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아비바람꽃
한해를 기다려야 볼 수 있다. 그것도 멀리 있기에 본다는 보장도 없다. 지난해는 겨우 꽃봉우리 하나 보는 것으로 첫대면운 했는데 다행스럽게도 올해는 핀 꽃에 무리까지 볼 수 있어 행운이다.

바람꽃 종류인데 꽃대가 하나라서 홀아비바람꽃이라고 했단다. 홀애비바람꽃, 호래비바람꽃, 좀바람꽃, 홀바람꽃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조선은련화라는 근사한 이름도 있다.

남쪽에 피는 남바람꽃과 비슷한 모습이다. 다만, 꽃잎 뒤에 붉은색이 없어 단정하고 깔끔한 이미지다. 죽령 옛길을 걸으며 눈맞춤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선괭이눈
큰키나무가 잎을 내기 전, 땅에 풀들이 올라오기 전 볕을 받기에 좋은 맨땅에 꿈틀대는 생명의 순간들을 만나는 것이 봄을 기다리는 이유 중 하나다.

옴싹옴싹 모여 핀 모습이 금방 눈에 띈다. 연한 녹색과 노랑색의 어우러짐이 순하여 자꾸만 돌아보게 만든다. 제법 넓은 잎이 든든하게 받쳐주니 꽃에 집중하게 만드는 힘도 가졌다.

옆으로 뻗는 줄기는 뿌리를 내린 다음 곧게 서서 자란다. 줄기어 털이 없고 잎에 자잘한 결각이 다른 괭이눈과의 구별 포인트다.

씨앗 모양이 고양이의 눈을 닮았다 하여 괭이눈이라 불리는 종류 중 하나다. 애기괭이눈에서 부터 시작된 괭이눈의 눈맞춤이 흰털괭이눈과 선괭이눈 까지 왔다. 조만간 금괭이눈을 만나면 내가 움직이는 범위에서 본 종류들이다.

먼 길을 나서는 걸음에 주저함이 없다. 이번 나들이에서 만난 귀한 녀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모데미풀
먼 길을 기꺼이 나선 이유 중 하나가 이 꽃을 보고자 함이다. 보고픈 꽃은 멀리 있다는 것은 붙잡힌 몸 보다는 게으른 마음 탓은 아니었을까.

지난해에는 장태산에서 보던 것을 이번엔 소백산에서 봤다. 장태산과 환경이 다르니 꽃이 주는 느낌도 다르다. 이 꽃을 처음 봤던 곳에서 다시 본다.

우리 나라 특산식물로 지리산 자락 운봉의 모데미에서 발견되어 모데미풀이라고 한다. 가을에 물매화가 있다면 봄에는 단연코 이 모데미풀이라고 할 만큼 정감이 가는 존재라고 할 수 있겠다.

소백산 어느 계곡을 제법 올라 눈이 녹아 흐르는 물가에 다소곳이 피어있는 꽃을 본 그 첫 순간을 잊지 못한다. 더 풍성하게 몸은 덜 고단하게 느긋한 마음으로 봤으니 그곳에 다시 갈 이유가 생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복수초
채 추위가 가시지 않은 이른 봄 숲에 들게 하는 꽃이 복수초다. 봄에 대한 기대로 남쪽엔 개복수초가 그 자리를 차지하고 환영을 받으며 많은 이들에게 주목받는다.

복수초와 개복수초, 굳이 구분을 할 필요가 있을까 싶지만 먼길 나서서 본 것이기에 기록으로 남기고자 한다. 간밤에 내린 비와 안개에 젖어 그 특유의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지만 "나, 복수초다" 외치는듯 한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소백산 복수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분꽃나무
흰색의 꽃들이 존재를 드러낸다. 풀꽃들의 화려함이 극에 달할즈음에 피는 나무 꽃들이 그렇다. 매화와 벚꽃이 그 선두에 서겠지만 주목받는 요란스러움을 지나면 차분하게 존재를 드러내는 꽃들이 있다.

꽃의 생김새는 분꽃을 닮았다. 이 때문에 분꽃나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그 향기는 과하지 않고 은근히 멀리 간다. 자잘한 꽃들이 가지 끝에 뭉쳐 피어 꽃봉우리를 만드니 큰 꽃으로도 보인다. 다른 나무꽃에 비해 오랫동안 피어있다.

내 뜰에 들어와 몇 해를 보내더니 제법 그럴듯한 모양으로 자리를 잡았다. 키도 적당하고 많은 꽃을 달고 있어 은근히 주목을 끈다. 정원수로도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