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개인주의가 겹치지만 다른 강연을 더 읽기 위해서 선택.
번역은 <나쓰메소세키_ 인생이야기>가 더 좋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깨에 내려앉아
사람이 그리우냐
고추잠자리 - P9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08-19 20:5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
이제 곧 서울 창공에서 만날수 있는 고추 잠자리!!

소세키가 하이쿠도 지었네요 ^ㅅ^

그레이스 2021-08-19 21:13   좋아요 2 | URL
이 책 너무 좋아요
소세키는 편지 쓰기를 좋아했고, 하이쿠도 즐겨 썼다고 하던데요
물로 시도 쓰고...
개인적으로 산문이 좋았어요
 

정부가 보기에 박사 제도는 학문 장려의 도구로서 효과적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한 나라의 학자들이 모조리 박사가 되기 위해서 학문을 한다는 식의 풍조를 조성한다거나.
또는 그렇게 생각될 만큼 극단적인 경향을 띠고 학자가 행동하는 것은 국가의 관점에서 보아도 폐해가 많을 것임은자명한 일이다.

나는 박사 제도를 없애야 한다고까지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박사가 아니면 학자가 아니라는 식으로 세상 사람들이 생각하게끔 박사에 가치를 부여한다면, 학문은 소수박사들의 전유물이 되어 몇 안 되는 학자적 귀족이 학문의권리를 장악하게 되는 동시에, 그 선택을 받지 못한 학자들은 완전히 홀대를 받게 된다. 그 결과 나쁜 폐해가 속출하게 될까 나는 대단히 염려스럽다. 나는 그런 의미에서 프랑스에 아카데미가 있는 것조차 좋게 생각하지 않는다.
따라서 내가 박사를 사절한 것은 초지일관의 문제다. 이사건의 전말을 공표함과 동시에 나는 이 한 마디만큼은 마지막에 덧붙이고 싶다.
- P50

차가운
맥 지키지 못했네
새벽녘 - P75

생사(生死)란 완급(緩急), 대소(大小), 한서(寒露)와 마찬가지로 대조되는 것들의 연상(聯想)이기 때문에 일상에서 한 쌍으로 사용되는 말이다. 설령 요즘의 심리학자들이 주장하듯이, 생사라는 말도 다른 일반적인 대조와 마찬가지로 같은 종류의 연상에 속한다고 하더라도, 동떨어진 두 면이 이렇게 손바닥 뒤집듯이 갑자기 연이어 나를 사로잡는다면,
나는 이 동떨어진 두 면을 어떻게 같은 성질의 것으로 보고그 관계를 확인할 수 있을까.
- P7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윌리엄 포크너의 소리와 분노는 맥베스의 독백을 연상시킨다. 후에 포크너는 무심코 지은 제목이지만 이 독백이 자신의 소설에 아주 적합하다 말했다고 한다.

 

맥베스 55장에 나오는 내용으로 왕비가 죽었다는 세이든의 보고를 듣고 절망가운데 하는 독백이다.

 

내일, 또 내일, 그리고 또 내일이

매일 이렇게 꾸물꾸물 기록되는 시간의 마지막 순간까지 기어갈 것이며

우리의 모든 지난날들은 바보들에게 흙으로 되돌아가는 길을 밝혔다.

꺼지는구나, 꺼지는구나, 잠시뿐인 촛불이!

인생은 엑스트라의 그림자, 서투른 배우,

무대에 올라 뽐내며 걷고 안달하다가는 더 이상 들리지 않지.

그것은 백치가 떠드는 이야기,

소리와 분노로 가득하고 아무런 의미가 없다.

Tomorrow, and tomorrow, and tomorrow,

Creeps in this petty pace from day to day

To the last syllable of recorded time,

And all our yesterdays have lighted fools

The way to dusty death. Out, out, brief candle!

Life’s but a walking shadow, a poor player

That struts and frets his hour upon the stage

And then is heard no more. It is a tale

Told by an idiot, full of sound and fury,

Signifying nothing. Macbeth 5.5.19~28.


