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 인간의 가족사란, 소설을 닮았다. 어쩌면 소설이란 장르는 누군가의 가족사에서부터 시작되었을지도.... (긴 글을 써놓고 순간의 실수로 글을 날려버렸다. 마지막 구절만 남았다.)

 

 

 

 

저 등장인물 오른편에 우리 가족을 넣으면 그대로 또 한 편의 소설이 탄생할 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무리 나쓰메 소세키라도 시대를 감안해서 읽어야 한다. 이는 정신적인 노동이 필요하다는 말인데, 가급적 노동을 하지 않기로 마음 먹은 나는 과연 이 책을 끝까지 읽어야 하느냐는 갈등에 이르렀다. 책을 반쯤 읽었을 때 결말이 궁금한 성급한 마음에 책 말미에 있는 작품해설을 훔쳐본다. 마치 문제집을 풀다가 정답지를 먼저 보는 기분이 들었지만.

 

 

 

'고등유민' 인 다이스케는 부모형제의 도움으로 백수로 살아간다. 나름대로 논리가 있으니,

 

그는 실생활을 통한 세상살이 경험보다도 부활절 밤의 경험이 인생에 있어서 더 의의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서른이나 되어서 한량처럼 빈둥거리는 것은 아무래도 보기 좋지 않구나."

다이스케는 결코 빈둥거리고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단지 자신은 직업에 의해 더럽혀지지 않은 충실한 시간을 보내고 있는 고귀한 부류의 인간이라고 생각할 뿐이다. 그런 말을 들을 때마다 사실은 아버지가 가엾어졌다. 아버지의 단순한 두뇌로는 이렇게 의미 있는 세월을 보내고 있는 것이 자신의 사상이나 정서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전혀 알아차릴 수가 없는 것이다.

 

 

 

사실 이 소설은 어떤 책을 읽다가 궁금해서 펼쳐보게 되었다.

 

 

 

 

 

 

 

 

 

 

 

 

 

 

 

 

일을 놓은 지금, 내 눈에는 온통 이런 책만 보인다. 아무도 뭐라 안 하는데, 일할 만큼 일했는데, 끊임없이 자기검증에 시달리는 기분마저 든다. 게을러지기 위해 노력(일)해야 할 것 같은, 그래서 이런 책이 눈에 들어오는 걸까.

 

 

나도 이쯤에서 게을러지기로 한다. 아무래도 시대를 감안해서 읽어야 하는 책은 머리를 써야 하기에 일처럼 느껴져서다. 반만 읽은 책을 미련없이 옆으로 치워버리기로 한다. 후반부 반은 사실, 그리 궁금하지 않다. 삼각관계건 불륜이건. 집요하리만치 자의식에 빠진 주인공의 내면 읽기도 좀 피곤하다.

 

 

함께 읽으면 좋을 책.

 

 

 

 

 

 

 

 

 

 

 

 

 

 

 

마르크스 사위가 쓴 이 책은 제목이 마음에 들지만 이것 또한 머리 아프리. 아서라.

 

 

그래도 나쓰메 소세키인데 너무 소홀하게 대한 감이 있어서 하나 더 옮겨본다.

 

사실을 말하자면, 아버지의 이른바 훈육은 부자간에 오가는 따뜻한 정을 점점 냉각시켰을 뿐이다. 적어도 다이스케는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아버지는 달리 생각하고 있다. 어떻게 대한다손 치더라도 결국 피를 나눈 부자간이 아닌가. 아들이 부모에 대해 선천적으로 느끼는 정은 아버지가 아들을 어떻게 다루든 간에 변할 리가 없다. 교육을 위해 다소 무리를 하더라도 그 결과는 결코 혈육의 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유교 정신이 몸에 밴 아버지는 이렇게 굳게 믿고 있었다. 자신이 다이스케를 이 세상에 존재하게 했다는 단순한 사실이야말로 어떠한 불쾌하고 고통스러운 일에 대해서도 부자간의 영원한 애정을 보장해 주는 것으로 생각하는 아버지는 그러한 신념으로 밀고 나갔다. 그리고 결국에는 자신에게 냉담한 아들로 만들었다.

