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의 눈 아래에서 - 한국의 친족, 신분 그리고 지역성
마르티나 도이힐러 지음, 김우영.문옥표 옮김 / 너머북스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친족과 권력이 조르주 발랑디에의 말처럼 ˝변증법적 관계˝에 놓여 있었다는 사실은 신라사회를 신분집단들로 계층화하여 최상위층만이 국가와 사회에서 가장 유력한 자리를 세습적으로 차지할 수 있게 만든 골품제에 의해 확실하게 입증되었다. (p51)... 골품제가 무너진 뒤에도, 그 바탕에 깔린 철학은 그대로 남아 있었다. 귀족적 출계집단 모델에 기초한 사회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에 우선했다. 이 두 가지 힘, 즉 사회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 사이의 중대한 상호작용은 고려의 역사를 계속해서 귀족적 출계집단의 성쇠와 뒤얽히게 만든 역사적 계기가 되었다. _ 마르티나 도이힐러, <조상의 눈 아래에서>, p52

마르티나 도이힐러(Martina Deuchler, 1935 ~ )가 전작 <한국의 유교화 과정 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Korea: A Study Of Society And Ideology>에서 여말선초(麗末鮮初)를 배경으로 신유학(新儒學)의 도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면, <조상의 눈 아래에서 Under the Ancestors‘ Eyes: Kinship, Status, and Locality in Premodern Korea>는 신라(新羅)와 조선(朝鮮) 후기까지 분석을 확장해 간다.

본문을 통해 그가 내린 결론은 한국 사회에서 ‘사회적인 것‘은 언제나 ‘정치적인 것‘에 앞선다는 것이다. 유럽에서 성(聖)과 속(俗)의 대립이 있었다면, 저자는 한국 사회에서는 혈연(血緣)에 근거한 엘리트 집단과 이를 무너뜨리기 위한 정치권력과의 다툼이 있었다고 본다. 다른 계층에게는 배타적이면서도 내부적으로는 지방에 근거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세력을 굳건하게 유지하는 향(鄕)족과 수도에 위치하며 중앙권력과 관계를 공고히 하는 사(士)족. 이들간의 오랜 다툼의 기원을 저자는 신라에서부터 찾는다. 그 사이 왕조 교체와 같은 정치 격변기에 선종(禪宗), 성리학(性理學)과 같은 정치 이데올로기가 새로운 시대 정신으로 제시되었지만, 사회적인 관계에 기반한 지배층의 교체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음을 저자는 역사를 통해 보여준다.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뷰에서 살펴보도록 하자...

고려시대에 발생한 사건들이 말해주듯이, 출계집단들의 역사에는 언제나 운명의 변전이 있었고, 왕조 교체기에는 으레 그들의 부침이 더욱 심했다.(p105)... 놀랍게도 고려시대의 주요 출계집단들 가운데 소수만이 조선 초기에 쇠잔했다.... 규모가 작고 뿌리가 깊지 않은 출계집단들이 잠시 흥했다가 사라진 것에 비해, 규모가 크고 방계가 많은 출계집단들은 다른 분파를 통해 명맥을 유지하면서 ‘족망‘을 보전할 수 있었다. _ 마르티나 도이힐러, <조상의 눈 아래에서>, p107

한국에도 상인과 무역업자, 여러 부류의 장인이 존재했지만, 엘리트층이 과거의 모든 과정을 통제하고 있었기에 비엘리트 출신의 경쟁자들은 아무리 부유하고 박식해도 과거제를 통해 권력을 휘두르는 자리에 올라갈 수 없었다. 더욱이 재산은 꼭 필요한 것이었지만, 단 한번도 결정적으로 중요한 사회적 가치로 인정받지 못했다. 나아가 한국인의 친족 중심 성향으로 인해, 엘리트층과 관료사회가 완전히 일치한 적은 없었다. 사회적인 것은 언제나 정치적인 것에 우선했다. 바로 이런 사실이 조선 후기의 재지 엘리트층에 힘을 실어주었고, 덕분에 그들은 중앙의 정치과정에 더 이상 참여할 수 없게 된 뒤에도 높은 사회적 신분을 유지할 수 있었다. 사족의 경쟁자들은 비엘리트층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조선 후기에 엘리트의 사회적 배타성에 의해 생겨난 두 이례적인 사회집단인 향리와 서얼 중에서 나왔다. _ 마르티나 도이힐러, <조상의 눈 아래에서>, p7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성후(元城侯) 탁발굴(拓跋屈)이 말하였다.
"백성들이 도망하여 도둑이 되었어도 죄를 다스리지 않고 그들을 사면해주면 이는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도리어 아랫자리에 있는 사람에게 구걸하는 것이니 그 가운데 으뜸가는 악한 사람을 죽이고 그 나머지 무리를 사면하는 것만 못합니다."(p36/99) - P36

최굉이 말하였다. "성스런 왕께서 백성을 통치하는 것은 그들을 편안하게 하는데 힘쓸 뿐이니, 그들과 더불어 이기고 지는 것을 비교할 것은 없습니다. 무릇 사면하는 것이 비록 바른 것은 아니지만 임시변통으로 행사할 수 있습니다."(p36/99) - P36

장차 강을 건너려고 할 때 바람이 갑자기 불자 무리들이 모두 이를 어렵다고 생각하였다. 유유가 말하였다.
"만약 천명(天命)이 나라를 돕는다면 바람은 마땅히 스스로 그쳐야 할 것이고 만약 그것이 그렇지 못하다면 뒤집혀 빠져 죽은들 무슨 해가 되겠는가?"
즉시 배에 오를 것을 명령하고 배가 이동하는데 바람이 그쳤다.(p44/99) - P4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속담에서 말하기를 ‘아름다운 피부는 바보 같은 뼈대를 싸고 있지는 않다.’고 하였으니, 헛되고 망령된 말일뿐이다."(p22/105) - P22

