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에서 강조하는 사항은 모집단에 대한 조사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정확한 표본 추출 방법을 사용한 표본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언론에서는 응답자의 수를 기준으로 대표성 여부를 따지지만, 이는 절반의 진실에 불과하다. random sampling 이라는 전제 하에서 비로소 조사의 신뢰구간이 충족된다고 했을 때, 과연 여론 조사 회사들이 보유한 패널들이 전체 모집단을 대표한다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 포인트를 획득하기 위해 응답한 이들이 자신의 생각을 마음 깊이 숨겨둔 다수의 생각을 대신할 수 있을까?

표본 숫자가 아닌 표본 추출 과정에 전반에 대한 과정이 공시될 때, 비로소 여론 조사는 프로파간다의 수단이 아닌 신뢰성과 타당성을 획득한 진정한 사회과학으로 거듭날 수 있지 않을까를 생각해 본다...


  무작위로 선정한 표본의 크기를 1,000개에서 2,000개로 두 배 늘린다고 하면, 표본추출을 위한 비용과 시간도 궁극적으로 두 배로 늘어날 것이다. 하지만 표본의 오차 한계는 최소치까지만 줄어들 것이다. 이것이 미국이 시행하는 대부분의 국가 전체를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표본 크기를1,000개에서 1,500개 사이로 설정하는 이유이다. 이 정도 표본 크기가 정확도 대비 소요 시간과 비용에 대한 효율성을 충족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타협점이기 때문이다. 표본 추출의 핵심은 조사 대상인 모집단 전체의 모든 요소들이 표본으로 선정될 동등한 기회를 부여하는 방법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표본을 선정하였을 때, 추출된 표본은 경험적인 오차 한계내에서 모집단을 일반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 P226

여론조사의 기본 원칙은 ‘무작위‘ 이며, 이 원칙이 바로 여론조사 전문가가 성공적인 표본을 추출할 수 있는 해답이다.
- P222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21-03-25 17: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씁쓸하지만 예전에 포커스 스터디
공부를 해보니, 여론조사는 설계자가
어떻게 질문 등을 설계하냐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는 그런 맹점이 있다고 하더군요.

겨울호랑이 2021-03-25 17:53   좋아요 1 | URL
레삭매냐님 말씀에 공감합니다. 사실 여론조사 뿐이겠습니까. 회계 이익도 그렇고, 과학에서 말하는 ‘가정‘도 연구자의 판단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는 점을 생각해본다면, 우리는 숫자로 만들어진 데이터로 설득당하며 살아가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J.P 모건((John Pierpont Morgan, 1837 ~ 1913), 존 D.록펠러(John Davison Rockefeller, Sr., 1839 ~ 1937), 카네기(Andrew Carnegie, 1835 ~ 1919), 에디슨(Thomas Alva Edison, 1847 ~ 1931) 부터 톨스토이(Leo Tolstoy, 1828 ~ 1910), 이사도라 던컨(Angela Isadora Duncan, 1877 ~ 1927)까지.  히로세 다카시(廣瀨隆)의 <제1권력>에는 20세기의 주요인물들 거의 모두가 언급된다. 혈연과 혼인, 연합 등으로 얽힌 그들의 관계도가 <제1권력> <제1권력 2>의 주요 내용이다보니, 인명만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책은 마무리된다. 그러다보니 독자들이 책을 다 읽은 후 '책에 등장하는 이들이 모두 한 패'라는 결론에 빠질 가능성도 충분해 보인다. 그렇지만, <제1권력>는 '신기한 TV 서프라이즈'  수준의 음모론책이라고 한다면 성급한 결론이라 생각된다. 개인적으로 두 가지 시사점을 발견하게 되는데,  칼 마르크스(Karl Marx, 1818 ~ 1883)의 <자본론 Das Kapital>의 영향력과 자본의 유전자(Meme)가 그것이다. 그리고, 이번 페이퍼에서는 이것을 풀어보려 한다. 


