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근하면서 집으로 전화를 했다.  엄마는 밥이 없다고 했고, 그래서... 저녁은 외식을 하기로 결정.

뭐 드시고 싶으신감요? 했더니 족발이 드시고 싶다신다.  족발? 흠칫... 놀랐다.  한 번도 먹어본 적 없는데....;;;;

얼라도 아니면서 무섭게 생긴 음식을 보면 겁을 먹는다.  꼬맹이적 오징어에 놀라서 이후 계속 못 먹게 된 데에도 녀석의 생김새가 큰 몫을 했지 싶다.  그 무섭게 생긴 오징어를 억지로 먹어보다가 된통 체한 게 두 차례, 이후 나와는 앙숙이 되어버렸다.  더불어 바다 음식이 생선 빼고는 다 싫어졌다는..ㅡ.ㅡ;;;;

집 근처에 확장 오픈한 족발 집에 들어섰는데, 화장실에서 뜨악!

보통의 화장실은 문쪽을 바라보고 앉게 되어 있는데, 여긴 문을 등지고 앉게 되어 있다.  헉... 뭐 이래..ㅡ.ㅡ;;;

아무튼 족발, 小자 시켜서 둘이 먹는데, 생각보다 괜찮았다.  둘이 먹기에는 너무 많다는 게 흠이지만, 하여간 밥없이 족발만 먹어도 맛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알았다.

커피 한잔 여유 있게 마시고 일어나고 싶었는데 어무이께서 서두르신다.  와이??

인간극장을 보아야 한다고, 오늘의 주인공은 대전 중문교회의 장경동 목사님이시란다.

호곡, 그렇단 말야???

기독교 방송을 벼얼로 좋아하지 않는 나이지만 간혹 오가다가 어무이께서 보고 계시는 장경동 목사님 말씀을 들으면 너무 재밌고 유익해서 반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러니 방송국에서조차 섭외를 했겠지만...

내가 본 부분은 주영훈의 주례식에 참석하시느라 부랴부랴 기차에 오르시는 모습 부터였다.  순식간에 20분이 흘러가고 참으로 감동깊게 끝이 났으니... 월요일부터 했을 테니 못 본 분량도 찾아보리라 결심.

여기서 꽤 인상깊은 이야기를 하셨는데, 옮겨 보면 이렇다.

처음 전도사 시절 목회할 때는 사례비가 월 6만원이었댄다.  월세 3만원 내고, 십일조 6천원 내고, 주정헌금 내면 한달 생활비가 2만원이었단다.  그래도 감사한 것은, 그때는 그게 고생인 줄 모르고 즐겁게 일했다고...

한번은 아내가 주인집 김장을 도와주면서 겉 껍데기 떼어내는 것을 모았단다.  그거 모아다가 겉저리 하고 시레기국이라도 끓이려고. 그러나 속도 모르는 주인집 아낙은 "뭐 하게? 돼지 주려고?"라고 했단다.

여기서, 세 가지를 깨달으셨다고 한다.

첫째는, 생각 없이 뱉은 말이 남에게는 상처가 될 수도 있구나...였고,

둘째는, 생각 없이 뱉은 말에 상처 받지 말자!였단다.  상처 주려고 하는 말에도 상처 받지 말아야 할 것을, 상처 주려고 한 말이 아닌데 괜히 상처 받지 말라는 것이다. (신선한 충격!!!!)

셋째는, 그 이야기를 아내가 고생할 때는 말해주지 않았단다.  그리고 살 만 해졌을 때 이야기를 해줬다는 것.  만약 그 시절에 그 이야기를 들었다면 아마도 나가서 돈 벌려고 했을 거라고...

고생할 때는 서러운 이야기가, 나중에는 '추억'이 되더라구...

사모님의 현명함에 혀를 내둘렀다.  고생조차 감사로 받아들인 그 미덕들에 감탄을 아니할 수 없다.

2만 권의 장서를 구비하신 장목사님은 지금도 아날로그적 방법으로 공부를 하신단다.  검색보다도 직접 손때 묻은 자료들을 찾는 것.  아드님도 따님도 신학대학원 공부를 하시는데, 요청을 하니 바로바로 필요한 책이 나온다.  우왓....!

직업을 계승하면 이런 점이 좋더라며... 차범근과 차두리의 이야기도 해주셨다.

그러고 보면, 대학교 때... 부모가 목사님인 학생이 수두룩 했다.  신학과가 아니었음에도 우리 과 30명 학생중에 24이 목사님 자녀였으니까.(발에 치일 정도랄까..ㅡ.ㅡ;;;)

사실 나도 대학교 4학년이 될 때까지, 그대로 신학대학원에 진학해야 하는 줄 알았다.  일종의 세뇌.;;;;교육이랄까.

아주 어려서부터 너는 사무엘처럼 서원 기도를 한 아이니까 나중에 목사가 되어야 한다...라는 얘기를 주문처럼 듣고 살았다.   어무이께서는 그게 소명이고 기쁨이고 찬양이었을 테지만, 내게는 족쇄였다.

