊는 왕은 비웃음거리이다.

     잘 될때 안위를 염려하고 자기를 바르게 함이 군주의 도리이다

     어진 사람을 이해하고 예우하면 신하와 군주의 하나된다

    

[군주가 신하와 손발처럼 친하면, 신하는 그를 자기 심장으로 여기고, 개나 말처럼 여기면 군주를 보통사람으로 대하고, 똥으로 여기면 적으로 간주할 것이다.](맹자)

 

     신하를 신임하여야 적극적 태도와 행위규범, 명분과 예교가 흥하고 나라가 오래간다 


제7장 관리 선발

 

    재능을 헤아려 관직을 주고 관원수는 줄임

    일의 경중에 따른 위임

    한나라 방식대로 마을에서 덕행이 뛰어난 사람중 추천을 받아 선발함

    재능과 덕행 둘다 갖춘 사람을 기용하라

    백성과 하나되려면 지방관이 제대로 뽑혀야 한다

    재능에 적합치 않은 관직, 눈치보는 처리는 기강이 흔들리고 있는 것

    스스로 추천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좋은 신하가 없음은 구하지 않고 원치 않기 때문이다

    군주는 자신이 예의에 밝으면 잘못된 신하를 분별할 줄 알고 연마시킬 수도 있다

    사리에 따르지 않는 관리 선발만이 힘들지 않는 다스림의 근본이다

   

제8장 봉건제

 

     친척들과 자손에 의한 봉건제후국은 백성의 부담을 늘리고 세습과 안일의 병폐낳음

     세습제는 우수한 인재의 등용을 막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데이비드 흄(1711.4.26~1776.8.25)

1739년 28세[인성론(人性論):A Treatise of Human Nature]

                제1권 오성편(悟性篇) 제2권 감정편

1740년 29세 [인성론] 제3권 <도덕편>

                 [최근 간행된 어떤 책에 대한 초록] 

1742년 31세 [도덕·정치철학:Essays Moral and Political]

1748년 37세 [인간 오성에 관한 철학논집:An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1751년 40세 [도덕원리에 관한 탐구]

1752년 41세 에든버러 변호사회 도서관 사서(司書)

1763년 52세 주(駐)프랑스 대사의 비서관

1766년 루소를 영국으로 초청, 불화로 결별

1767∼69년 58세 외무차관

1776년 65세 사망

1779년 [자연종교와의 대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루소(1712-1778)

1749 38세 [학문과 예술에 관한 논고 Discours sur les sciences et les arts]

1755 44세 [인간불평등기원론 Discours sur l’origine de l’ingalit parmi les hommes]

              [정치 경제론 De l’conomie politique]

              [언어기원론 Essai sur l’origine des langues]

1758 47세 [달랑베르에게 보내는 연극에 관한 편지 Lettre d’Alembert]

1761 49세 [신() 엘로이즈 Nouvelle Hlose]

1762 50세 [사회계약론 Du Contrat social]

              [에밀 mile]

1770 58세 [고백록 Les Confessions]

1776 64세 [루소, 장자크를 재판한다 Rousseau juge de Jean-Jacques]

1778 66세 [고독한 산책자의 몽상 Les Rveries du promeneur solitair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