스코틀랜드의 글래미스의 영주인 맥베스는 전쟁에서 승리하고 돌아오는 길에 마녀들을 만난다. 그 마녀들은 맥베스가 코도의 영주가 될 것이고, 왕이 될 것이라는 예언을 한다. 그 예언을 듣자마자 코도의 영주로 임명받았다는 왕의 명령을 받게 된다. 맥베스는 동요하는 마음을 감추지만 마음속에서 욕망이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는 것을 느낀다. 이 이야기를 들은 맥베스부인은 맥베스가 속히 이 일을 이룰 것을 재촉한다. 맥베스는 주저했지만, 마침 자신의 성을 방문한 왕을 시해하고 왕위에 오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자신의 역모를 숨기고, 반대하는 세력을 없애기 위해 또 다른 살인을 사주한다. 맥베스는 죄의식으로 괴로워하고 뱅코의 유령을 보고 이성을 잃는다. 결국 맥베스의 살인은 들통이 나고, 달아났던 맥더프와 왕의 아들 맬컴이 잉글랜드 군대의 도움을 받아 성으로 쳐들어오면서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유령을 보고 겁에 질리는 맥베스, 그 맥베스를 몰아붙이는 맥베스 부인, 맥베스부인을 주목하게 된다. 그녀의 대사들은 생각을 많이 하게 했다맥베스는 길에서 마녀들의 예언을 듣고 부인에게 편지를 보낸다. 이 편지를 그녀가 읽고 맥베스에 대해 하는 말이다.

 

맥베스 부인 ……

당신은 글래미스, 코도이고, 약속받은 것 또한 될 겁니다𝍠하지만 그 성품이 걱정돼요.

최고로 빠른 길을 택하기엔 너무나 인정미가 넘쳐요.

당신은 위대해지고 야심도 없지는 않지만 그에 따른 사악함이 없어요.

꼭 하고 싶은 것을 경건하게 바라지요. 속임수는 안 쓰지만 부정하게 얻고 싶죠.

(31p, 1516-23 맥베스)

 

이렇게 자신의 남편에 대하여 아니, 인간의 보편적인 욕망에 대하여, 갈등하는 마음에 대하여 너무나 잘 파악하고 있는 맥베스부인은 영악하다. 그녀는 냉철한 판단을 가지고, 주저하는 맥베스를 몰인정하고 잔인한 말로 몰아세운다.

 

맥베스 이 일을 더 이상 추진하지 맙시다. 그는 나에게 영예를 내렸고, 난 온갖 사람들의 금빛 찬사 받았는데 새롭게 반짝이는 지금이 입을 때라 빨리 벗고 싶진 않소.

맥베스 부인 당신이 입고 있던 그 희망은 추했어요? 그 후로 잠잤어요? 이제야 깨어나 자진해서 했던 일을 창백하게 바라보고 있나요? 지금부터 당신 사랑 그런 줄 알겠어요. 욕망만큼 행동력과 용맹심을 같이 가진 사람이 되는 게 두려워요? 금상첨화라고 당신이 생각하는 그것을 가지고 싶지요? 그런데 속담 속의 불쌍한 괭이처럼 하고 싶어.” 그 말에 감히 못해.” 대꾸하며 스스로 비겁자로 살 거예요?

(38-39p, 1731-44 맥베스)

 

왕을 살해한 현장에서도, 그녀는 담대함을 보입니다.

 

맥베스 더 이상 못 가겠소.

내가 한 그 일을 생각하기 두렵고 감히 다시 못 보겠소.

맥베스 부인 의지가 약하기는! 그 단검 이리 줘요.

자는 사람 죽은 사람 그림 같을 뿐인데, 그림 속의 악마는 애들의 눈에나 무섭지요.그가 피를 흘리면 시종들의 얼굴에 발라줄 거예요, 그들 죄로 보여야 하니까.

