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작가의 노벨상 수상이후 한국 도서들이 외국에서도 좋은 평을 많이 듣고 있지요.하지만 특정 국가에서 한국 도서가 폭발적인 관심을 갖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그런데 멕시코에서 한국의 한 책이 뜻밖에 굉장히 큰 화제를 모우고 있다고 하는군요.

넵,멕시코에서 화제를 모우고 있는 책은 한국의 웹소설 멕시코 제국 황태자가 되었다입니다.

사실 웹소설은 안보기에 이런 책이 있다는 사실도 몰랐는데 알라딘에서도  전자책 형태로 구매 가능합니다.


일종의 대체 역사 소설이라고 할 수 있는데 멕시코 현지에서도 (스페인어로 번역이 되었는지는 모르지만) 대체적으로 기쁘다.재밌다,미국에 엿멱여서 신난다,외국인이 멕시코 역사에 더 관심이 많아서 슬프다는 반응과 더불어 왜 한국인 멕시코를 배경으로 소설을 쓰나 하는 평이 많다고 하네요.

참가로 멕시코는 한류 영향이 굉장이 강해서 K-POP이나 드라마에 멕시코와 연관된 것이 (아주)조금만 나와도 멕시코내에서 엄청 큰 반향을 일으키다고 하는군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릴적에 이른바 코리아 숏헤어 캣을 키운 적이 있지요.강아지나 고양이를 좋아하지만 아무래도 남의 집에 살면은 쉽게 키우지 못하긴 합니다.(보통 집주인들이 동물 키우는 것을 싫어하지요)

알라디너분들 중에서도 고양이를 키우시는 분들이 계신것 같은데 그중에는 상당히 이쁜 고양이도 있는것 같습니다.

얼마전 인테넷에서 본 고양이 사진입니다.

ㅎㅎ 고양이의 미모가 정말 장난 아니게 귀엽네요.

이런 고양이가 있다면 당장이라도 기르고 싶을 정도네요.그런데 혹 이 고양이 품종이 무엇인지 아시는 분 계실까요?

by caspi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서니데이 2025-06-22 23: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렉돌 같은데요. 실제로 본 건 아니고 유튜브를 보니까 장모종이고 비슷해요.

카스피 2025-06-24 01:24   좋아요 1 | URL
렉돌이란 품종의 고양이로군요^^
 

얼마전 외출했다가 간단히 점심을 먹으려고 인근 버거킹을 갔는데 늘상 하는 버거 할인 포스터가 붙어 있지 않습니다.사실 버거킹은 판촉 마케팅의 일환으로 매주 와퍼나 와퍼 주니어의 할인행사를 하고 있지 않은데 연달아 2주정도 할인을 하지 않는 것은 처음 보았습니다.


그래서 집에 돌아와 확인해 보니 요즘 햄버거 빵 수급문제로 맥도날드를 제외한 전 (프렌차이즈)햄버거가 문제라고 하는데 벌써 2주정도 됬다고 하네요.사실 햄버거는 어쩌다 먹다보니 알지 못했네요.


햄버거 빵 대란이 일어난 이유는 늘상 인명사고로 공장이 멈처서는 SPC에서 햄버거 빵을 공급받다보니 이번처럼 공장이 멈처서면 다른 수급처를 찾기 힘들어 문제가 되는 것이지요.

실제 햄버거 빵 같은 경우는 마진이 낮아서 대량으로 공급하지 않으면 채산성이 낮아서 SPC외에는 마땅히 번을 생산할 곳이 없다고 하는군요.

이번 대란에서 벗어난 맥도날드는 해외에서 빵을 수급받는다고 하고 수제 햄버거 집들은 자체적으로 번을 만들기에 큰 피해는 없지만 대부분이 프렌차이즈 햅버거들은 번 문제로 곤란을 겪는다고 합니다.


결론은 SPC가 공장용 햄버거 빵을 대부분 생산해 납품하기에 다른 빵회사들이 끼어들 틈이 없는데다가 채산성이 낮은 햄버거 번을 납품하기위해 공장라인을 신규로 증설하는 것 역시 비용등의 리스크가 발생하기에 굳이 경쟁을 벌일 필요가 없는 것이죠.