 <제1권력>에서  J.P 모건과 존 D.록펠러는 사업 제휴를 통해 미국의 경제를 장악하고, 헐리우드로 대표되는 문화로 대중들을 세뇌시키며, 세뇌된 민중을 활용해 민주주의의 약점을 파고들어 정계를 장악한다. 어떻게 대자본들간의 치열한 경쟁 대신 제휴/연합이 가능했을까. 그것은 바로 직전 세대인 칼 마르크스의 충언(忠言)(?) 덕분이 아니었을까. 자본주의 사회가 붕괴될 수 밖에 없는 필연적인 이유를 거대자본들간의 끊임없는 탐욕과 무한경쟁이라고 진단한 마르크스의 진단을 노동자들보다 자본가들이 더 빨리 받아들였기 때문에 이것이 가능하지 않았을까. 이로 인해 소자본들을 병합하여 탄생한 거대자본들은 이윤극대화를 위해 독점(獨占)시장으로 나가는 방안 대신 과점(寡占)시장에서 경쟁을 그치고, 대신 다른 분야로 그들의 발길을 돌려 그들의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었던 것은 마르크스의 공헌 덕분이라 생각된다. 아니, 어쩌면 모건과 록펠러와 같은 대자본가들이야말로 경제지배력을 통해 문화, 예술, 정치 등 형이상학적인 영역을 지배하려 했다는 점을 생각해본다면, '하부구조가 상부구조를 지배한다' 는 마르크스의 가르침을 충실히 이어받은 마르크스 주의자일런지도 모르겠다...


 또한, <제1권력>에 소개된 수많은 인물, 가문들이 있지만 이들은 자본의 일시적인 소유자지만, 그들이 자본의 지배자가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리처드 도킨스(Clinton Richard Dawkins)의 말처럼 유전자가 개체를 선택하듯 자본은 그들 스스로를 소유하는 것이 아닐까. <제1권력 2>에서 언급된 베어링(Baring)가문의 경우 1995년 파생상품거래로 파산한 것을 볼 때, 그들 역시 자본(資本)이라는 유전자가 선택한 하나의 개체(個體)에 불과함을 느낀다. 집중(集中)하고 대규모로 응축되는 블랙홀(Black hole)과 같은 자본의 속성에 유명한 로스차일드(Rothschild)도, 일찍이 진나라 재상이었던 여불위(呂不韋, ? ~ BC 235)도 하나의 방편에 불과했던 것은 아닐까.


 <제1권력>을 통해 자본의 속성과 마르크스의 영향력, 기득권의 합종(合從)이 세계적인 것임을 가계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면, 우리는 토마 피게티(Thomas Piketty)가 <21세기 자본>에서 글로벌 자본세를 주장한 배경 중 하나는 본 것이라 하겠다. 그럼 다음에는 마르크스의 조언을 받아들여 한 단계 성장한 자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안을 <자본과 이데올로기>를 통해 확인해보도록 하자...




댓글(7)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0-12-12 13: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12-12 19: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12-14 09: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12-14 09: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12-14 14: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12-13 13: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12-13 14: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히로세 다카시의 「제1권력 2」는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멸문한 것으로 알려진 로마노프 왕조가 혁명 이후에도 그 영향력을 상실하지 않았음을 가문 계보도를 통해 보여준다.

저자는 흐루시초프(1894 ~ 1971)라는 인물을 사이에 두고 로마노프 왕가의 정치권력이 자본권력으로 바뀌었음을 말한다. 어떻게 보면 프리메이슨, 일루미나티 등의 음모론의 다른 아류로도 생각되지만, 책 전반에 걸쳐 유럽 가문들의 얽힌 계보에 드러난 저자의 노력을 본다면 음모론을 넘어선 메세지를 발견할 수 있다...

