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이 구체화되어 있는 모든 장소들은 종교적, 정치적, 상징적 성격과 아울러 역사 및 족보 편찬의 성격을 띠기 마련이다. 그 기억의 주요한 측면들이 '유산(heritage)' 이라는 기호(記號) 아래 재편되어 나타나는 것은, 그런 기억이 펼쳐지는 바로 그 시대에 그것 자체가 스스로 시대를 초월한 하나의 의례처럼 표현되는 것에 관심을 쏟으며, 시간적으로 유한한 자신의 흔적을 초시간성 또는 초자연성의 낙인으로써 확증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그 기억 속에는 아직 민족은 없지만 민족적 신성성이 뿌리를 내리고 있다. 그것은 이후에 나타난 민족적 기억의 온갖 형태들에 그러한 성격을 물려줄 것이며, 또 그런 신성성이 그 기억에 영속적인 정당성을 부여한다. _ 피에르 노라 외, <기억의 장소 2 : 민족>, p494


 <기억의 장소 Les Lieux de Memoire>는 민족적 기억(memoire nationale)과 사람들의 행동이 상호작용을 통해 특별한 표상과 뚜렷한 상징물로 남은 물질적, 비물질적 장소를 통해 프랑스 역사를 삶 속에서 발견하는 노력의 결과물이다. 기억들이 현재적인 것이라면, 역사는 과거의 산물이며 재해석되어야 한다는 차이가 있는데, <기억의 장소>에서는 장소 속에서 이들을 펼쳐낸다. 특히, <기억의 장소 1 : 공화국>에서 '전사자 기념비'는 이런 역사의 흔적이 잘 남겨진 기억의 장소로, 우리는 애국심의 전형을 여기서 발견할 수 있다. 역사의 자취가 남겨진 장소에서 찾는 현재의 의미 또는 기억. 때로는 역사와 기억의 가치가 일치할 수도 있겠지만, 다른 경우에는 충돌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 면에서 <기억의 장소>는 장소를 통해 역사와 기억의 대화를 잘 보여주는 책이다.


 자신의 의무를 다했던 시민들을 기념하는 것은 각자에게 자신의 의무를 다하라고 권고하는 것이었다. 자신의 공민적 의무를 이행하는 것은 아주 좋은 일이고, 죽음에 이르기까지 그것을 수행했던 사람들은 결코 망각되어서는 안 되고, 역으로 국가(la cite)를 위해 죽은 시민들에게 경의를 표하는 것은 공민적 의무의 위대함을 분명하게 드러내 보이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억하는 이 일은 곧 공민으로 개조하고 교육시키는 일이었다.(p226)... 교육하지 않고 기념하지 않는 공화국은 죽은 공화국, 다시 말해 사람들이 그것을 위해 더 이상 죽으려고 하지 않는 공화국이다._ 피에르 노라 외, <기억의 장소 1 : 공화국>, p227


 <기억의 장소>의 주저자 피에르 노라(Pierre Nora, 1931 ~ )는 기억은 곧 삶이고 언제나 살아있는 집단에 의해 생겨나 끝없이 진화해 가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의 연장선상에서 조선시대의 조상묘(祖上墓) 재발견 역시 집단 기억의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굳이 차이를 찾는다면, <기억의 장소>의 기억 집단은 국가, 민족인데 반해 <조상의 눈 아래에서>는 가문(家門), 문중(門中) 이라는 정도일까.


 기억의 문화는 조상숭배의 본질적 요소였다. 추모적인 실천행위로서, 조상숭배는 주요 선조의 무덤이나 가모에서 공동의 출계에 대한 기억을 의식화했다. 직계의 재구성을 위한 문서적 증거가 없었을 때, 조상의 묘는 유력한 기억 환기 장소로 기능할 수 있었다. 이런 통찰이 주요 조상의 무덤을 찾으려는 노력의 동기가 되었음에 틀림없다. 하지만 옛 무덤들은 관리가 되지 않았을 경우 서서히 사라졌기 때문에, 자손들은 "산양과 소가 짓밟고 다니는" 곳이 선조들의 무덤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무심코 지나치기 일쑤였다. _ 마르티나 도이힐러, <조상의 눈 아래에서>, p358