(47-48p, 2249-56 맥베스)

 

맥베스가 유령을 보며 두려움에 떨고, 귀족들 앞에서 헛소리를 할 때도 그녀는 담대한 태도로 그 상황을 잘 넘긴다. 그러나 결국 그녀도 죄의식 앞에 무릎을 꿇는다. 패색이 짙어가는 상황 속에서 그녀는 몽유하며 시종들과 전의 앞에서 자신의 죄를 중얼거리며 드러낸다.

 

맥베스의 욕망과 갈등과 죄책감도 흥미롭게 보았지만, 맥베스부인에게 더 주목하게 되었다. 남편의 숨겨진 욕망을 꿰뚫어 보는 눈과 자신의 욕망을 이루기 위해 어떤 인정에도 굴복하지 않는 차가운 심장을 가진 그녀가 결국은 죄책감 앞에 무력하게 무너지는 모습이 인상 깊었다.

어쩌면 욕망보다 죄책감이 더 강한지도 모르겠다.

 

안현배의 미술관에 간 인문학자라는 책은 루브르 미술관에 소장되어있는 그림을 문학과 역사와 관련해서 설명하고 있다. 헨리 푸셀리의 그림 몽유병에 걸린 맥베스부인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어라는 장에서 소개한다. 화가들이 이 장면을 그림의 소재로 삼을 만큼 맥베스부인의 몽유병은 극적인 반전이라고 볼 수 있다.


맥베스부인이 최고로 빠른 길을 택하기엔 너무나 인정미가 넘쳐요.”라고 재촉을 되새긴다. 인정을 버리고 빠른 길을 택하느라, 자신을 내몰고,그래서, 후회, 불안, 걱정으로 몽유하는 세상을 돌아보게 된다.

 

셰익스피어의 유명한 작품들-햄릿, 리어왕, 오셀로, 한 여름 밤의 꿈, 템페스트, 로미오와 줄리엣, 베니스의 상인 등-을 하나씩 읽어나가면서, 셰익스피어에 대해 궁금해지고, 그의 삶과 시대, 희곡의 원료가 된 이야기들, 런던의 극단, 출판이야기들을 찾아보게 된다.


스티븐 그린블랫의 세계를 향한 의지, 빌 브라이슨의 셰익스피어 순례, 황광수의 셰익스피어가 그와 관련된 책들이다. 스티븐 그린블랫빌 브라이슨의 책은 셰익스피어의 삶과 당시의 역사와 생활상, 런던의 연극계와 그의 희곡집 출판 등과 관련된 내용이다. 황광수의 책은 셰익스피어와 그의 작품과 관련된 장소를 여행하며 쓴 내용으로, 조금 가볍게 볼 수 있는 책이다. 다각적인 시각으로 셰익스피어와 그의 작품을 볼 수 있어서 유익한 책들이었다.

 

이 세 작가는 셰익스피어의 알려진 삶에 대해서는 견해가 비슷하지만, 알려지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의견을 달리한다. 예를 들자면, 아내 해서웨이에 대한 셰익스피어의 태도이다. 셰익스피어가 고향을 떠나 10년 동안의 행적에 대해서도 조금씩 다르다. 연상인 해서웨이와의 결혼과 홀로 고향을 떠난 이유와 관련하여 아내에 대한 관계를 거론하는데 세 사람의 의견에 미묘한 차이가 있다. 그가 고향에 저택을 짓고 가문의 문장을 만드는 과정과 그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욕망에 대해 이야기 한다. 죽기 전 딸에게 많은 재산을 상속하지만, 아내에게는 두 번째로 좋은 침대를 가구와 함께 준다.”라는 유언을 남긴다. 연극 같은 유언이란 생각이 든다. 이 유언을 통해 아내와의 관계를 추측하는 논쟁들을 이끌어냈었다.

 

셰익스피어가 죽음을 목전에 두고 누워 있을 때 그는 아내를 잊으려고 애썼고, 그다음에는 두 번째로 좋은 침대와 함께 겨우 그녀를 기억해 냈다. 그리고 내세를 생각해볼 때 그가 가장 사양하고 싶었던 일은 자신이 결혼했던 여자와 함께 묻혔던 것이었다.” (251p 세계를 향한 의지스티븐 그린블렛)

 

그린블랫과 달리 빌 브라이슨은 몇 연구자들의 견해만 밝힐 뿐 셰익스피어의 아내에 대한 마음에 대해서는 아무런 추측을 하지 않는다.

