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에 첩보소설의 세계적 거장인 프레드릭 포사이스가 별세를 했지요.사실 포사이스는60~90년대 즉 냉전시대에 주로 활약을 했던 작가이다 보니 사실 요즘은 한국에서는 거의 잊혀진 작가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사실 그의 대표적인 작품이자 영화로도 만들어진 세 작품 쟈칼의 날,오뎃사의 파일,전쟁의 개들 같은 작품은 모두 실제 일어난 프랑스-알제리 독립전쟁(쟈칼의 날),독일 나찌들의 탈출(오뎃사의 파일),아프리카 용병(전쟁의 개들)과 같은 사건들을 취재해서 소설화 시켰기에 당시에는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지만 현재는 그런 사건이 있었나 기억마저 가물 가물하기에 이런 책을 찾는 이들이 현재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하지만 90년대까지만 해도 포사이스의 작품을 꾸준히 번역 출간되었고 2천년대 초반까지도 작품들이 다수 출간되었으나 현재는 모두 절판 상태입니다.


포사이스의 작품들은 모두 현실감이 넘치는 것이 특징이지만 문제는 소설이 출간될 당시의 실제 상황에 기초한 작품들이 많다보니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사람들이 찾지 않게 되는 것 같습니다.즉 독자들이 소설속 배경에 대한 지식이 없다면 책을 읽는 재미가 반감된다는 사실이죠.

예를 들면 재칼의 날에서 암살자 재칼에게 프랑스 대통령 드골의 암살을 의뢰한 인들은 알제리에 있는 프랑스인이었습니다.왜 드골의 암살에 식민지 알제리 인들이 의뢰하지 않고 프랑스인이 의뢰했을까요? 그건 알제라 독립운동 저지에 지친 프랑스가 알제리를 독립시키려고 했는데 100년이상 식민지 알제리에서 태어나고 자란 프랑스인들에게 드골은 자신들의 나라를 팔아먹은 매국노와 매 한가지였고  60년대 당시 알제리 태생의 프랑스 군인들은 실제 반란을 계획했으나 실패 했습니다.

재칼의 날은 이런 배경속에서 탄생했기에 이런 상황을 알던 당시 독자들은 배경 설명이 없어도 큰 무리가 없으나 이런 배경을 모르는 현재 독자들한테는 아무래도 과거 독자들과 달리 몰입감이 떨어질수 밖에 없단 생각이 듭니다.


프레드릭 포사이스의 작품은 이처럼 과거 실제 일어났던 일들을 기초로 탄생한 작품들이 많기에 생생한 현장감이 있습니다.그러기에 현실적인 첩보소설의 진수를 맛보고 싶다면 포사이스의 작품들을 추천해 드립니다.다만 현재 모두 절판상태로 알라딘 중고서점이나 헌책방에서 발품 팔아 구매해야 된다는 단점이 있네요^^;;;

by caspi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국 소셜미디어에 오른 화제의 도전 주제입니다.

3,500불에 위 음식을 90분안에 다 먹을 수 있냐는 것인데 보니까 빅맥 4개,프렌치 후라이 2개 콜라 4잔 맥너겟 두박스 정도인데 웬만한 미국인들이라면 가볍게 성공할 수 있을것 같은데 이게 왜 화제가 되는지 잘 모르겠네요.

아마도 성공금액에 비해서 너무 쉬운 도전이라 화제가 된 것 같습니다.사실 한국인들 중에도 저 정도면 90분안에 다 먹을 사람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알리디너 여러분들도 쉽게 클리어 할 수 있으시겠지요^^

by caspi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서니데이 2025-06-24 02: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음만은 다 먹고 싶어요. 성공하면 상금도 있다니 부럽네요.^^

카스피 2025-06-24 02:12   좋아요 1 | URL
ㅎㅎ 맘만 먹으면 모두들 쉽게 성공하지 않을까 싶어요^^
 

이재명 정부가 소상공인을 위한 빚 탕감 정책을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코로나로 인해 많은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들을 구제하기 위해서 5천만원이하로 7년이상 연체한 사람들의 원금과 이자 전액을 탕감한다는 것이다.

새 정부 들어와서 한다는 짓이 국민 세금으로 빚 잔치를 하면서 생색을 내겠다는 것인데 실제 이에 대한 비판이 상당히 많은 것 같다.

실제 코로나 이후 한국의 경제 사정이 안좋아서 소 상공인 뿐만 아니라 전 국민이 삶이 팍팍해 진것은 사실이다.그런데 빚은 소상공인뿐만 아니라 많은 가정에서 지고 있고 또 열심히 이자와 원금의 일부를 상환하면서 어렵게들 살아가고 있다.