사실 이 문제는 프렌차이즈 햅버거 회사가 스스로 자초한 일인데 이런 의외의 리스크 햇지를 위해서 공급망을 다변화 시켜야 하는데 가장 싸게 납품 받겠다는 근시안적인 생각떄문에 모두 SPC에게만 주문을 하고 문제 발생시 피해를 고스란히 입는 것이죠.

계속해서 SPC공장에서 인명 사고가 발생하고 이의 조사를 위해 공장이 멈춰서는 기간이 발생하다 보니 이번과 같은 햄버거 번 대란이 또 언제 일어날지 모르겠습니다.

햄버거 업체들도 다른 곳에서 번을 주문하고 싶어도 대량으로 햄버거 번을 생산할 공장들이 없기에 참 나감하리라 여겨집니다.여기서 알 수 있듯이 독과점은 참 문제가 많단 생각이 듭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즘 30~40대 남녀 특히 미혼의 경우는 스스로를 동안(혹은 남들이 동안이라고 추켜세운다고 함)이라고 하면서 실 나이보다 많게는 10살이나 어리게 본다고 스스로 자랑들 하고 있지요.


그럼 이들은 왜 스스로를 동안이라고 생각할까요?

그건 아마도 자신들이 어려서 본(80~90년대) 남녀 어른들의 얼굴을 기준으로 현재의 자기와 비교해서 그런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80년대 뉴스에 나온 30대 남녀의 얼굴 모습입니다.현재 기준으로 본다면 사진속 나이보다 최소 10년은 더 나이가 들어보이네요.

93년 전국 노래자랑속 20대 남녀 모습의 동영상입니다.서울이 아닌 지방에 사시는 분들이지만 지금 시각으로는 20대라는 사실이 믿겨지지 않을 정도로 모두 원숙해 보이십니다,


그럼 80~90년대의 2~30대들은 왜 현재 시각으로 본다면 적어도 본 나이이보다 10살 정도 들어보일 정도로 원숙해 보였을까요???

동영상속에서 여러 이유가 나오지만 개인적으론 지금보다 사회에 일찍 진출해서 고생도하고 또한 지금처럼 자신을 관리한다는 개념(그럴 경제적 여력도 부족함)도 없었기 떄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사실 지금의 30~40대들이 과거의 30~40대들에 비해 엄청 동안인것은 분명하지만 시대의 변천에 따라서 나 혼자만 동안이 된것이 아니라 모두가 과거보다 동안이 된 것이기에 특별히 자랑할 것까지 없단 생각이 듭니다.실제 30대 중후반이면서 30대 초반이나 20대 후반처럼 보인다는 사람들에게 실제 그 나이의 사람들과 비교해 보면 아마 다시는 동안이야기가 안나올 것 입니다.

47세의 김사랑님은 비록 연예인이긴 하지만 겉모습만 보면 30대 초중반으로 보일 정도로 동안입니다.

솔직히 저 정도는 되어야 자칭 타칭 동안외모라고 해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얼마전 SKT가 유심 해킹 사태로 현재까지도 해결을 하지 못하고 있어서 신규 가입도 못하고 전국의 대리점은 유심 교체 작업만 진행중임에도 아직까지도 교체 진행중이죠.


이 와중에 이웃집 예스24도 랜섬웨어로 탈탈 털리면서 한동안 시스템이 먹통이 되었는데 고객들의 불편에도 불구하고 사내 전산망 점검중이라고 거짓말을 하다가 들통나는 바람에 어젯자로 고객들한테 사과문을 올리는 꼴사나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네요.


사실 보완이라는 것이 돈은 들지만 실제 눈에 보이는 이득은 없어서 임원진들은 이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는데 한번 뚫리면 고객신뢰 하락은 문론 금전적으로도 많은 피해가 예상되지요.


예스24도 이럴진대 알라딘도 보안에 철저히 대비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도긴개긴이라고 알라딘이 예스24보다 보안의식이나 대비가 더 철저할 것 같지는 않은에 옆집 사태를 계기삼아 보안 관라를 보다 더 철저히 했으면 좋겠습니다.

만약 알라딘도 보안사고가 나면 예스24보다 더 욕을 먹을것 같네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