그의 개인적인 삶을 읽으며, 사회적 욕구, 권력에 대한 방향성을 엿보았다. 햄릿, 맥베스, 리어왕 뿐 아니라 역사 속 왕들의 이야기를 쓴 그의 평범한 인간으로서 신분 상승을 위해 노력했던 자취들은 권력지향성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그의 인생에 드리워진 살아있는 권력에 굴복할 수밖에 없었던 창작자로서의 그늘을 보여주기도 한다.

 

두 사람은 그의 사후 그의 희곡들이 출판되기까지의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퍼스트 폴리오 판으로 시작해서 많은 판본들이 존재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 그리고 많은 희곡이 셰익스피어의 작품이 아니라는 주장에 대한 반론들을 펼친다. 셰익스피어에 대한 연구가 많은 만큼 한 가지 책만 참고하는 것은 균형을 갖기 힘들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평가해볼 때, 우리는 물론 한 사람이 그렇게 많고 현명하고 다양하고 재미있고 또 언제나 기쁨을 주는 작품들을 생산해냈다는 데 대해서 놀라움을 금할 수 없다. 그 자체가 천재성의 증거임은 말할 것도 없다. 오직 한 사람만이 우리에게 그런 위대한 작품을 남길 수 있는 환경과 재능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그 사람은 바로 스트렛퍼드 출신의 윌리엄 셰익스피어였다.”(215p 빌 브라이슨의 셰익스피어 순례빌 브라이슨)

 

 


댓글(20) 먼댓글(0) 좋아요(5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ini74 2021-08-16 21:08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그러고보면 말의 힘이 큰 것 같아요. 주술이나 예언 주문이 왠지 무서워지는 ㅎㅎ 셰익스피어가 죽을 당시 아내가 정신적문제 혹은 치매설도 있던데요. 사이가 그닥 좋지는 않았군요. 우와 빌브라이슨이 쓴 셰익스피어도 있군요. 맥베스에서 그림에서 생애까지 ~~많은 걸 배우고 갑니다. 책도 찜! 하고요*^^*

그레이스 2021-08-16 21:12   좋아요 4 | URL
워낙 기록되지 않은 부분이 많아서 설이 많나봐요.^^

그레이스 2021-08-16 21:13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그나저나 이미지 방향이 조정이 안되네요 ㅠ

scott 2021-08-16 21:16   좋아요 4 | URL
카메라로 찍었을때 회전을 시키고 구글 통해서 북플 앱으로 전송해보세요 정상으로 이미지가 나옵니다.

그레이스 2021-08-16 21:19   좋아요 4 | URL
사진찍어서 컴으로 받아서 파일 용량도 줄여서 올렸는데...자기 맘대로 가로본능 ㅠ

그레이스 2021-08-16 21:42   좋아요 5 | URL
가로본능을 만족시켜주기 위해 편집해서 다시 올렸습니다. ㅋ

scott 2021-08-16 21:15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셰익스피어 작품은 읽어도 읽어도 마르지 않는 샘물 처럼 재미 흥미 교훈 시대와 세대를 훌쩍 뛰어넘죠.
맥베스는 제가 셰익스피어 희곡 중 가장 사릉하는!!
그의 삶이 상당히 미스테리한 부분이 많다는 것도 학자들에계 끊임없는 연구와 논쟁 상상 거리를 가득 주고 있죠 !

그레이스 2021-08-16 21:16   좋아요 5 | URL
그러게요
몇번을 읽어도 읽는 사람마다 시기마다 다 다르게 읽히는...!

새파랑 2021-08-16 21:48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얼마전에 맥베스 다시 읽었었는데 너무 좋아요 ㅜㅜ 주인공은 맥베스 부인이 확실한듯 😆
‘소리와 분노‘라는 문장도 최고인듯~!!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영문 표현이 더 와닿는거 같아요~!!

