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극은 그의 혀끝에서 시작됐다 - 심리학자와 언어전문가가 알기 쉽게 풀어낸 말의 심리
박소진 지음 / 학지사 / 2012년 2월
평점 :
우리 속담에 "말 한마디로 천냥 빚도 갚는다"고 했고,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고도 했다. 이 뿐만 아니라도 말의 중요서을 강조하고 말을 조심해야 한다는 말은 얼마든지 있다. 외국의 사례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말하는게 전부가 아닌 것이 우리말의 특성이다. "잘한다~"라는 말에도 그 상황이 어떤가에 다라서 진짜로 잘했다는 칭찬이 될 수도 있고, 잘못에 대한 질책과 비난을 반어적으로 표현한 말이기도 하다.
이처럼 같은 말에도 늬앙스에 따라서 높낮이에 따라서 그 의미가 천양지차인 말의 진짜 의미를 알아보고, 그 가운데에서 상대방의 말이 아닌 상대방의 진짜 마음을 이해하자는데 그 취지를 두고 있는 것이 바로 이 책이다.
우리는 하루에서 수많은 사람들과 수없이 많은 이야기를 주고 받는다. 이중에는 즐거운 대화가 있는 반면, 속에서 화가 치미고 답답함을 느끼는 대화아닌 말의 주고 받음이 존재한다. 때로는 내가 하는 말을 상대방이 못 알아들어서 가슴칠때도 있고, 반대로 상대방이 도대체 뭘 말하고자 하는지 감을 잡지 못하는 상황이 있는 것이다.
그동안 우리의 인간관계에서 흔하게 볼 수 있던 상대방과의 언어적 교환에 있어서 경험했던 사례들을 들어가면 설명하고 있기에 적어도 이 말이 무슨 뜻인지 헷갈리지는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든다.
나와 상대방의 오해를 불러 일으키고 상처를 주는 말, 표면적인 말의 거짓 뒤에 숨겨진 진짜 하고픈 말, 남녀의 너무나 다른 말에 대한 분석, 실수와 언어 유희를 통해 작용하는 말, 제2의 언어적 도구라고 불리는 표정과 몸짓 등에 관한 자세한 이야기가 나온다.
우리에게 "누구냐 넌?" 이란 명대사로 유명한 <올드 보이> 오대수의 비극의 시작은 바로 그의 혀끝에서 시작되었다. 바로 그가 아무 생각없이 했던 말이 그대로 부메랑이 되어 자신을 옭아맸던 것이다. 이처럼 책에서는 영화와 드라마에서 보여졌던 상황들을 예로 들어 그것에 대해 언어학적이고 심리학적인 분석을 통해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하루에도 엄청난 이야기들이 오가는 속에 과연 우리는 얼마나 그 말들의 진짜 의미를 이해하고 있을지 의문이 든다. 그리고 이 책은 그런 의문에 대한 해답이 아닌가 싶다. 세치혀로 사람을 죽일 수도 있다고도 말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말한마디 잘 못해서 패가망신한 이는 많이 들어 보았을 것이다. 지금 이순간에도 내가 무심코 던지는 그 말이 상대방에겐 상처로, 나에겐 더 큰 아픔으로 돌아올 수 있음을 결코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