셜록홈즈 시대별 한국어 번역

셜록 홈즈는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명탐정인데 그 인기는 현재도 식지않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아직까지도 수 많은 출판사에서 지속적으로 간행하고 있을 정도이지요.


그럼 셜록 홈즈는 과연 언제부터 한국에 번역되었을까요? 무척 궁금해서 조사해보니 이미 일제시대부터 번역이 되어 있더군요.

그럼 일제시대부터 해방전후까지 국내에 번역된 셜록 홈즈 시리즈를 알아 보겠습니다.

■ 「충복」, <태서문예신보> 3~7호, 1918.10.19~11.16.

— 「세 학생(The Three Students)」(1904)


■《붉은 실》, 김동성 역, <동아일보>, 1921.7.4~10.10.

— 「붉은 실」: 《주홍색 연구(A Study in Scarlet)》(1887)

— 「보헤미아 왕」: 「보헤미아의 스캔들(A Scandal in Bohemia)」(1891)

— 「붉은 머리」: 「빨강 머리 연맹(The Red-headed League)」(1891)

— 「보손 촌 사건」: 「보스콤 계곡의 수수께끼(The Boscombe Valley Mystery)」(1891)

— 「비렁뱅이」: 「비뚤어진 입술의 사나이(The Man with the Twisted Lip)」(1891)


■ 「KKK」, <학생계> 17~18호, 1922.10~11. [*미확인]

— 「다섯 개의 오렌지 씨앗(The Five Orange Pips)」(1891)


■《붉은 실》, 김동성 역, 조선도서주식회사, 1923.

— 김동성의 <동아일보> 연재소설(1921)을 단행본으로 출판.


■ 「색마와의 격전」, 붉은빛 역, <신동아> 7~8호, 1932.5~6.

— 「저명한 의뢰인(The Adventure of the Illustrious Client)」(1924)


■ 「미인의 비밀」, 붉은빛 역, <신동아> 9~10호, 1932.7~8.

— 「세 박공의 집(The Three Gables)」(1926)


■ 「흡혈귀」, 붉은빛 역, <신동아> 11~12호, 1932.9~10.

— 「서섹스의 흡혈귀(The Adventure of the Sussex Vampire)」(1924)


■ 「셜록 홈스는 누구인가?」, 붉은빛 역, <신동아> 15호, 1933.1.

— 《주홍색 연구(A Study in Scarlet)》(1887)의 앞부분 일부.


■ 「싯누런 얼굴」, 붉은빛 역, <신동아> 16호, 1933.2.

— 「노란 얼굴(The Yellow Face)」(1893)


■ 「보스콤 곡(谷)의 비극」, 이철 역, <사해공론> 6~8호, 1935.10~12.

— 「보스콤 계곡의 수수께끼(The Boscombe Valley Mystery)」(1891)


■ 「복면의 하숙인」, 김환태 역, <조광> 6호, 1936.4.

— 「베일 쓴 하숙인(The Adventure of the Veiled Lodger)」(1927)


■ 「심야의 공포」, 김내성 역, <조광> 41호, 1939.3.

— 「얼룩무늬 끈(The Adventure of the Speckled Band)」(1892)


■《배스커빌의 괴견(怪犬)》, 이석훈 역, 조광사, 1941; 1943(재판)

— 《배스커빌의 사냥개(The Hound of the Baskervilles)》(1901~1902) 


■《심야의 공포》, 김내성 역, 여명각, 1947.

— 「백발 연맹」: 「빨강 머리 연맹(The Red-headed League)」(1891)

— 「히틀러의 비밀」(라디오 방송 소설): 「여섯 개의 나폴레옹 흉상(The Adventure of Six Napoleons)」(1904)

— 「심야의 공포」: 「얼룩무늬 끈(The Adventure of the Speckled Band)」(1892)

— 「혁명가의 아내」(라디오 방송 소설): 「금테 코안경(The Adventure of the Golden Pince-nez)](1904)

— 「왕궁의 비밀」: 「보헤미아의 스캔들(A Scandal in Bohemia)」(1891)


■《배스커빌의 괴견(怪犬)》, 이석훈 역, 야사연구회, 1948.

— 《배스커빌의 사냥개(The Hound of the Baskervilles)》(1901~1902)


■《심야의 음모》, 이석훈 역, 세계서림, 1948.

