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vN 프리미엄 특강쇼 어쩌다 어른 2 OtvN 프리미엄 특강쇼 어쩌다 어른 2
<어쩌다 어른> 제작팀 노래 / 교보문고(단행본)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 어른이 되었을까?

어른의 어원을 살펴보면 '얼(다)'에 관형사형 전성어미 '-ㄴ'이 붙었고,

아마도 '얼은 이'에서 나중에 '어른'이 파생되었을지 모른다.

지금 말로 하면 결혼한 이쯤 되겠다.

그러니 결혼 안 한 사람을 애들이라 불렀겠지...

 

대학을 졸업하고 군대를 마치고 결혼을 했으니 스물 일곱 무렵부터 어른이 되었을라나...

아무튼 취업하고 결혼하는 무렵, 서른 즈음부터 어른으로 친다면,

퇴직하기 전까지 이삼십 년을 어른으로 사는 셈이다.

 

그렇지만, 퇴직을 해도 집안의 어른이 되기도 하고...

어른다운 어른이 없는 세상의 어른이 되기도 해야 하고...

 

내 직장 생활이 다른 직장에 비해 극도로 힘든 것은 없지만,

아이들과의 관계에서 오는 감정 노동에 비하면,

교사간의 감정이 나쁜 경우가 많다.

그 이유를 곰곰 생각해 보는 요즘,

이 책을 읽다 보니, 어른답지 못한 사람들과 함께 일해야 할 때,

나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

 

인샬라(신의 뜻대로)의 반대는 하면 된다입니다.

하면 된다는 말은

한국인들이 평생을 어깨에 짊어지고 살아야 할 인생의 무게게 되고 맙니다.

그 말이 우리의 삶을 짓누를 때

과감하게 '나는 못해요'라고 말할 용기가 필요합니다.

인샬라에는

이세상에는 네가 할 수 있는 게 있고,

네가 할 수 없는 것도 있다.

그러니 두 가지를 분간해서 할 수 있는 것은 하고

그럴 수 없는 것은 다른 존재에게 맡겨라...는 의미가 담겨있습니다.(242)

 

한국의 어른들에게 가장 필요한 위로가 아닌가 싶지만,

또한 한국은 하면 된다의 나라이므로, 현실에서 쓸모는 적지 싶다.

 

학교의 리더역할을 해야 하는 자들은

많은 경우 리더십을 갖지 않고 있다.

그러면서 무사안일, 복지부동으로 연금 받을 날을 기다린다.

 

진나라를 무너뜨린 유방은 날라리였다.

그렇지만 그의 태도에서는 배울 점도 많다.

나는 장량, 소하, 한신처럼 책략, 행정, 군사에서 따를 수 없다.

하지만 나는 이 세 사람을 제대로 기용할 줄 안다.

반면 항우는 단 한 사람, 범증조차 제대로 기용하지 못했다.

그리고 진나라에서 고생했으니 좀 쉬어라... 하면서

법과 제도를 간소화 했다.(181)

 

사람을 제대로 쓰는 일,

그리고 복잡한 법과 제도를 간소화 하는 일,

이런 것이 리더십의 근간임을 이 책을 통해 배운다.

 

현대인이 TV를 좋아하는 결정적인 이유는

마당의 부재.

우리는 공간의 크기를 면적과 기억으로 파악합니다.

마당이 있는 집에서 살았다면, 3월의 꽃, 5월의 비, 7월의 나무, 10월의 냑업, 12월의 눈 등 추억이...

아파트 거실이 옛 마당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유일한 변화는 TV에만...(120)

 

이해가 가는 설명이다.

나는 납득이 가지 못하는 일은 하지 못한다.

그런데 해야하면 스트레스를 받는다.

 

우리가 대우받고 사는 것은

나만이 할 수 있는 자기만의 것이 있기 때문.(268)

 

누구나 대체할 수 있는 것만을 가진 사람은 초라하다.

어쩌다 된 어른이지만,

행복한 삶에 조금이라도 가볍게 사는 어른이라면,

자기만이 할 수 있는 것을 깨닫고 계발해야 할 일이다.

 

마크트웨인은

꼭 맞는 단어와 적당히 맞는 단어의 차이는

번갯불과 반딧불의 차이라고...(282)

 

퇴고의 중요함을 말하는 대목이지만,

번갯불과 반딧불의 차이는,

책에도 있고,

삶에도 있다.