그레이스 2021-08-16 21:57   좋아요 4 | URL
맞아요
영문으로 읽을 때가 더 와 닿는데 영문과 번역본을 함께 놓고 읽으면 읽는 속도가 느리지도 않더라구요.

레삭매냐 2021-08-16 22:17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제가 맥베스를 다시 읽은 게
지난달이었네요.

구해 놓은
맥베스 영화도 봐야 하는데...

그레이스 2021-08-16 22:18   좋아요 4 | URL
요즘 알라딘서재에 맥베스 후기가 자주 올라오더라구요^^

서니데이 2021-08-16 22:50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빌브라이슨의 셰익스피어 순례는 재미있을 것 같네요.
오래전에 읽은 책들은 번역도 오래된 번역이고, 오래전이라서 기억도 적어서
새로 읽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오래되면 기억하는 것이 실제로 달라지기도 하니까요.
그레이스님 좋은밤되세요.^^

그레이스 2021-08-16 22:52   좋아요 4 | URL
빌 브라이슨이 페이지도 적당하고 잘 읽히기도 해요. 워낙 글을 위트있게 잘 쓰는 작가라..!

바람돌이 2021-08-17 02:12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아 애증의 셰익스피어!
저는 세익스피어 희곡이 왜 재미가 없을까요? 누군가 얘기하는대로 민음사판을 봐서 그런걸까요?

그레이스 2021-08-17 05:17   좋아요 2 | URL
열린책들이 더 이해가 잘 되긴 해요. ㅎㅎ

희선 2021-08-17 03:48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셰익스피어는 오래전 사람이고 그때 쓴 희곡이 많아서 여러 가지 이야기가 있기도 하군요 셰익스피어일지도 모른다고 한 작가도 있던데... 희곡만 쓰다니 다른 건 하나도 안 썼을까요 편지나 일기가 남았다면 더 좋았을 텐데 하는 생각도 듭니다 거의 희곡으로만 셰익스피어를 알아야 하니... 아니 그 시대 사람이 셰익스피어 이야기를 쓴 것도 있을지... 아주 없는 건 아니겠습니다


희선

그레이스 2021-08-17 15:30   좋아요 1 | URL
미지로 남아 있는 것이 더 좋은 면도 있는 듯요^^

서곡 2023-02-03 17:3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늘 레이디 맥베스 몽유병 그림 포스팅했는데 그레이스 님의 예전 이 페이퍼를 조금 전에 보고 반가워서 뒤늦은 댓글 답니다 ㅎ 퓌슬리(푸셀리)가 맥베스 그림을 많이 그렸더라고요 위 그림 말고도요

그레이스 2023-02-03 17:34   좋아요 0 | URL
아!
저도 서곡님 읽으신 책 보고, 지금 장바구니에 넣고 왔어요
푸셀리는 인간의 심리를 그림에 잘 묘사하는 듯요^^
 

하지만 1전이 됐든 5리가 됐든 사기꾼에게 은혜를 입어서는 죽을 때까지 마음이 편치 못하다. 내일 학교에 가면 당장 1전 5리를 되돌려주자. 나는 기요에게 3엔을 빌렸다. 그 3엔은 5년이 지난 지금까지 갚지 않았다. 갚을 수 없었던 게 아니라 갚지 않은 것이다. 기요는 조만간 갚겠지 하며 내 주머니 사정을 헤아려보거나 하지 않는다. 나도 곧갚아야지 하면서 마치 남처럼 의리를 내세우지는 않을 생각이다. 내가 그런 걱정을 하면 할수록 기요의 마음을 의심하는 일이 되어 기요의 아름다운 마음에 먹칠을 하는 것과 같아진다. 돈을 갚지 않는 것은 기요를 무시해서가 아니다. 기요를 나의 일부분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 P79


댓글(1)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딩 2021-08-15 01:2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기요
그 이름은 참 묘한 것 같아요
그리움을 부르는 이름 같아요.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