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에서 장르소설(추리소설과 SF소설)의 흑백장르전을 진행했습니다.


평상시에 제가 좋아하는 문학장르라 한번 참가해 보려고 했더니 ㅎㅎ 마감이 11월 25일 오늘까지네요.

그래 당연히 참가는 불가한데 그동안 알라딘 서재에 글을 올리면서 알라딘에 매번 들어왔는데 왜 이건 한번도 보지 못했을까하는 의아함이 듭니다.ㅎㅎ 알라딘에서 일부러 숨긴건가???

뭐 시간은 지났지만 이런 B급문학에 나름 신경을 써주는 알리딘 칭찬해 드립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지금 알라딘에서 2024 올해의 책 투표를 진행하고 있네요.


11월 22일 현재 342,951명이 투표를 진행했다는 것인데 투표를 하기 위해서는 알라딘에 로그인한 회원이어야 하므로 최소한 저정도의 회원가입자가 있다는 소리군요.

게다가 나처럼 투표를 않하는 알라딘 회원도 있을테니 최소 저보다는 더 많은 알라딘 회원이 있다는 소리인데 이 투표 인원을 보니 갑자기 알라딘 회원을 과연 얼마나 될까 궁금해 집니당^^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11월 19일 현재 누적 방문자수 198만명,ㅎㅎ 올해안에 방문자수 2백만명은 물건너 간듯 싶네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라딘에서 몇년전부터 북 펀딩이란 정책을 실시하고 이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초창기 북펀딩 경우 좋은 책을 출간하고 싶으나 자본력이 부족한 중소 출판사가 이런 좋은 책을 출간하니 펀딩을 해주세요하고 알라딘에 협조를 부탁하면 알라딘을 이를 공지하고 출판사의 출간 취지에 공감하면 알라디너들이 5천원인간 만원부터 10만원대이상 펀딩하고 목표 펀딩금액이 모이면 이 금액을 사용해 책을 출간했던 것 같습니다.그리고 일정 판매기간이 자나서 (대략 출간후 한두달후) 목표 판매량을 넘기면 펀딩한 분들에게 펀딩금액+펀딩액의 5%를 되돌려주고 목표 판매량 미달시 펀딩액만 되돌려 주었던 것 같습니다.그리고 처음부터 목표 펀딩금액 미달시 아에 출간을 취소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즉 펀딩 초기에는 출간 기획은 했으나 출판사에서 판매량 예측이 어려워 펀딩 금액의 모집여부(독자들의 책 기획에 대한 호응도)에 따라서 책 출간 여부를 결정한것 같습니다.


그런데 현재 알라딘 북 펀딩을 보면 과거와 같은 북펀딩은 아닌것 같습니다.책 출간을 이미 계획되어 있고 인쇄소에서 책은 준비중인 상태에서 이런 책이 출간 예정이니 (1권 가격)펀딩 해 주세요하는 개념인것 같습니다.

즉 출판사에서 판매예측이 어려운 책에 대해 독자들이 출간 취지에 공감해서 리스크를 감수하고 펀딩(물론 과거에도 펀딩 모집금액에 미달시 펀딩액을 모두 반환했음)-독자에 따라 책가격보다 많은 금액을 펀딩할 수 있음-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이미 간행 예정인 책에 대해 (1권가격)을 펀딩하고 출간되면 바로 배달받는 것인데 이는 솔직히 펀딩이라고 부르기 보다는 그냥 선 예약주문이라고 부르는 것이 타당하지 않나 싶네요.


알라딘에선 과거 북펀딩의 좋은 취지를 지속시키고 싶어서 북 펀딩이란 이름을 게속 사용하는 것 같은데 지금의 북 펀딩은  펀딩의 개념(물론 외레즈 같은 경우도 이런식의 제품 펀딩을 하지만 이는 해당 목표금액 미달시 펀딩금액을 반환하고 아예 제품 출시를 하지 않음)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선 예약 주문의 개념이 강하기에 북펀딩보다는 (선)예약주문이라고 하는 것이 더 맞지 않나 싶네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몇번이나 알리단 적립금을 알라딘 중고서점에서도 사용하게 해달라고 글을 올림에도 계속해서 쌩까는 이유를 당최 모르겟네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