나는 달리 내가 어떤 꿈을 가져야 할 지 알 수가 없었다.  내 길이 이미 정해진 것 같아서.  엄마가 서원 기도를 한 상대는 절대자였고, 내 신앙 안에서 그것은 거부할 수 없는 숙명 같은 거였다.  그래서 나는, 참 많이 방황도 하고 절망도 했더랬다.  난 싫어, 못해! 라고 하기엔 '불순종'의 두려움을 너무 잘 알고 있어서.

남들보다 몇 배는 힘들게, 그리고 두 배의 시간을 들여서 졸업을 앞둔 4학년, 교생 실습을 목전에 두고 있을 때였다.  곧 졸업인데, 모든 게 너무 막막했다.  내가 어디에 서 있어야 할 지를 몰랐다.  그 무렵, 지도 교수님 한분과 상담을 하게 되었는데...(지나가는 소리로 차례대로 상담 와라! 하셨는데, 아무도 안 가는 것을 혼자 갔더라는...;;;;; 순진했지....ㆀ)

그때 솔직히 이래서 힘들고 혼란스럽다 말씀드렸더니, 교수님께서 너무나 가벼운 어조로 말씀하신다.

네가 아무리 하기 싫어도, 하나님께서 원하시면 너는 그 길을 갈 것이다.

그리고 네가 아무리 하고 싶어도, 하나님께서 원치 않으시면 그 길은 네 길이 아니다.

한 순간, 속이 확! 트이는 것 같았다.  나는 너무 불필요한 고민을 오랫동안 끌어안고 있었던 것.  그날 밤, 진짜 큰 용기를 내어 엄마한테 그 이야기를 했다.

나, 학교로 갈거라고... 

엄마는 너무 흔쾌히, "그래라."하셨다.

헉... 반대 안 해??? 

김이 좀 샜지만, 아무튼 내 짐작에 엄마도 같은 생각을 하신 것 같다.  길이 아니라면 아무리 돌고 돌아도 돌아올 거라고.   가 보고 나서 알거란... 그런 생각.

아마도, 엄마는 지금도 내가 당신의 뒤를 이을 재목(..;;;;;;)이라고 여기시는 것 같다.  난 여전히 그럴 뜻이(게다가 능력도) 전혀 없는데..ㅡ.ㅡ;;;;

인생, 더 살아봐야 알 테지만... 아무튼 지금의 나는 내 일이 좋다. 

헉.. 근데 족발 얘기하다가 왜 이런 얘기가 나왔지?  삼천포의 대가...ㅡ..ㅜ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노아 2006-11-23 20: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헤엣... 감사해요.. ^^

해리포터7 2006-11-24 08: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엇! 마노아님 인간극장이 시간을 옮겼나요? 화요일에 본다고 앉아있었는데 8시 50분쯤에 안하던데요..아리송~~

마노아 2006-11-24 09: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일주일 내내 하는 것 같던데요? 그리고 아마 시간을 잘못 아셨을 거예요. 7시 반 시작 같던데^^;;;;

해리포터7 2006-11-24 12: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것이 이번 개편때 시간이 바뀌었나봐요..흐미..저 그거볼라고 그시간에 티비켜졌다 꺼지게 예약까지 해놓았었는데.하도 남푠이 핀잔주는 바람에 요즘엔 보기 힘들었어요 ㅡ,,ㅜ

마노아 2006-11-24 12: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머나, 시간이 바뀌었군요. 전 평소에 전혀 본 적이 없어서 몰랐답니다. 앞의 부분은 다운받아놔서 오늘 어무이 보여드리려구요^^;;;
 

우리 국사교과서를 보다 보면 숨이 턱! 막힐 때가 있다.

다른 교과서들도 사실에 어긋나거나 비객관적인 논조의 글들이 있을 터지만, 국사교과서는 국정교과서로 단 1종이라는 데에 문제의 심각성이 더 크다.

중3 국사 교과서의 301쪽에는 신탁통치 문제에 관한 기술이 나온다.  옮겨 보면,

처음에는 일부 공산주의자들까지 반탁 의사를 밝혀 단합의 계기가 마련되는 듯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소련의 지령에 따라 곧 태도를 바꾸어 신탁 통치안을 지지하였다.

교과서에는 신탁 통치 문제가 나온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의 내용이 잘못 전달된 과정은 말해주지 않는다.  왜 공산주의자들이 반탁에서 찬탁으로 입장을 바꾸었는지도 말해주지 않는다.  그건 생각할 필요도 없다.  소련의 '지령'이 있었다는 게 그들의 진리이니까.

미소공동위원회가 열리는 와중에 설쳐댄 이승만의 '정읍발언'도 나오지 않는다.  6.25 전쟁의 배경이라는 제목의 챕터(304쪽)는 더 답답하다.  마치 북한은 승냥이 떼처럼 기회를 노리고 있다가 '순진한' 남한을 기습 공격했다는 듯이 묘사된다.  그 와중에 제주도 4.3사건과 여순 10.19사건은 스리슬쩍 넘어간다.