자세한 내용이 안나와서 잘 모르겠지만 이재명 정부의 빚 탕감은 소상공인위주로 5천만원이하 7년이상 연체자로 한정하고 있는데 솔직히 얼마나 많은 대상자가 있을지도 모르겠지만(많아도 문제임),코로나 시기 창업한 소상공인경우 빚이 5천이하여도 기간상 7년 연체가 안되고,7년이상 연체자지만 열심히 빚을 갚았는데 현재 5천이상인 소상공인들,그리고 5천이하 7년이상 연체지만 미래가 안보여 1~2년새에 폐업한 사람들의 경우 당연히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일반 서민들 역시 여러 사유로 은행빚이 없는 사람이 없고 힘들긴 매 한가지인데  왜 소상공인만 5천이하/7년연체자들은 전액 탕감을 하고 동일한 금액과 연체기간인데 자신들은 왜 탕감해 주지 않냐고 묻는다면 정부는 어떻데 대답을 할 것인지 무척 궁금해 진다.

그리고 이런 빚 탕감에 들어가는 돈은 이통의 사적인 재산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서민들의 한두푼이 모여서 만든 세금으로 탕감해 주는 것인데 과연 국민들의 동의를 얻은 것인지 묻고 싶다.아마 국민 투표에 붙인다면 반대하는 사람들이 무척 많을 것이다.


어려운 소상공인들의 빚 탕감은 물론 중요한 문제이지만 이는 새 정부에서 여러가지 정책을 해보고서 도저히 방법이 없다고 여겨질때 국민들의 동의를 얻어서 시행해야 하는 최후의 방법(거기다가 원금탕감이 아닌 이자탕감이 타당함)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자신의 곳간에서 선심쓰듯이 집권하지마지 이런 방법을 쓰는 것은 결국 성실하게 세금 납부하고 빚을 갚아나가는 일반 국민들을 한마디고 호갱으로 보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새정부에 대한 기대가 많았는데 처음 실시한다는 정책이란 것이 겨우 이런 포퓰리즘이라니 실망을 하지 않을 수 없다.돈을 퍼부우면서 일부의 환심을 사고 그걸 표로 연결할 수는 있지만 결국은 이 모든 것은 나중에 청년세대의 빚으로 돌아온다는 것을 정치권은 명심해야 되지 않을까 싶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라딘에서 선정한 106인의 선정단은 아주 심사숙고하여서 각 개개인별로 10권의 책들을 선정하였고 그것을 취합하여 알라딘에서 809권의 후보 리스트를 선정하였습니다0

논리적으로 말한다면 106인이 모두 같은 책을 선정한다면 10권의 책이 되고 106인이 모두 각기 다른 책을 선정한다면 1060권이 되기에 809권은 어찌보면 당연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즉 각 선정인 선정한 책들중에 동일한 책이 있다는 뜻이죠)


그런데 이 809권을 모두 세밀하게 검토한다는 것은 불가능(물론 시간을 오래 들이면 가능하지만 일개 개인이 그럴 시간을 투자하기는 무척 어렵습니다)하기에 일부의 책들을 검토하여 선정의 문제점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출간시기의 문제점

알라딘측에서 2000년부터 2024년까지 출간된 1,118,869종의 책(참고서, 잡지 제외) 중에서 '21세기 최고의 책' 10권을 골라줄 것을 요청했다고 하였습니다.이건 말그대로 2000년 이후 출간작들이 후보라는 이야기죠.

그런데 809권에 선정된 책들 중에는 과연 이 책들이 알라딘에서 제시한 조건과 과연 맞냐하는 의문이 드는 책들이 다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솔직히 809권을 일일히 다 검토해 보지는 못했고 일단 제가 아는 책들(주로 소설과 읽은 책들)만을 대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죽음의 수용소에서(1984/2020)

-레드북(1959/2020 1명추천)

-그리스인 조르바(1943/2009 1명추천)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1997/2024 1명추천)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는다(1983/2015-4명추천)

-눈먼자들의 도시(1995/2022 1명추천))

-코스모스(1980/2004 1명추천)

-창백한 푸른 점(1997/2001 1명추천)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1995/2016 1명추천)

-악의 꽃(1857/2023 1명추천)

-인간의 조건(1958/2019 1명추천)

-점성술 살인사건(추리소설 1980/2020 1명추천)

-시녀 이야기(SF소설 1985/2018 1명추천)

-킨(SF소설 /2016-3명추천)-노변의 피크닉

-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1962/2007 1명추천)>번역가 추천

-마르크스의 유령들(1993/2014 1명추천)