러시아에 교묘하게 자신의 정체를 감춰온 거대 집단이 있다. 로마노프 가를 지배하고 소련 공산당 간부를 움직여 왔으며, 앞으로의 신생 러시아를 미국 · 유럽 재벌과 연결하는 것이 바로 시베리아의 비경을 지배하는 그들 매머드집단이다. 그들 앞에서는 어떤 정부 고관이라 해도 자세를 낮추고 조용히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한다.
- P243

마지막으로 보여드릴 계보는, 첫 장이 프랑크푸르트의  유대인 게토에서 출발한 로스차일드 금융재벌이 어떻게  러시아 · 소련과 관계를갖게 되었는지를 보여드리는  계보도  38, 두 번째 장이 신대륙 미국을 개척한 선구자가 어떻게 현대 사회를 움직이고 로마노프 가의 재보를 손에  넣었는지를 밝히는 계보도 39인데, 양쪽 모두 역사의 축소판이다. 이들 계보는 거기에 그려져 있는 ‘옛날 사람들‘을 통해 비로소 현대사를 설명할 수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해 줄 것이다.
- P422

‘로마노프 가의 황금‘ 은 대러시아가 제정에서 공산주의로 바뀌고, 그리고 현대에 와서 다시 공산주의에서 제정으로 돌아가는 시대의 흐름 속에서, 전혀 변함없이 ‘쌍두의 매 패밀리‘ 에 의해 엄중하게 관리되어 왔다. - P437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0-12-12 13: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12-12 19: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제1권력 : 자본, 그들은 어떻게 역사를 소유해 왔는가」의 저자 히로세 다카시는 금융의 모건 가문과 석유의 록펠러 가문이 어떻게 미국의 산업과 문화 전반을 잠식하는지를 상세하게 묘사한다. 이러한 구도 안에서 일찍이 마르크스가 「자본론」에서 묘사한 독점자본이 얼마나 거대해질 수 있는지, 그리고 이 거대 공룡이 정치를 통해 그 지배를 강화해왔음을 깊이 느끼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제1권력」은 우리에게는 민족의 아픔으로 느껴지는 ‘한국전쟁‘이 누군가에겐 비즈니스 게임의 일부라는 사실도 알려준다. 이를 통해 우리는 분단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확인할 수도 있다.

요약하자면, 「제1권력」은 자본주의 사회의 주인이 누군가인지를 냉정하게 진술하고 있으며, 경제체제인 자본주의가 파트너인 정치체제로 민주주의를 선택한 것은 자신의 지배를 가장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넌지시 제시한다. 누군가는 음모론이라고 치부할 수도 있겠지만. 생각보다 우리가 가는 길을 막는 장애물은 어마어마하게 거대할 수도 있겠다...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대전이 막을 내렸을 때, 일본의 동양척식주식회사는 한반도 토지의 64%라는  실로 광대한 지역을 지배하고 있었다. 이 회사는 전쟁  전에 미국에서 사채를 판매하기도 했다. 그런데 전쟁  전과 전쟁중, 그리고 전쟁이 끝난 뒤에도 한반도의 독점지배 회사나 마찬가지였던 동양척식주식회사의 재산 관리 회사는 어디였을까? 놀랍게도 그것은 모건의 내셔널시티은행이었다.  - P288

그렇다면 휴전 날짜는 어떤가? 그들은 전쟁을 통해  한국 민중을 지배하려고 한 게 아니었다.  한반도 남부에  대한 지배를 굳힌 뒤  "38도선을 확정함으로써 일단  승리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는 투기꾼다운 발언이 휴전  직전에 정부 수뇌들의 입에서 일제히 흘러나왔던 것도 이러한 사정 때문이다. 그들은 한국 대통령인 이승만에게 100만 달러를주고 이권을 자유롭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에 만족하고 있었다. 다만 그들이 우려한 것은 군수 경기가 침체하면 어쩌나 하는 것이었다. - P290

사실상 모건과 록펠러로 인하여 죽어간 수많은 목숨들을 생각하면, 그들의 자선사업은 한낱 위선에 불과하다는 게 불을 보듯 뻔했다. 그들이 매스컴과 영화를 동원시킨 것도 바로 그것을 감추기 위해서였다. 물론 단순히 비즈니스의 시각에서 보면, 생명보험업에 진출한 시기와 의료 자선사업을 시작한 시기가 우연히 일치했을 뿐이라고 혹자는 말할지 모른다. 하지만 그렇게 단순하게 보기엔 너무나도 무서운 결론이 아닌가?
- P159

