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은 두 측면에서 자본주의 형성에 기여한다. 특히, 근대의 군대는 상비군으로 거대한 금융 및 실물 경제의 수요자로 작용한다. 군대의 보급은 농산물과 섬유 제품의 수요를, 군대의 무기 체계는 중화학 공업의 수요를 촉발시켰으며, 이를 감당할 수 있는 시스템 변화를 요청했다. 이와 함께 이들을 조달할 수 있는 자금 조달 시스템의 필요는 푸거가와 로스차일드 등의 대자본가들의 탄생을 가져왔다. 이처럼 좀바르트는 군사 제국주의와 자본주의의 연계성을 「전쟁과 자본주의」에서 체계적으로 논증한다...


근대 근대는 상비군이며 국가 군대이다. 이미 언제나  존재한 두 가지 경향, 즉 (국가의 대표자로서) 제후를  유일한 지휘관으로 여기는 것과 그에게 지속적으로  군대를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은  계속해서  효과를 거둬 마침내는 보편타당한 원칙이 되었다. 이 두 원칙의 승리는 외면상으로는 -  말하자면, 상징적으로는 - 국가 상비군의  식량 조달과 장비를 위한 자금을 지속적으로 준비하거나 제공하는 것에서 표현된다.(22/148)
- P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식민지가 근대 자본주의의 발전에 대해서 지닌 탁월한 의의, 즉 모범으로서, 성향 형성자로서, 재산 형성자로서 시장 형성자로서 지닌 의의를 머릿속에 떠몰려 보라. 그러면 거대한 식민지 정복이라는 이 하나의 전쟁 성과로도 전쟁을 자본주의 본질의 창조자로 보기에 충분하다. 전쟁에는 두 개의 얼굴이 있다. 전쟁은 여기에서는 파괴하고, 저기에서는 건설한다.(15/148)
- P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 고전의세계 리커버
카를 마르크스 지음, 김현 옮김 / 책세상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양도 Veraußerlichung는 외화 Entaußerung의 실천이다. 인간은 그가 종교에 사로잡혀 있는 한, 자신의 본질을 단지 대상화된 본질로만 인식할 뿐이다. 왜냐하면 인간은 자신의 본질을 낯선 공상적 본질로 만들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그들에게 낯선 본질, 즉 화폐의 의미를 부여함으로써만 실천적으로 활동할 수 있고, 실천적으로 대상을 산출할 수 있다._ 칼 마르크스,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 p54/124


 칼 마르크스(Karl Heinrich Marx, 1818 ~ 1883)의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 Zur Judenfrage>는 브루노 바우어(Bruno Bauer, 1809 ~ 1882)의 <유대인 문제 Die Judenfrage>에 대한 비판이자, 반유대주의에 대한 유대인 마르크스의 인식이 담긴 책이다. 마르크스는 본문에서 바우어가 문제를 '종교'라는 한정된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음을 비판한다. 바우만은 기독교가 유대교로부터 나온 보다 나아간 형태의 종교이기 때문에, 기독교 안에서 통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정치적 해방'이라는 마르크스의 새로운 관점 제기로 비판된다.


 기독교 국가는 기독교 국가의 본질상 유대인을 해방시킬 수 없다. 그러나 바우어는 유대인이 그들의 본질 때문에 해방될 수 없다고 덧붙인다. 국가가 기독교적이고, 유대인이 유대인적인 한, 양자는 결코 서로 해방을 줄 수도 없고, 해방을 받아들일 수도 없다. _ 칼 마르크스,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 p15/124


 바우어는 해방되어야 할 유대인과 해방해야 할 기독교 국가가 어떤 특성을 가지는지 묻는다. 바우어는 이 질문에 유대교 비판으로 답한다. 그는 유대교와 기독교의 종교적 대립을 분석하고, 기독교 국가의 본질을 설명한다.(p16/124)... 정치적 해방 자체에 대한 비판만이 비로소 유대인 문제에 대한 최종적인 비판이자, "시대의 보편적 문제"로 유대인 문제를 참답게 해소하는 방법이었다. 바우어가 문제를 이 수준까지 끌어올리지 않았기 때문에 그는 모순에 빠져 버렸다._ 칼 마르크스,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 p19/124


 마르크스는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에서 종교를 대신하여 '정치적 해방'과 '인간적 해방'이라는 두 가지 해방을 말한다. 정치적 해방을 통해서 '종교'의 틀을 벗어나 문제를 봤을 때, 비로소 문제의 본질인 '정치 - 화폐'의 모순이 발견되고, 참다운 해방인 '인간적 해방'이라는 길이 보인다는 것이 주된 요지다. 결국, 마르크스에게 '유대인 문제'는 '화폐'로부터 비롯된 인간 소외와 대상화된 인간 문제로 치환된다.