 

어쨌건 시대를 뛰어넘는 나쓰메 소세키의 매력을 느낄 수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4-06 08:1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4-06 08: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갠지스를 부르는 108가지 이름>중에서

 

1. 갠지스

2. 비쉬누 연곷 같은 산아래에서 태어나다

5. 산속 나라를 흐르다

7. 카필라 성자가 노려보자 재로 변한 사가라의 60,000 아들의 해방

12. 행복한

15. 하늘, 땅과 공기 또는 지하, 세 개의 세상을 통하여 흐르다

18. 네 그루의 우유나무에 있는 거품

23. 두려움을 없애다

24. 사라지지 않는다

28. 영원히 순수하다

30. 격려하는 자

35. 처음부터 존재하다

42. 초승달을 꼭대기에 가지다

47. 세 가지 덕을 가지고 있다

50. 근심을 없애주다

51. 행복을 가져다주다

57. 달을 머리에 이다

65. 영원하다

66. 가을 달을 닮다

70. 하늘로 가는 계단처럼 흐르다

77. 망상을 깨게 하다

81. 병든자를 보호해주다

82. 해탈에 이르게 하다

84. 죄를 없애주는 강

88. 옛날부터 있다

93. 순수한

94. 삼세계를 정화하다

99. 모든 생명체의 친구

108. 무지의 암흑을 밝히는 등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세상 끝 천 개의 얼굴 - 아마존에서 티베트까지, 인류 지혜의 원형을 찾아 떠나는 40년의 여행
웨이드 데이비스 글.사진, 김훈 옮김 / 다빈치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처음엔 꼼꼼하게 읽다가 중반부터는 초고속으로 책장을 넒겼다. 흥미는 있지만 이 책을 끝까지 읽는 행위는 무의미해 보였다. 어떤 책의 효용을 따지게 되면 이미 정이 식어버린 연인 같은 존재가 되어버린다. 슬프고 안타깝지만 적당한 선에서 포기하는 것도 괜찮다. 독서는 일단 즐거워야 되니까.

 

읽기를 도중하차했으나 이 책은 대단한 책이고 저자 역시 대단한 사람이다. 단지 내 그릇이 작아 소화시키지 못할 뿐이다. 어떤 책인지 옮긴이의 말을 적어본다.

 

   이 책은 인류학자·민속식물학자·민족지학자·시인·모험적 여행자·뛰어난 사진작가를 겸한 웨이드 데이비스의 어린 시절 일화로부터 시작해서 전 세계의 온갖 토착 문화들을 탐방하고, 조사하고, 연구하고, 공감하고, 행동해온 모든 역사를 망라하고 있다. 여기에는 아리알, 코기, 와오라니, 바라사나, 프난, 이누이트, 티베트, 아이티 사람들을 포함하여 많은 토착 사회 사람들의 이야기가 등장하고, 또 그들이 겪은 수난의 역사와 그런 고통을 극복하고 살아남았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성공하기도 한 역사까지 등장한다.

 

그냥 흥미로 읽기에는 좀 과분한 책이다. 이 책을 읽었다고 해서 꼬리에 꼬리를 무는 독서로 이어질 것 같지도 않다. 나중에 도움이 될까 싶은 내용이 있다면 남미 안데스 지역 얘기 정도. 언젠가 남미를 여행한다면 필요하지 않을까 싶은 정도. 이런 범상치 않은 저자의 글을 조금 접해봤다는 것으로 만족해야겠다.

 

   오늘날에도 안데스 지역 일대에서는 거리를 측정할 때 마일이나 킬로미터가 아니라 코카 일을 씹는 동안 가는 거리에 해당하는 코카츄(coca chew)를 쓴다. 루나Runa족 사람들이 만날 때는 악수를 하는 게 아니라 코카 잎을 교환한다. 점쟁이들은 천에 뿌려진 코카 잎들이 이루는 모양이나 코카 잎의 엽맥 모양을 통해서 미래의 일을 점친다. 그런 기술은 벼락을 맞고도 살아남은 사람들만이 가질 수 있다.

 

         (중략)

 

   사람들은 길에서 만날 때면 걸음을 멈추고 세 장의 코카 잎이 완벽한 십자가 모양을 이루고 있는 것을 서로 교환한다. 그러고 나서 그들은 가장 가까이에 있는 아푸, 곧 산신 꼭으로 돌아서서 그 이파리들을 입에 물고 가볍게 불어서 날린다. 그런 행위는 코카의 정수에 해당하는 그것을 대지에, 공동체에, 성소들에, 조상들의 영혼에 되돌려주는 일종의 기원 의식이다. 그렇게 코카 잎을 교환하는 행위는 사회적 제스처요, 인간관계를 인정하는 한 방식이다.

 

 

전 세계를 무대로 공부하고, 행동하는 저자가 몹시 부러웠다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