 오늘날까지 우리는 민주당 대 공화당이라는도식 속에서 매파 대 비둘기파라는 이미지를 세뇌받아 가당치 않은실수를 범해왔기 때문이다. 한꺼풀 벗겨 보면 민주당과 공화당 뒤에는 그들 모두를 지배하는 모건과 록펠러가 숨어 있고, 각료 자리도 살펴보면 전부 저들의 수족들이 점령하고 있었다. 구체적인 사례를 한가지 들자면, 존 D. 록펠러의 손자 넬슨 록펠러는 순수 매파 공화당원으로서 이 무렵엔 뉴욕 주지사가 되어 있었다. 그런데 그의 동생데이비드 록펠러는 민주당의 비둘기파를 열렬히 지지해왔다. 그럼에도 이 형제는 반목하기는커녕 록펠러 가라는 마차의 두 바퀴로서 견고하게 손을 잡아왔다. - P343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0-12-09 19: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12-09 21:36   URL
비밀 댓글입니다.

서니데이 2020-12-10 20:2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겨울호랑이님, 올해의 서재의 달인과 북플마니아 축하드립니다.
따뜻하고 좋은 연말 보내시고,
항상 행복과 행운 가득하시기를 기원합니다.

겨울호랑이 2020-12-10 20:45   좋아요 2 | URL
서니데이님, 감사합니다. 언제나 서재 이웃을 먼저 챙겨주시는 서니데이님의 글을 읽으니 한 해가 가는 것을 느끼게 되네요. 서니데이님께서도 건강하게 한 해 마무리 지으시길 바랍니다!^^:)
 
미국의 민주주의 1 한길그레이트북스 24
A. 토크빌 지음, 박지동.임효선 옮김 / 한길사 / 200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렉시스 드 토크빌(Alexis de Tocqueville, 1805 ~ 1859)이 <미국의 민주주의 De la démocratie en Amérique>에서 미리 예견했던, 미국 연방헌법과 행정수반으로서 대통령 제도의 문제점이 보다 잘 드러나는 요즘이다. 차이가 있다면, 19세기에는 유럽의 주변부였던 신생국의 문제에 한정되었다면, 21세기에는 패권국가의 문제로 세계 정세에 크나큰 불안요인이 되어버렸다는 점이 아닐까. 이외에도 토크빌은 <미국의 민주주의>에서 신생국 미국의 풍습과 문화 전반을 당대 유럽의 지식인 시선에서 바라본다. 책에 표현된 신세계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과 우려는, 현재 미국이 가진 문제의 근원을 잘 보여주기에 지금 시점에서 읽을만한 고전이라 생각된다.

거대한 국민의 행정수반을 뽑을 경우 나타나는 선거제도의 여러 가지 위험성은 경험과 역사적 사례로 익히 입증되어 왔다... 행정권이 차지하고 있는 위치와, 국가 안에서 행정권이 보유하고 있는 비중에 비례해서 이들 위험성은 좀더 커지기도 하고 덜 위력적이기도 하다. 또한 그 위험성들은 선거양식과 유권자들이 처한 상황에 따라서 다를 수 있을 것이다. 행정수반의 선거에 반대하는 가장 강렬한 주장은, 선거는 사사로운 야심에 너무나 큰 유혹을 던져주고 또한 사람들 마음속에 권력추구욕을 불질러 놓곤 하기 때문에, 정당한 수단이 결여될 경우 힘으로 부정하게 권력을 장악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는 것이다. 행정권의 특권이 크면 클수록 그런 유혹도 크다는 것은 명백하다.(p193)... 선거제도의 주요한 해악 가운데 한 가지는 선거제도가 언제나 국내외 정책에 일정한 수준의 불안정을 초래한다는 점이다. _ 토크빌, <미국의 민주주의>, p19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