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사랑한 예술가들 - 창작은 삶의 격랑에 맞서는 가장 우아한 방법이다
마이클 페피엇 지음, 정미나 옮김 / 디자인하우스 / 2025년 4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다양한 사람들이 예술을, 예술가들을 사랑한다.
사람마다 사랑하는 예술과 예술가들에 대한 다름이 존재하기에 우리는 각각의 다양성에서 예술의 특징적 실체를 생각해 볼 수도 있는 일이다.
하지만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입장에서의 우리라면 그리 쉽게 예술을 접하고 예술가들의 작품을 접할 수 없다.
책의 제목이 주는 의미가 마치 전시회나 화랑의 대표 또는 도슨트와 같은 이들이 아니고는 할 수 없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의 저자는 큐레이터이자 현재 미술분야에서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사람이다.
더구나 미술 평론가와 편집자로의 능력을 보유한 저자이기에 그가 만나 본 예술의 존재, 예술가들에 대한 사유를 한 권의 책을 통해 만나볼 수 있음을 그의 예술과 예술가에 대한 통찰력을 돞아 보는 일과 다르지 않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창작의 고통을 아는 이들은 해 본 사람만의 경험이자 즐거움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창작이 삶의 격랑에 맞서는 가장 우아한 방법이라 지칭하는 저자의 예술에 대한 통찰을 드러내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내가 사랑한 예술가들" 은 저자 자신이 60년 동안 동시대 예술가들과 가장 가까이 교류하고 다양한 작가의 전시회 큐레이팅을 하며 자신이 사랑하게 된 예술가들에 대해 소개하는 책이다.
저자는 미술평론계 최고의 권위를 갖는 인물이다.
그런 그가 자신이 사랑한 예술가들의 이야기 속에 담긴 작품들에 대해 빛나는 순간의 기록들을 알려 준다.
일반인들에게는 예술가들의 작품의 위대함과 예술적 가치를 쉽게 이해할 수는 없겠지만 저자에게는 그러한 가능성이 월등히 수용될 가능성이 높다.
그만큼 저자의 예술에 대한 식견이 뛰어나고 비평 역시 탁월하다는 생각을 할 수 있는 일이다.
어쩌면 예술에 대해 무지한 나, 우리라도 그의 예술에 대한 통찰적 사유를 읽으며 느낄 수 있는 의미를 몰랐던 때의 예술에 대한 이해와는 다르게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예술가의 성장 환경, 생각, 삶에 대한 태도, 인간관계와 창작의 과정, 예술관 등 다양한 사유들을 접할 수 있는 시간이 되기에 예술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는 보통의 나, 우리라면 탁월한 통찰력과 사유의 힘을 보여주는 책이나 저자를 선택함은 당연하다 하겠다.
그러한 까닭에 우리는 저자의 도움을 통해 작가가 스스로의 인간으로서 전하고자 하는 말과 예술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의미를 함께 읽어낼 수 있다.
그로서 작품이 주는 위대함과 예술의 가치를 이해하는 일이 가능해 지리라는 판단을 해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저자는 반 고흐, 베이컨, 자코메티, 호안 미로, 앙리 미쇼, 다도, 루치안 프로이트 등 27인의 예술가들을 소개한다.
저자는 우리에게 명화 감상을 위해 붓 터치, 물감의 결 하나하나에 새겨진 치열한 삶의 흔적을 들여다보고 삶의 모순과 고통, 치열한 갈망의 느낌을 따라가 그 끝에 존재하는 나를 발견하라고 주문한다.
더구나 저자가 그들 예술가들과 접하며 한 인터뷰를 통해 작가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어볼 수 있다.
그들의 예술 세계에 대한 생생함과 시각적으로 다가서는 진실함을 작품에서 느껴볼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면 저자가 설명하고자 하는 다양한 함의를 제와하고라도 나, 우리 스스로가 느끼는 예술에 대한 느낌, 주관적 의미를 통해 감상하는 계기로 만들 수 있다.
누구나 자신이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서는 많은 관심을 쏟고 더 많이 알아 가고자 하는 노력을 한다.
그렇다. 내가 사랑한 것들, 내가 사랑한 예술가들에 대해 깊이 있게 감상하고 이해하는 일은 탁월한 통찰력을 기반으로 사유한 큐레이터의 도움의 손길도 그리 나쁘지 않다.
물론 나, 우리 스스로 그러한 수준의 감상력을 키울 수 있을 정도의 능력을 키워야 하지만 단기간에 이룰 수 있는 부분이 아니기에 저자와 같은 뛰어난 능력의 소유자를 통해 그러한 능력을 간접적으로나마 획득해 보는 일도 좋은 일이다.
다독이 즐거워 질 수도 있는 책이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