 마르티나 도이힐러(Martina Deuchler, 1935 ~ ) 교수는 <조상의 눈 아래에서>를 통해 15세기까지 조선 사회에서 크게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던 조상묘가 친족 이데올로기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면서 16세기부터 '조상 장지'를 찾아내고 보호하는  일이 중요해졌음을 지적하는데, 이를 통해 우리는 성묘가 과거 기억의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정해진 족보상의 관계에 따라 남계친을 가묘 앞에 모이게 하는 당내와 대조적으로, 문중은 명백하게 '결사체적 associational'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특정 조상의 모든 남계 후손을 포함했고 그들에게 동등한 혜택을 주었다. 공동자산의 혜택은 적어도 처음에는 경제적이라기보다는 상징적인 것이었을 터이다. 그렇지만 걸출한 선조의 무덤에서 개혁된 의례를 과시적으로 봉행하는 것이나 대종을 확실하게 지원하는 것은 단지 극진한 효행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집단 전체의 이익을 위해 조상의 위세를 이용하는 행위이기도 했다... 전자가 직계라는 유교적 원리에 입각한 수직적인 친족관계를 강조했다면, 후자는 평등한 형제관계라는 토착적 전통을 떠올리는 친족의 수평적 측면을 만족시켰다. _ 마르티나 도이힐러, <조상의 눈 아래에서>, p356


 이러한 기억이 전통으로 자리잡게 되는역사적 과정에는 임진왜란(壬辰倭亂, 1592 ~ 1597)과 정유재란(丁酉再亂, 1597 ~ 1598), 정묘호란(丁卯胡亂, 1627)과 병자호란(丙子胡亂, 1636)으로 인해 흔들리는 사회질서에 대한 반발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나, 여기에 더해 문중의 이익이라는 경제적 문제도 관여되었다는 사실도 함께 확인하게 된다. 극기복례(克己復禮)라는 유교 본연의 정신을 강조하고 흔들리는 사회질서를 바로 잡고자한 조선 후기 지배층의 노력 뒤에는 결국 그들의 기득권 보호를 위한 숨은 의도가 있던 셈이다. 그 과정에서 가문의 '직계'는 강조된 반면, 이들을 제외한 이들 - 여성, 서출 등 - 은 철저하게 배제되어 왔고, 기억이 만들어 낸 전통은 오늘날까지도 우리에게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평소 여러 곳에서 각자의 삶은 살던 후손들이 자신의 뿌리를 찾아 한데 모이고 화합을 다지는 것이 긍정적인 영향이라면, 이러한 명절의 후유증을 겪는 이들도 있다는 것은 부정적인 영향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남계로 연결된 친척들이 결국 특정 장소 한 곳에 집중적으로 매장됨에 따라, 묘지는 점차 비남계친에게는 폐쇄되었다... 남계친과 비남계친의 무덤들이 종종 섞여 있었다는 사실은 이따금 후손들 사이의 장기적인 토지 분쟁을 불러일으켰고, 그 결과 중요한 묘지의 발견을 지연시켰다. _ 마르티나 도이힐러, <조상의 눈 아래에서>, p361


 주요 조상의 장지를 보호하려면 당연히 새로운 부계 친족모델에 일치하도록 묘지를 정비해야 했다. 비남계 후손과 서출은 명시적으로 배제되었다. 정리된 묘역의 조성은 분명히 '직계'의 의미를 후손의 마음에 심어주는 추가적인 수단이었다. _ 마르티나 도이힐러, <조상의 눈 아래에서>, p363


 민족의 명절인 추석을 맞이해 성묘를 다녀왔다. 오늘의 나를 있게 해 준 선조들을 생각하고, 이들의 후손들이 한데 모여 서로 안부를 확인하는 것. 이것은 분명 역사를 기억하는 작은 노력이라 여겨진다. 동시에, 시대에 따라 이제는 지키기 어려운 전통들(가문에 따라 다르겠지만)에 대해서는 후손들이 함께 고민하고 고쳐나가야하지 않을까도 생각하게 된다. 전통으로 내려져 온 것들이 현재의 우리에게 심한 갈등과 본목을 가져다 준다면, 이제는 그것을 재해석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처음부터 전통(傳統)이란 존재한 것이 아니라, 발명된 것이기에.