-연인(1984/2007 1명추천)

-셜록홈즈 전집(추리소설19C/2002 1명추천)

-에세 1~3(1588/2022 1명추천)

-프란츠 카프카 꿈(1990/2014 1명추천)

-야만스러운 탐정들(1998/2012 1명추천) 

-나를 운디드에 묻어주오(1970/2024 1명추천)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2000/2021 1명추천)

-셰익스피어 전집(1990/2016 1명추천)

-더블린 사람들(1914/2010 1명추천)

-개인적인 체험(1964/2009 1명추천)

-그여자네 집(95~98/2006 1명추천)

-나무위의 남작(1997/2004 1명추천)

-화차(추리소설 1992/2012 1명추천)

-추운나라에서 돌아온 스파이(스파이소설 1963/2009 1명추천)

-백래시(1991/2017 1명추천)

-한밤의 아이들(1981/2011 1명추천)

-세가지 이야기(1877/2016 1명추천)

-우주 순양함 무적호(SF소설 20C/2022 1명추천)

-블러드 머더(추리소설론 1993/2012 2명 추천)

-흰개(1970/2012 1명추천)

-즐거운 살인(추리소설론 20C/2001 1명추천)

-달을 판 사나이(SF소설 1951/2013 1명추천)

-우부베의 여름(추리소설 1994/2013 1명추천)

-마하바라타(기원전/2012 1명추천)

-뤼신전집(20C/2010 1명추천)

-달을 판 사나이(SF소설 1951/2013 1명추천)

-태평광기(15C/2000 1명추천)

-한국어역 만엽집(7C/2012 1명추천)

-자치통감(11C/2010 1명추천)

-코스모스


책 옆에 표기된 앞의 년도는 원작이 발표된 해이고 뒤에 연도는 국내에 번역된 해(알라딘 기준)입니다.즉 후보 선정작들은 대부분 21세기에 한국에 번역 출간된 책들이지요.

그럼 선정 조건인 2000년부터 2024년까지 출간된 1,118,869종의 책이란 조건은 21세기에 국내에 번역된 책들인가하는 의문점이 듭니다.평범한 일반인들이 보기에 위 문구는 말 그대로 21세기에 간행된 책을 의미하지 21세기 한국어로 번역된 책을 의미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실제 후보작에 선정된  셜록홈즈 전집(19C/2002 ),셰익스피어 전집(1990/2016),세가지 이야기(1877/2016),마하바라타(기원전/2012), 뤼신전집(20C/2010),태평광기(15C/2000),자치통감(11C/2010)같은 책들은 길게는 기원전부터 짧게는 20세기 초반에 나온 책들인데 이런 책들이 21세기 최고의 책 후보에 선정되는 것은 가당치도 않은 이야기죠.뭐 이런 책들의 일부는 21세기 들어 국내에 최초 번역되어 선정인들이 착각할 수 있다고 치지요.

그리고 알라딘이 실제로 선정인들에게 21세기에 번역 출간된 책들을 선정할 수 있다고 알려주었다고 쳐 봅시다.


하지만 여전히 이해안가는 책들이 있지요.

-죽음의 수용소에서(1984/2020)

-레드북(1959/2020 1명추천)

-그리스인 조르바(1943/2009 1명추천)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1997/2024 1명추천)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는다(1983/2015-4명추천)

-코스모스(1980/2004 1명추천)

-악의 꽃(1857/2023 1명추천)

-인간의 조건(1958/2019 1명추천)

-점성술 살인사건(추리소설 1980/2020 1명추천)

-시녀 이야기(SF소설 1985/2018 1명추천)

-연인(1984/2007 1명추천)

-셜록홈즈 전집(추리소설19C/2002 1명추천)

-에세 1~3(1588/2022 1명추천)

-프란츠 카프카 꿈(1990/2014 1명추천)

-나를 운디드에 묻어주오(1970/2024 1명추천)

-셰익스피어 전집(1990/2016 1명추천)

-더블린 사람들(1914/2010 1명추천)

-추운나라에서 돌아온 스파이(스파이소설 1963/2009 1명추천)

-한밤의 아이들(1981/2011 1명추천)

-세가지 이야기(1877/2016 1명추천)


위의 책들은 제가 아는한 최소한 20세기 한번 이상 번역된 책들이란 사실이지요.물로 알라딘 DB에 21세기 번역 출간된 것으로 나왔을 지는 모르지만 위 책들은 20세기에 한국어로 출간되었고 아마도 그 책들을 소장하고 있는 알라디너도 다수 있을 겁니다.