 정치적 해방은 동시에 민족에게 낯선 국가적 본질, 즉 지배 권력 Herrschermacht이 기대고 있는 낡은 사회의 해체이다. 정치적 혁명은 시민사회의 혁명이다. 낡은 사회의 특징은 무엇이었는가? 하나의 단어가 그것을 특징짓는다. 바로 봉건성이다._ 칼 마르크스,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 p40/124


 유대인과 기독교의 정치적 해방, 일반적으로 종교적 인간의 정치적 해방은 유대교로부터의, 기독교로부터의, 즉 종교로부터의 국가의 해방이다. 국가는 국교로부터 해방됨으로써, 다시 말해 국가로서의 국가가 그 어떤 종교도 공인하지 않음으로써, 국가가 오히려 스스로를 국가로 공인함으로써, 국가는 국가의 형식 안에서, 즉 국가의 본질에 적합한 방식으로 국가로서 종교로부터 해방된다._ 칼 마르크스,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 p22/124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에서 우리는 마르크스가 유대주의를 바라보는 관점을 알 수 있다. 마르크스는 문제를 '반유대주의' 또는 '유대인 문제'의 해결을 '민족'의 문제로 한정짓는 대신 사회 구조에서 찾는다. 이러한 마르크스의 해법은 한 단계 높은 차원에서 문제를 내려다본 것이라 여겨진다.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는 사회구조적 관점에서 문제점을 찾고 근원적인 해결안을 찾으려는 마르크스의 관점을 알 수 있다는 점과 함께 민족주의로 흐르지 않고 냉정한 태도로 현안을 분석한다는 점에서 헤르츨의 <유대 국가>와는 여러 면에서 비교된다. 이제 자연스럽게 마르크스와 헤르츨의 '반유대주의'에 대한 문제인식과 해결방안을 비교해볼 차례라 여겨진다. 이는 별도의 페이퍼에서 살펴보도록 하자...


 유대인의 실천적이고 정치적인 힘이 그들의 정치적 권리와 밎는 모순은 정치와 화폐의 힘 일반 사이의 모순이다. 정치가 화폐에 대해 관념적으로 우위를 행사하는 동안, 정치는 사실 화폐의 노에가 되어버렸다. 무엇이 그 자체 an und fur sich 유대교의 토대였는가? 실천적 욕구, 이기주의였다._ 칼 마르크스,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 p51/124


화폐는 이스라엘의 질투 많은 신이다. 그 앞에서는 다른 어떤 신도 존립해서는 안 된다. 화폐는 인간의 모든 신들을 낮추어서 그 신들을 상품으로 변화시킨다. 화폐는 보편적인, 그 자체로 구성된 모든 사물의 가치이다. 때문에 화폐는 세계 전체에서, 인간 세계 및 자연에서 그들이 지닌 고유한 가치를 강탈했다. 화폐는 인간에게 낯선 인간 노동의 본질이자, 인간에게 낯선 인간 현존의 본질이다. 이 낯선 본질이 인간을 지배하며 인간은 그것을 숭배한다._ 칼 마르크스,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 p52/124 - P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車)>에서 말하였습니다. 발을 잘라 신발에 맞춘다면 누가 그의 어리석음을 말하는가? 어떤 사람이 이런 사람과 같은 무리냐 하면 욕망을 추구하여 신체를 훼손하는 사람이다. 진실로 애통할 일입니다.(25/58)
- P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릇 백성이 넉넉해지고 재물이 쌓이게 하는 요점은 부역을 중지하고 수탈을 금하는 데에 있으니, 그러면 백성은 힘들이지 않아도 풍족해집니다.(13/71) - P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