 전통을 발명해낸다는 것은, 한 마디로 무엇이냐 하면, 여기서 가정하듯이 과거에 준거함을 특징으로 하면서 다만 반복되는 것만으로도 공식화되고 의례화되는 과정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_ 에릭 홉스봄, <만들어진 전통>, p25


 에릭 홉스봄(Eric Hobsbawm, CH, 1917 ~ 2012)이 <만들어진 전통 The Invention of Tradition>에서 말한 바처럼 오늘날 우리가 전통으로 알고 있는 것들도 끊임없이 재해석된 최근의 결과물임을 생각해본다면, 맹목적인 전통 유지가 아닌 전통 인식에 대한 창조적 파괴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명절을 맞아 누군가에게는 '우울한 연휴'가 된다면, 그것은 아마도 조상님들이 원하시는 바는 아닐것이다. 기억은 곧 삶이고 언제나 살아있는 집단에 의해 생겨나 끝없이 진화해 가는 것이라면, 명절에 대한 인식도 꾸준히 바뀌어져야 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분명, 과거 명절보다는 나아졌지만, 명절 후유증을 겪는 이들이 더이상 없었으면 하는 마음을 갖게 된다...


 통상 낡은 것처럼 보이고 실제로 낡은 것이라고 주장하는 이른바 '전통들(traditions)'은 실상 그 기원을 따져 보면 극히 최근의 것일 따름이며, 종종 발명된 것이다.(p19)... '만들어진 전통'은 명시적이든 암묵적이든 통상 공인된 규칙에 의해 지배될 뿐만 아니라 특정한 의례나 상징적 성격을 갖는 일련의 관행들을 뜻하는 것으로 간주되는데, 그것들은 특정한 가치와 행위 규준을 반복적으로 주입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과거와의 연속성을 내포한다. 기실 그런 관행들은 가능하다면 언제나 역사적으로 기념하기에 알맞은 과거와의 연속성을 확립하려고 든다. _ 에릭 홉스봄, <만들어진 전통>, p20



댓글(7)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0-10-03 00:4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실제로 우리의 경우에도 전통이라는 것 중 그 기원이 오래지 않은 것들이 많지요. 장자우선의 제사 문화라는것이 자리잡는 것도 따지고보면 16세기밖에 안되면서 5천년 전통인것처럼 과시되는데 그건 그 과시를 통해 이익을 보는 집단이 권력을 잡았었기 때문이고요. 근데 이런 얘기 백날 알고 말해봤자 저의 신세는 8대 장손집 며느리입니다. ㅎㅎ

겨울호랑이 2020-10-03 08:03   좋아요 0 | URL
일단 주류로 받아들여진 전통과 도덕 등이 새롭게 바뀌는 것에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만 그 시간은 사람들의 인식이 널리 받아들여지는 시간이 아닌 사회의 구성원 다수가 바뀌는 시간이 아닐까 여겨집니다...

2020-10-13 05: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10-13 06:55   URL
비밀 댓글입니다.

samadhi(眞我) 2020-10-13 10:44   좋아요 1 | URL
생활을 바꿔야하는데 그게 늘 어렵네요. 머리야 뭐 우리남편 말대로 ‘개념없어 보이는‘ 모양이었으니 전혀 신경쓰지 않아요.

겨울호랑이 2020-10-13 15:30   좋아요 0 | URL
^^:) 좋은 일을 하셔서 작은 일은 samadhi 님 눈에 안 들어오는 듯 합니다.

samadhi(眞我) 2020-10-13 18:09   좋아요 1 | URL
그런 건 아니고요. 다른 사람 시선을 신경안써서 그래요. 신경 좀 써야 할 때도요^^ 굳이 자랑처럼 알린 것은 많은 이들이 동참하길 바라서예요.
 

흐린 날이라 쪽빛 가을 하늘을 볼 수 없지만, 모처럼 함께 하는 가족들이 있어 풍요로움을 느낄 수 있는 추석입니다. 행복하고 여유로운 하루 되세요!