즉 이것만 보더라다로 알리단 21세기 최고의 책 선정 기준이 애매모호하고 잘못되어 선정인들 조차 착각을 하고 있었던 것이 아닌가 추축됩니다.그러다보니 다른 후보작이 될 수 있었던 책들이 피해를 보게 되었지요.


2.작품선정의 문제점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저는 비주류 문학인 B급 문학인 장르소설(추리SF소설등)을 무척 좋아합니다.그래서 이번 809권의 후보작중에 추리나 SF소설 그리고 만화가 후보작에 오른 것이 무척 반갑기는 하지마 이것이 과연 일반인들이 느끼기에 알라딘에서 선정한 21세기 최고의 책의 후보들이 될수 있을까 하고 의문점을 제기 할수 있을 거란 생각이 듭니다.

-용의자 X의 헌신(추리소설 2005 2명추천 )

-13.67(추리소설  2014 2명추천)

-눈물을 마시는 새(판타지 소설 2002/2002 1명추천)

-데스 노트(만화 2004 1명추천)

-마법천자문(학습만화 1998/2016 1명추천)

-제노사이드(추리소설 2012 1명추천)

-피의 흔적(만화 2020 1명추천)

-20세기 소년(만화 2018 1명추천)

-빙과(추리소설 20011명추천)

-미스터리 가이드북(2021 1명추천)

-얼음나무 숲(추리소설 2020 1명추천)

-잘린머리처럼 불길한 것(추리소설 2010 1명추천)

-흑뢰성(추리소설 2021/2022 1명추천)

-천사들의 탐정(추리소설 1997/2016)

-11/22/63(추리소설 2012 1명추천)

-2천원으로 밥상차리기(2003 1명추천)

-살인자들의 섬(추리소설 2003/2004 1명추천)

-세계대전 Z(추리소설 2006/2008 1명추천)

-아르미안의 네딸들(만화 2021 1명추천)

-다섯번째 계절(SF소설 2015/2018 2명추천)

-미친아담(SF소설 2013/2019 1명추천)

-오릭스와 크레이크(SF소설 2003/2019 추천무)

-홍수의 해(SF소설 2009/2019 추천무)

-히스토리에(만화 2004 1명추천)

-요괴헌터(만화 2012 1명추천)

-오디션(만화 2011 1명추천)

-시오리와 시미코(만화 2017 2명추천)

-태평양 횡단특급(SF소설 2002 2명추천)

-탐정의 탄생(추리소설론 2018 1명추천)

-개의 힘(스릴러 소설 2022 1명추천)

-페어블즈 디럭스 에디션(그래픽노블 2012 1명추천)

-밀레니엄 시리즈(스릴러 소설 2004/2017 1명추천)


여기에 후보로 선정된 장르 소설이나 만화들은 제가 대부분 읽거나 혹은 소장하고 있는 책들입니다.개인적으론 무척 반갑지만 과연 다른 분들은 이런 책의 제목을 들어보기나 했을까하는 의문점이 들긴 합니다.실제 위의 작품들을 본다면 이게 과연 21세기 최고의 책의 후보 작품들이야 하고 의아함을 느끼지 않을수 없을 것 같습니다.

저 역시도 재미있게 본 책들이 다수 있지만 과연 나보고 이 책들이 21세기를 대표하는 책의 후보군에 선정될 수 있냐고 묻는다면 과감하게 예라고 답변하기 힘들 것 같습니다.

추천이 대부분 1명인 것을 본다면 이것은 선정인들의 개인적인 취향이 들어간 것이 아닌가 싶은데 이건 역시나 알라딘의 모호한 선정 기준탓이 제일 크다고 봅니다.개인적인 느낌이지만 선정인들이 최고의 책 10권 선정에 머리에 쥐가 나서 그냥 한권 정도는 자신이 좋아하는 책들을 선정한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을 과감(?)하게 해 보는 바입니다.


물론 이외에도 나머지 809권의 후보 선정 목록에서 어떤 문제점이 도출될지는 모르지만 적어도 제가 본 후보선정의 문제점은 크게 두가지 입니다.


-계   속-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첩보소설의 대가인 프레드릭 포사이스가 지난 6월 10일 향년 86세의 나이로 런던 북부 저택에서 사망했다고 하는군요.

냉전 시대를 배경으로 한 스릴러 소설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포사이스의 대표작은 영화로도 만들어진 재칼의 날이 있습니다.포사이드는 약 20권정도의 책을 출간했고 전 세계적으로 7천만권 정도 팔렸다고 하네요.


포사이스의 첩보 소설은 매우 사실적이 었는데 실제 그는 영화 '007'의 산실인 영국 비밀정보부(MI6)를 위해 20년 넘게 협조한 사실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늦었지만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