— 《배스커빌의 사냥개(The Hound of the Baskervilles)》(1901~1902)

— 이석훈의 《배스커빌의 괴견》(1948)을 다시 출판.


■《흡혈귀》, 박도일 역, 상호출판사, 1948.

— 「색마와의 격전」, 「미인의 비밀」, 「흡혈귀」, 「셜록 홈스는 누구인가?」, 「싯누런 얼굴」

— <신동아>에 연재된 ‘붉은빛’의 번역(1932~1933)을 단행본으로 출판.



역시나 셜록 홈즈으 인기는 과거부터 꾸준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네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추리소설(가장 큰 포괄단위로서)에서 가장 유명한 두사람을 들자면 아무래도 명탐정의 대명사인 셜록 홈즈와 괴도신사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아르센 뤼팽을 들 수 있습니다.


탐정소설과 범죄소설의 관점에서 두 캐릭터 모두 독보적인 인기를 구가하고 있지만 현 시점에서 본다면 아무래도 뤼팽보다는 홈즈가 더 인기가 많나 봅니다.

실제 셜록 홈즈의 장 단편은 수 많은 출판사에서 정말 질리도록 지속해서 나오고 있는 반면에 아르센 뤼팽의 경우는 사실 한 두군데 출판사에서만 나오고 있기 때문이지요.


실제 홈즈의 경우 일제시대인 1918년부터 여러 단편이 꾸준히 번역되었고 장편인 주홍색 연구 역시 1933년에 첫 번역이 되었을 정도입니다.

하지만 이른바 전집 즉 홈즈나 뤼팽의 작품을 모두 번역해서 전집형태로 낸 것은 희안하게도 홈즈보다는 뤼팽이 더 인기가 많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해방이 되고 육이오를 거친 50년대의 어러운 시국에서도 출판게는 지속되는데 놀랍게도 이 당시에 뤼팽 전집(현재와 같은 총 20권의 전집이라기 보다는 10권내외의 선집형태로 추정됨)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1954년-제목/출판사 미정 방인근 번역 

54년에 추리소설가 방인근이 뤼팽시리즈중 몇권을 번역해서 출간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다만 이것에 대한 명확한 자료는 현재 남아 있는 것이 없네요.


1955년 알세-느 루팡전집(문림사) 번역 우창원

55년에 문림사에서 나온 루팡 전집은 정확한 자료가 없어 확인이 불가능 하나 대략 10권내외로 추정되는데 번역자 우창원은 자신의 번역후기에서 방인근이 54년에 루팡책들을 번역했다는 사실을 전하면서 기존의 낱권 형식으로 나왔던 타 출판사의 루팡 책들과 달리 자신이 번역한 알세-느 루팡전집은 완변한 전집이라고 자부하고 있습니다.


1956년 알세-느 루빵전집(신생문화사)

55년에 나온 문림사에 비해 1년 뒤늦게 신생문화사에서 알세-느 루빵전집을 내놓았습니다.역시나 정확한 자료가 없어 확인이 불가능 하나 대략 10권내외로 간행되었을 거라고 추정되네요.


50년대에도 홈즈는 여러 출판사에서 간행 되었을 거라고 추정되지만 요즘과 같은 전집 형태로는 출간된 자료는 아직까지 확인하지 못하고 있습니다.그에 비해서 뤼팽 시리즈는 총 작품수의 절반 정도라고는 하지만 50년대에 이미 3곳의 출판사에서 선집형태로 간행했다는 사실이 놀랍기 그지 없네요.

아마 그 당시는 전란이후 였기에 아무래도 탐정보다는 괴도가 힘든 서민들의 마음속에 더 깊이 파고들었나 봅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가끔 영화의 경우 헐리우드에서 만들어 졌지만 자국인 미국보다 한국에서 몇일 더 먼저 개봉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블록버스터 영화가 아닌 경우 인구대비 영화 관람객수가 많은 한국의 반응을 보고 자국인 미국이나 해외 수출 마케팅을 수립하기 위해서라고 하더군요.


그런데 일부 헐리우드 영화처럼 자국에서보다 한국에서 먼저 출간하는 희안한 책이 있어 소개해 드립니다.(2025년 6월 황금가지 출간)

일본 추리소설의 거장중 한명인 다카노 카즈아키의 신작 죽은자에게 입이있다는 단편집입니다.