오다가다 길가에 돋아 자란 풀포기도 그 자신의 삶에 충실할 적에나는 무엇으로 시간을 보냈던가? ... 크나큰 뉘우침과 자각의 눈이 열리리라. 가을볕 따가운 햇살을 받으며 익어가는 고추처럼 가을 열매처럼 저절로 그냥 철이 들어 겸허한 생활의 자세도 배워 좋은  가족이 되고 아끼는  이웃이 되어  더불어  힘껏 살  용기를 얻으리라.
- P31

끝없는 사랑과 희생과 용서를 요구하는 자식들, 어찌 제 몫의 재산, 제 몫의 사랑과 희생만 주겠는가? 부모는 그 이상을 주고도 다시주고 싶어한다. 자식은 가장 슬프고 가장 고독하고 무력할 때 부모를 찾는다. 애정에 실패하고 친구에게 배신당하고, 사업에 실패하고, 병들고 좌절 당할 때 달려가는 품안, 그곳은 언제나 부모의 품안이 아니었던가? - P34

우리는 친구의 배신에 아파하지만, 그 상처는 세월이 지나면 지워질 수 있다. 배신한 친구에겐 애정을 철회하고, 친구 관계를 단절하면 그만이다. 그러나 부모와 자식의 관계, 조상과 자손의 관계 그것은 단절되거나 철회될 수 있는 관계인가? 절대로 아니다. 비록 자식이 살인 강도라 하여도, 그는 자기의 자식일 수밖에 없다. 자식과의 관계는 취소되거나 단절될 수가 없다. 그래서 혈연은 슬프고도 아름다운 것일까?
이토록 아름다운 인연을 의지하지 않으면 외롭고 서러워서 마음붙이고 살아갈 수 없기 때문일까? 어찌하여 신은 인간에게 이토록 아프고 아름다운 인연을 주셨을까?
- P35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20-10-01 16:2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겨울호랑이님, 즐거운 추석연휴 보내세요.^^

겨울호랑이 2020-10-01 16:56   좋아요 1 | URL
서니데이님도 행복한 연휴 되세요!^^:)

scott 2020-10-01 20: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연이랑 행복하고 풍성한 추석 보내세요.^.^

겨울호랑이 2020-10-01 22:55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scott님께서도 풍요로움을 느끼는 한가위 보내세요!^^:)
 

 

 왕(유리 이사금)이 6부를 정하고 나서 이를 반씩 둘로 나누어 왕의 딸 두 사람으로 하여금 각각 부(部)안의 여자들을 거느리고 무리를 나누어 편을 짜서 가을 7월 16일부터 매일 아침 일찍 대부(大部)의 뜰에 모여서 길쌈을 하도록 하여 밤 10시경[乙夜]에 그치는데, 8월 15일에 이르러 그 공적이 많고 적음을 헤아려 진 편은 술과 음식을 차려서 이긴 편에게 사례하였다. 이에 노래와 춤과 온갖 놀이를 모두 행하는데 그것을 가배(嘉俳)라 하였다. 이때 진 편에서 한 여자가 일어나 춤을 추며 탄식해 말하기를 "회소(會蘇) 회소(會蘇) "라고 하였다. 그 소리가 슬프고도 아름다워 후대 사람들이 그 소리를 따라서 노래를 지어 회소곡(會蘇曲)이라 이름하였다. _김부식, <삼국사기> <신라본기 1>, 유리이사금, p99


九年春 ... 王旣定六部 中分爲二 使王女二人各率部內女子 分朋造黨

自秋七月旣望 每日早集大部之庭 績麻乙夜而罷 至八月十五日 考其功之多小 負者置酒食 以謝勝者 於是 歌舞百戱皆作 謂之嘉俳 是時, 負家一女子 起舞歎曰 "會蘇 會蘇" 其音哀雅 後人因其聲而作歌 名會蘇曲


 <삼국사기 三國史記>에 의하면 한가위(秋夕)의 역사는 유리 이사금(儒理尼師今, ? ~ 57)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즉, 6부(部)를 제정한 후 무리를 나누어 길쌈을 하고 진 편이 이긴 편에게 사례를 했다고 하는 기록이 그것입니다. 당시 진 편에서 부른 노래가 아름다워 <회소곡 會蘇曲>이라 불렸던 것을 보면, 한가위의 가배는 승패를 떠나 아름다움으로 하나가 되었던 축제라 생각됩니다. 반면, 후대의 진흥왕(眞興王, 526 ~ 576)의 원화(源花)제도는 비극으로 끝난 경쟁이었습니다. 이들은 경쟁이라는 면에서는 공통점을 갖지만, 후자는 인재 등용이라는 목적으로 인해 패배를 받아들일 수 없었던 것은 아니었는지 생각해 봅니다. 