 

반딧불이는 어디나 있지만,

번갯불을 만나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올림픽의 몸값 1 오늘의 일본문학 8
오쿠다 히데오 지음, 양윤옥 옮김 / 은행나무 / 201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그의 소설에서 웃기는 이야기를 주라고 생각했는데,

남쪽으로 튀어!에 이어 '올림픽의 몸값'에서는

사회에 대한 애정과 고뇌가 듬뿍 담긴 것을 볼 수 있다.

 

패전의 책임도 지지 않고,

반성도 하지 않는 일본,

 

패전의 슬픔만 기억하는 나라.

가해자로서의 잔인함은 편리하게 잊는 나라.

 

그러면서 한국전쟁을 기회로 재기를 꿈꾸며

1964,10.10 도쿄 올림픽을 기획하던 시기의 일본에 오쿠다 히데오가 한방 먹인다.

 

천황제는 이런 때 참 편리하구나.

완전하신 공인이 정점에 있어주는 덕분에 이 나라 지배층은 언제라도 봉공인이라는 입장으로 도망칠 수 있었다.

민주주의의 가혹함과 맞서지 않고 넘어갈 수 있었다.

천황제는 일본인의 영원한 모라토리엄인 것이다.(4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하루 - 이현주의 생각 나눔
이현주 지음 / 삼인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르치려고 하지 마!”
권정생 선생이 이현주 목사에게 이승에서 마지막으로 해준 말이다. 선생이 타계하기 한 달쯤 전이었다고 한다. 권정생 선생이 좁은 방에 옆구리를 마주대고 멍하니 앉아 있다가, 뜬금없이 불쑥 하신 말씀이 이현주 목사의 가슴에 박혀들었다.
어느 날이었던가, 무위당 장일순 선생은 노자 이야기를 하시다가 이렇게 말씀하셨다. “노자의 스승은 자연이었네. 예수님도 자연한테서 배우셨고. 사람에게 자연보다 높은 스승이 없지. (180)

 

이름 그대로 바른 삶이셨던 선생님.

가르치려 하지 않고

강아지똥같은 삶을 살아가신 선생님.

호 같은 건 지니지 않고 살아가신 선생님...

그 마음이 자연이었구나... 싶다.

 

권정생 선생 빈소에 진열된 거창한 화환들을 보는 순간 마음이 언짢았어요.

저기에 자기 이름과 화사 이름을 큰 글씨로 박아놓은 이들이

권 선생을 조금이라도 생각했더라면,

과연 저럴 수 있었을까 하는 마음이 일면서 괘씸하기도 하고,

어이없기도 하고...

 

그런데요, 돌아와서 우연히 카페에 들러보니,

다만 사랑하는 방식이 다를 뿐이라고,

네 방식이 그릇된 건 아니지만,

마찬가지로 그들의 방식도 그릇된 게 아니라고,

문제는 그들의 방식이 그릇되었다는 너의 판단과 견해에 네 언짢음의 뿌리가 있는 것이라고,

그래서 일찍이 너에게

오직 견해를 멈추라(唯須息見)고 일러주지 않았느냐고...(339)

 

이건 지나친 생각 아닌가 하다가도,

보잘것 없는 존재 주제에 지나칠 것도 없다는 생각이 든다.

 

더 작아지고, 견해를 멈춰야 조금이라도 보일 것이고 배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영복의 엽서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0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人道는 藝道의 長葉을 뻗는 深根인 것을...

藝道는 人道의 大河로 향하는 시내인 것을

최고의 예술작품은 결국 '훌륭한 인간', '훌륭한 역사'라는 사실을 잊지 않으려 합니다.(76.7.5)

 

신영복 선생의 교도소내 편지들을 영인본으로 읽는다.

이 묵직한 책을 끌어안듯 부여안아 읽으면서

그이의 이십 년을 상상한다.

아, 어찌 살아왔을까.

 

무기징역이라는 길고도 어두운 좌절 속에는

괭잇날을 기다리는 무진장한 사색의 鑛床이 원시로 묻혀있음을 발견하였습니다.

저는 우선 제 사고의 서랍을 엎어 전부 쏟아내었습니다.

그리고 버리기 시작하였습니다.

아까울 정도로 과감히 버리기로 하였습니다.

지독한 지식의 사유욕에

설픈 관념의 야적에 놀랐습니다.

그것은 늦게 깨달은 저의 치부였습니다.

사물이나 인식을 더 복잡하게 하는 지식, 실천의 지침도,

실천과 더불어 발전하지도 않는 이론은 분명

질곡이었습니다.

이 모든 질곡을 버려야 했습니다.