초자연적인 요소가 가득 다긴 신간 단편집은 폭염의 무더위에 지친 이들이 읽으면 등골이 오싹할 정도로 서늘한 느낌을 주어서 한여름 더위을 날릴 수 있다고 하는군요.


다카노 가즈아키는 일본에서 각종 추리상을 수상한 사회파 추리소설의 대표적인 작가로 국내에도 많은 작품들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일본의 인기 추리소설 작가가 자국인 일본보다 한국에서 신작을 먼저 출간한다니 참 의외란 생각이 드는데 한편으론 한국의 추리소설 시장이 많이 확대된 것이란 생각에 기쁜 마음이 들기도 하네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얼마전에 첩보소설의 세계적 거장인 프레드릭 포사이스가 별세를 했지요.사실 포사이스는60~90년대 즉 냉전시대에 주로 활약을 했던 작가이다 보니 사실 요즘은 한국에서는 거의 잊혀진 작가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사실 그의 대표적인 작품이자 영화로도 만들어진 세 작품 쟈칼의 날,오뎃사의 파일,전쟁의 개들 같은 작품은 모두 실제 일어난 프랑스-알제리 독립전쟁(쟈칼의 날),독일 나찌들의 탈출(오뎃사의 파일),아프리카 용병(전쟁의 개들)과 같은 사건들을 취재해서 소설화 시켰기에 당시에는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지만 현재는 그런 사건이 있었나 기억마저 가물 가물하기에 이런 책을 찾는 이들이 현재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하지만 90년대까지만 해도 포사이스의 작품을 꾸준히 번역 출간되었고 2천년대 초반까지도 작품들이 다수 출간되었으나 현재는 모두 절판 상태입니다.


포사이스의 작품들은 모두 현실감이 넘치는 것이 특징이지만 문제는 소설이 출간될 당시의 실제 상황에 기초한 작품들이 많다보니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사람들이 찾지 않게 되는 것 같습니다.즉 독자들이 소설속 배경에 대한 지식이 없다면 책을 읽는 재미가 반감된다는 사실이죠.

예를 들면 재칼의 날에서 암살자 재칼에게 프랑스 대통령 드골의 암살을 의뢰한 인들은 알제리에 있는 프랑스인이었습니다.왜 드골의 암살에 식민지 알제리 인들이 의뢰하지 않고 프랑스인이 의뢰했을까요? 그건 알제라 독립운동 저지에 지친 프랑스가 알제리를 독립시키려고 했는데 100년이상 식민지 알제리에서 태어나고 자란 프랑스인들에게 드골은 자신들의 나라를 팔아먹은 매국노와 매 한가지였고  60년대 당시 알제리 태생의 프랑스 군인들은 실제 반란을 계획했으나 실패 했습니다.

재칼의 날은 이런 배경속에서 탄생했기에 이런 상황을 알던 당시 독자들은 배경 설명이 없어도 큰 무리가 없으나 이런 배경을 모르는 현재 독자들한테는 아무래도 과거 독자들과 달리 몰입감이 떨어질수 밖에 없단 생각이 듭니다.


프레드릭 포사이스의 작품은 이처럼 과거 실제 일어났던 일들을 기초로 탄생한 작품들이 많기에 생생한 현장감이 있습니다.그러기에 현실적인 첩보소설의 진수를 맛보고 싶다면 포사이스의 작품들을 추천해 드립니다.다만 현재 모두 절판상태로 알라딘 중고서점이나 헌책방에서 발품 팔아 구매해야 된다는 단점이 있네요^^;;;

by caspi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첩보소설의 대가인 프레드릭 포사이스가 지난 6월 10일 향년 86세의 나이로 런던 북부 저택에서 사망했다고 하는군요.

냉전 시대를 배경으로 한 스릴러 소설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포사이스의 대표작은 영화로도 만들어진 재칼의 날이 있습니다.포사이드는 약 20권정도의 책을 출간했고 전 세계적으로 7천만권 정도 팔렸다고 하네요.


포사이스의 첩보 소설은 매우 사실적이 었는데 실제 그는 영화 '007'의 산실인 영국 비밀정보부(MI6)를 위해 20년 넘게 협조한 사실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늦었지만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