학제상 지금 이 시즌은 중3 학생들이 시험을 모두 마치고 거의 '자유'의 상태에 놓여 있기 때문에 수업 참여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때이다.  구슬려서 수업을 받게 하지만 아주 공부에 열의가 있는 학생들만 열심히 수업을 듣고 대부분은 '딴 짓'을 하거나 '딴 생각'을 한다.  어느 부분이든 중요하지 않은 것은 없는데,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시간과 더 가까운, 그래서 더 밀접한 현대사 부분을 제대로 공부했으면 하는 마음이지만, 참으로 타이밍이 안 좋다.

생각해 보면, 내가 학교 다닐 때에는 여기까지 진도를 나가본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역사 수업은 늘 시간이 부족했고 교과서의 내용은 넘쳤으니까.

까마득한 상고사부터 '반만년'(늘 강조하는..;;;)의 역사를 줄기차게 수업하다가 근현대사에 도착할 때가 되면 '시간관계상' 생략하기 일쑤였다.

일제시대 공부하다가 뚝! 끊기니, 해방 이후의 혼란기와 한국전쟁, 4.16, 5.16, 광주 민주화 운동 등등은 들어도 보도 못하고 졸업한다.

부지런과 억척스러움을 떨쳐도 상태 심히 안 좋은 교과서로 공부하니 역시 답답스럽다.  이런 말 옛날 같았으면 바로 잡혀갔겠지? ㅡ.ㅡ;;;;

쿨럭, 무슨 교육에 대단한 열정을 지닌 사람 흉내를 내고 말았지만...(그래 나 날라리다.ㅠ.ㅠ)
교재 연구하다가 짜증이 확 나서... 그냥 끄적여 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ttp://wnetwork.hani.co.kr/songil/4591  
 
  원문 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73160.html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노아 2006-11-21 22: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원로 선생님 두분께서 오늘 신문을 보시며 '내전' 표현에 침튀기며 분개하시는 모습을 보고 가슴이 답답했다. 대체 무엇을 향해 분노하십니까? ....

마노아 2006-11-21 23: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통령이 쓴 말이긴 한데, 또 말꼬리잡기 좋아하는 언론들이 아주 들쑤셔놔서요. 거기에 부화뇌동하는 인간들이 좀 많아야지요. 이거야 원 닭이 먼저냐 알이 먼저냐도 아니고...ㅡ.ㅡ;;;;

짱꿀라 2006-11-22 00: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겨레 신문 주필로 있는 손석춘 선생님의 글을 참으로 오랫만에 읽습니다. 소개해 주셔서 감사해요. 내일 하루도 기분 좋은 하루를 시작하시기를 바랍니다.

마노아 2006-11-22 00: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산타님도 기분 좋은 하루의 시작을 만끽하셔요^^
 

‘여보세요’ 대신 ‘어디야?’ 삶을 뒤바꾼 생활혁명
 
[한겨레 2006-11-20 13:51]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노아 2006-11-20 16: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만 하루 동안 휴대폰 없이 생활해 보니 장단점이 확 느껴졌다. 없어서 자유로웠지만, 없어서 부자유했다. 당장 연락을 취할 수 없었고 공중전화는 찾을 길이 없고, 기껏 찾아낸 공중전화는 동전만 잡아 먹고...;;;
글을 쓰는 나의 한 지인은 휴대폰을 갖고 있지 않다. 이메일 확인도 일주일에 한 번 정도? 그녀의 활동반경은 여느 누구보다 넓고 또 신속하지만, 휴대폰 없는 부자유함에 결코 예속되지 않는다. 흉내라도 내보고 싶었지만 제발로 찾아온 휴대폰 덕에 하루만에 포기. 어쩌면, 내 스스로 먼저 포기했을 테지만... 그 부자유한 자유가 지금 몹시 탐이 난다.

딸기 2006-11-20 16: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저는 뻑하면 휴대전화 두고다녀서... 걍 없어도 괜찮아요 ㅋㅋ

마노아 2006-11-20 16: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하필 그날 외부 약속이 있었는데, 것도 내가 전해줄 것 하나랑, 또 다른 사람에게 전해줄 것 하나가 있어서 연결수단이 꼭 필요했었어요. 아니었다면 모처럼 자유를 만끽했을 텐데 말예요^^;;;
 



파격적인 의상을 선보이고 있다고 기사 제목은 뜨는데....

엄정화 요새 이럴 때마다 자꾸 싫어진다.  음악인이 아니라 그냥 '딴따라'로 자꾸 남으려는 것 같아서.

영화제에 가수들이 나와서 축하무대를  펼칠 때, 전에 채연과 빈도 축하무대를 선보였을 때, 난 마치 가수들이 배우들의 '시녀'로 전락하는 느낌을 받았다.

그건 현재 우리나라에서 영화계와 음악계가 차지하고 있는 '위상'과도 무관하지 않다.

다시 엄정화 얘기를 하자면, 나이도 나이지만... 이제 그녀 정도의 위치라면 더 이상 '몸'으로 승부하지 말아야 하는 것 아닌가?   정말 본인은 괜찮은 걸까???  스스로 만족스러울까?  내가 이상한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늘바람 2006-11-20 03: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멋진데요.
저 나이에 저런 열정이 대단해요

마노아 2006-11-20 06: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