簦(섭교담등 - 짚신을 신고 우산을 멤, 먼 길 떠날 채비 함)

언제 어디로든 가뜬히 떠날 수 있는 최소한의 소지품만 남기기로 하였습니다.(1977. 6. 8)

 

징역살이 속에서

특히 계수님께 쓴 엽서들은

그의 감성이 두드러진다.

 

이 아픈 현대사를

엽서로 읽는 일은,

고통스러운 쾌락을 안겨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르는 귀 모:든시 시인선 1
정진규 지음 / 세상의모든시집 / 2017년 8월
평점 :
절판


아이들 교과서에도 실려있는 그의 시다.

지금 대낮인 사람들은 어둡다...는 말이 울림이 크다.

 

작년 9월에 돌아가셨다.

 

시는 番外의 꽃입니다.

서로의 속 상처를 꽃으로,

꽃의 향기로 어루만져야 합니다.(시인의 말 중)

 

번외라는 말은 '계획에 들어있지 않은 예외적 사례'라는 의미인데,

인간 존재 자체가 번외의 그것이고 보면,

무엇 하나 번외 아닌 것이 없다.

그렇지만, 시에는 '번외의 꽃'이라는 수식을 했다.

화엄이다.

 

심검당이여

가지와 허공의 향방을 애초대로 짚고 지나갔다

바람불고 지나간 자리마저 다듬었다.

웃자란 자리만 잘라내었다

분별이여.

그대 아득히 떠나간 자리,

심검당이여(그릇과 가지치기, 부분)

 

아내가 그릇을 싹 바꾸듯,

나무의 가지를 쳐내듯,

'분별'을 잘라내는 일이,

필요하다.

날카롭게 벼린 칼로, 싹둑.

심검당이여...

 

서글펐다

- 환멸의 습지에서 가끔 헤어나게 되면은 남다른 햇볕과 푸름이

자라나고 있으므로 서글펐다(김종삼, 평범한 이야기)

 

  이렇게 기인 머리 인용문을 달고 있는 것을 내 시에서

본 적이 있는가 <서글펐다>가 사무치게 좋았기 때문이

다 환멸의 습지가 내 시의 자양으로 늘 거기 있었으므로

그걸 헤어나는 게 내 시였으므로 사랑을 해도 늘 그와

같았으므로 그게 늘 햇볕 공터와의 만남이었으르모 왈

칵 쏟아지는 눈물이었으므로 번외 番外로 오는 남다른 것

이었으므로 푸르다기보다는 늘 초록으로 거기 깔려 있

던 것이었으므로 그날 이후 꾸역꾸역 몰려오는 충만이

었으므로 <서글펐다>가 사무치게 차올랐기 때문이다 황

홀과 서글픔은 한몸이다 눈물이 났다 너와 나만의 보석

이었다 <가시내야 가시내야 무슨 슬픈 일 좀, 일 좀 있어

야겠다> 미당은 그걸 벌써 아득히 매만지고 있었다 겨

우 더듬거려 말하고 아련히 떠나는 그의 뒷등에 부는 가

을바람이었다 아득한 배고픔이 나를 먹여 살렸다

 

그의 시는 시와 산문을 넘나든다.

김종삼과 고은의 번외편이다.

읽는 이가 감동의 물결을 함께 번질 수 있다면 시고,

아니면 산문이다.

 

연꽃의 상처는 순번이 다르다

그래서 번외다

속상처가 가장자리에서 시작된다(연꽃, 부분)

 

범종에 유곽이란 부분이 있다.

번외의 자리다.

아, 삶의 번외성을 바라본 그의 나이든 날들은 어떠했을라나...

 

비가

 

헤밍웨이가 쓴 가장 짧은 소설 ;

For sale, baby shoes, never worn.

팝니다, 아기 신발, 한 번도 신겨 보지 못한

정진규가 쓴 가장 짧은 시 ;

팝니다, 아기 배냇저고리, 한 번도 입혀 보지 못한

 

제목 그대로 비가다.

김종삼의 '민간인'이 주는 아픔이 저릿흐다.

 

번외의 맛

그게 과자의 맛이야

율려 과자야

우유 맛이야

드디어 번외까지 내달았군

그러고 보니 화엄까지 넘보았군

한바탕 잘 놀았어

그만하지(과자 만들기, 부분)

 

한바탕 잘 놀았으니, 그만하지...

어둠에 별의 존재를 그려준 시인의 이야기는

투박하지만, 직지 直指한다.

인생, 번외의 꽃이란 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