 코로나 19로 인해 예전 같지 않은 분위기의 명절입니다. 그렇지만, 한가위를 눈 앞에 두고 명절에는 힘든 세상일을 잠시나마 내려놓는 것이 힘든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가 아닌가도 생각해 봅니다. 이웃분들께서도 마음만은 풍성한 한가위 명절 보내시길 바랍니다...


 봄에 처음으로 원화(源花)를 받들었다. 일찍이 임금(진흥왕)과 신하들이 인물을 알아볼 방법이 없어 걱정하다가, 무리들이 함께 모여 놀게 하고 그 행동을 살펴본 다음에 발탁해 쓰고자 하여 마침내 미녀 두 사람, 즉 남모(南毛)와 준정(俊貞)을 뽑고 무리 300여 명을 모았다. 두 여인은 아름다움을 다투어 서로 질투하여, 준정이 남모를 자기 집에 유인하여 억지로 술을 권하여 취하게 되자 끌고 가 강물에 던져 죽였다. 준정이 사형에 처해지자 무리들은 화목을 잃고 흩어지고 말았다._김부식, <삼국사기> <신라본기 4>, 진흥왕, p151 


三十七年春 始奉源花 初君臣病無以知人 欲使類聚群遊 以觀其行義 然後擧而用之 遂簡美女二人 一曰南毛 一曰俊貞 聚徒三百餘人 二女爭娟相妬 俊貞引南毛於私第 强勸酒至醉 曳而投河 水以殺之 俊貞伏誅 徒人失和罷散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추풍오장원 2020-09-29 20:2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즐거운 연휴 되십시오^^

겨울호랑이 2020-09-29 21:06   좋아요 0 | URL
추풍오장원님께서도 행복한 연휴 되세요! ㅎ

bookholic 2020-09-30 22:3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겨울호랑이님도 여유롭고 즐거운 한가위 명절 되시길 바랍니다...

겨울호랑이 2020-09-30 22:48   좋아요 1 | URL
감사합니다. bookholic님께서도 풍성하고 행복한 추석 연휴 되세요! ^^:)
 

 청전(靑田) 양식을 통해 한국적 산수화를 완성했다고 평가받는 청전 이상범(李象範, 18 ~ 1972)의 작품을 느낄 수 있는 도록. 40호 전지 가격의 그림이 1 ~ 2억으로 평가받는 수묵화 대가의 그림 114점이 생생하게 수록되어 있다. 도록에 수록된 그림 중 다수가 1930년대 후반 이후 1960년대까지 그려진 것으로 이 시기는 작가가 1936년 손기정 선수 일장기 말소 사건 이후 금강산, 설악산 등 산수(山水)를 배경으로 한 작품들과 자연의 전체적인 형태감 재현에 집중한 해방 이후 산수화, 고성(古城)을 주제로 한 작품들이 주로 그려진 시기에 해당한다.  안개에 싸인 듯 신비한 느낌을 풍기는 산과 함께 있는 지게를 진 농부, 허름한 초가집 등은 이 곳이 무릉도원(武陵桃源)이 아닌 아름다운 현실임을 알려주는 듯하다. 청전 자신은 이 시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일장기 말소사건) 다음 날 나는 경기도 경찰부로 연행되어 갔다.

 내가 경기도 경찰부로 풀려난 날로부터 1945년 8월까지 나의 칩거 생활을 계속되었다.  <신동아>(1971.7) p216 ~ 229

 

 그러나,  <신동아>와의 인터뷰와는 달리 청전은 1940년대 칩거하지 않았다. <친일인명사전>은 그가 황국신민화와 군국주의를 선양하기 위한 전람회 심사위원이나 국방헌금 마련을 위한 전시회에 빠짐없이 출품했음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그가 즐거 사용한 필법과 산수화풍이 실은 일본 남화풍의 잔영으로 해방후 유행했던 전형적 기법이라는 사실도 함께 기록한다.