이고가 손수 명령을 작성하여 여러 아들들에게 경계하여 말하였다.
"정치에 종사하는 사람은 마땅히 상을 주거나 벌을 주면서 살펴보고 신중해야 하며, 좋아하고 미워하는 것으로 처리하지 말며, 충성스럽고 올바른 사람을 가까이하고, 아첨하는 사람들을 멀리하고, 주변의 사람들에게 몰래 위엄과 축복을 제멋대로 다루게 하지 마라. 비방하거나 칭찬하는 말이 들려올 때에도 마땅히 진실인지 거짓인지를 깊이 생각하여 밝혀내야 하고, 송사(訟事)를 심리하거나 옥사(獄事)를 처결할 때에도 반드시 온화한 얼굴로 이치에 따라 일을 처리하며, 신중히 하여 일을 거꾸로 하거나 속이거나 추측하거나 확신하지 말며, 목소리나 얼굴색을 가볍게 드러내지 마라. 힘써 널리 자문하여 묻고 혼자서 오로지 결정하지 마라."(p27/105) - P27

상서 장화(張華)가 말하였다.

"이웃나라를 침략하는 것은 전쟁이 이어지고 재난이 나타나니, 이족에서 이미 갈 수 있다면 저들도 역시 올 수 있으니 국가의 복이 아닙니다. 폐하가 사랑하는 어머니가 남의 손에 잡혀 있는데, 어찌 실속 없는 이름을 애석해 하여 그들을 위하여 스스로를 낮추고 굽히지 않습니까? 중서령 한범(韓範)이 일찍이 진왕과 함께 부씨(?氏)의 태자사인(太子舍人)이었으므로 만약 그에게 가도록 한다면 반드시 뜻하는 바와 같이 얻을 것입니다."(p45/105) - P4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추억의 기록
마르티나 도이힐러 지음, 김우영 옮김 / 서울셀렉션 / 2020년 2월
18,500원 → 16,650원(10%할인) / 마일리지 920원(5% 적립)
2021년 08월 18일에 저장
절판
[eBook] 추억의 기록 : 50년 전 내가 만난 한국, 사진 속 순간들
마르티나 도이힐러 지음, 김우영 옮김 / 서울셀렉션 / 2020년 3월
11,000원 → 11,000원(0%할인) / 마일리지 550원(5% 적립)
2021년 08월 18일에 저장

조상의 눈 아래에서- 한국의 친족, 신분 그리고 지역성
마르티나 도이힐러 지음, 김우영.문옥표 옮김 / 너머북스 / 2018년 11월
45,000원 → 40,500원(10%할인) / 마일리지 2,25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21년 08월 18일에 저장

한국의 유교화 과정- 신유학은 한국 사회를 어떻게 바꾸었나
마르티나 도이힐러 지음, 이훈상 옮김 / 너머북스 / 2013년 10월
27,000원 → 24,300원(10%할인) / 마일리지 1,35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21년 08월 18일에 저장



4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국의 유교화 과정 - 신유학은 한국 사회를 어떻게 바꾸었나 너머의 역사담론 4
마르티나 도이힐러 지음, 이훈상 옮김 / 너머북스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세기 동안 고려 사회는 성격이 점차 바뀌었다. 확산되는 중국의 영향으로 부계 중심 철학이 공계적인 한국의 원래 친족 체제에 미묘하게 덧붙은 것이다. 그 결과는 전통으로부터의 거대한 전환이 아니다. 오히려 전통 한국 체제가 개인과 집단에 부여하는 선택의 폭을 점차 좁히는 것이다. 고려 사회조직 고유의 융통성과 전략은 부계를 기초로 한 규칙에 점차 제한되면서 선택의 여지가 거의 없게 되었다... 때맞춰 한국 사회가 부계적 변환을 완결한 것은 바로 이 신유학 이데올로기의 추진력 덕분이다. _ 마르티나 도이힐러, <한국의 유교화 과정> , p126

마르티나 도이힐러(Martina Deuchler, 1935 ~ ) 의 <한국의 유교화 과정 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Korea: A Study Of Society And Ideology>은 여말선초(麗末鮮初)의 시대 상황에서 부계(父系)/모계(母系) 중심의 양계(兩系) 중심에서 부계 중심, 특히 장자(長子) 중심의 사회로 변화되는 과정을 면밀하게 따라가는 책이다. 저자는 본문을 통해 신유학(新儒學)이라는 성리학(性理學)의 도입이 몽골, 전통사회 이데올로기를 몰아내고 소중화(小中華)로 자리매김하려는 사대부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존 사상과의 융합을 통해 한국만의 독자적인 제도가 정착되었음을 밝힌다. 이에 대한 상세 내용은 리뷰에서 살펴보는 것으로 넘기자...

특기할 만한 것은 조선시대에도 계속하여 모계가 중요한 역할을 하기는 했지만 고려 말부터 조선 중엽에 걸친 과도기에서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근본적으로 달라졌다는 것이다.... 출계 개념이 양계에서 부계로 바뀌게 됨에 따라 고려시대에는 자년 균분 상속으로 경제적 독립을 누리던 여성이 조선시대에 와서는 상속권을 잃음으로써 경제적으로 남편에게 종속되는 결과를 낳게 된 것이다... 처 primary wife로 간주되는 여성만 자기 자식에게 완전한 양계 제도를 부계를 약화하지 않고 오히려 더 엄격한 제도로 만들었다. 이 사실은 중국 사회와 크게 구별되는 중요한 점이다. _ 마르티나 도이힐러, <한국의 유교화 과정> , p4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