 1930년대 일본 문화통치에 대한 저항자가 1940년대 친일로 전향한 사례가 청전의 경우에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근현대사의 많은 인재(人材)들의 변절과 이들이 해방 이후 각 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사실을 청전의 그림을 통해 다시 확인하게 되니 마음이 무거워진다. 예술과 예술가는 분리되어 평가되어야 하는 것인가. 그렇지 않은 것인가. 고요하면서도 힘찬, 세밀하게 평화로운 한국의 자연을 담은 청전의 그림은 그림 밖의 내 마음을 어지럽게 만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0-09-26 01: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완용도 명필이었어요. ㅎㅎ
뛰어난 예술인이 그에 걸맞은 행동을 보여주지 못했을 때 그의 예술적 능력을 인정하면서도 마음으로부터 좋아지지는 않더라구요.

겨울호랑이 2020-09-26 07:00   좋아요 0 | URL
그렇군요... 작품이 예술가와 별개라는 생각을 하더라도 그의 사상이 담겨 있음을 생각하면 또 별개는 아니라 여겨집니다... 그런 면에서 먼저 뛰어난 전문인 이전에 도덕, 윤리관 수립이 먼저 이루어져야 하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감사합니다.^^:)
 


 걱정은 걱정 말아요... 아이가 읽고 있는 책 제목에서 좀처럼 눈을 떼기가 어렵다.


 제목을 통해 앞으로 이야기가 어떻게 흘러갈지 짐작되지만, 선뜻 잘 지은 제목이라고 하기에는 어려운 무엇일까. 그것은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라는 책 때문일까. 프레임에 갇히게 되면 그 프레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책 내용처럼, 이 제목은 '걱정'이라는 프레임 속에 가두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들게 한다. 책의 원제는 <Rudy's Worry>.


 비록, '걱정' 프레임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걱정은 걱정 말아요>는 주제를 잘 표현한다. 걱정은 혼자 만의 문제가 아니며, 함께 나눔으로써 걱정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아이의 입장에서 잘 표현한 책이다. 무어보다 책에서 마음에 들었던 부분은 걱정이 두 번 다시 나타나지 않았다는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는 내용이다. 


 사람은 언젠가 죽게 마련이고 죽음에 대한 생각이 삶에서 걱정과 불안으로 나타난다는 점을 생각해 본다면, 살아있는 동안 우리 곁 그림자의 다른 이름이 걱정일지도 모르겠다. 그런 면에서 걱정을 완전히 뿌리뽑을 수는 없다는 것을 알려주는 내용이 마음에 다가온다. 다만, 걱정 중에서도 나눌 수 없는 문제(죽음과 같은)도 있다는 것은 책에서 말하지 않는데 이는 아이들 수준을 넘는 인생의 큰 과제이기 때문일 것이다. 여기에 더해 자기계발서에서 말하는  '걱정하지 말고 문제해결에 집중해라' 식의 결론으로 흐르지 않는 것은 적절한 메세지의 선택으로 보여진다. 일단은 문제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나눌 수 있는 것만으로도 멋진 어린이일테니까. 걱정을 걱정하지 않기는 어른들도 쉽지 않지만, 적어도 사랑하는 가족들에게 근심을 주기 싫다는 이유로 마음을 닫고 혼자 고민하는 부모들에게도 이 책은 여러 생각할거리를 던져준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이버 2020-09-23 21:3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걱정은 걱정말아요 노래🎤가사 같은 제목이네요~ 문제(또는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연습은 비단 어린이 뿐만 아니라 어른에게도 필요한 것 같습니다

‘코끼리는 생각하지마‘는 고향집 책장에 꽃혀있는데 겨울호랑이 님 글을 보니 기억이 났어요 이번 추석에 내려가는 김에 갖고와서 읽어보아야겠습니다~ 행복한 밤 되세요~

겨울호랑이 2020-09-23 22:20   좋아요 1 | URL
^^:) 그렇습니다. 저도 바로 노래 가사가 떠오르더군요. 한글 제목은 노래의 영감을 받은 듯 합니다. 파이버님 말씀을 들으니 곧 추석임이 떠오르네요. 행복한 추석 연휴, 즐거운 독서 되세요! 미리 인사드립니다

han22598 2020-09-24 01:2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걱정을 하지 않으려고 걱정을 붙잡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같아요.ㅠㅠ 걱정의 감정과 생각을 환기 시키기 위한 방법이나 기술(노하우) 등이 조금 필요하기도 한 것 같아요. ㅎㅎ

겨울호랑이 2020-09-24 05:12   좋아요 0 | URL
han22598님 말씀처럼 마음을 다스리는 자기만의 의식, 방식이 있으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