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아침, 식구들은 늦잠을 자는데 나는 괜히 일찍 일어나서 부엌을 서성거렸다. 어젠 만보를 넘게 걸었더니 아직도 발바닥이 아프다. 다리가 짝짝이라 그런가, 운동 부족 탓인가 잠시 생각하다가 읽던 책 '모모푸쿠'를 마저 읽었다. 입에 침이 고인다. 뭐람 이런 파블로프의 개 같은 상황.

 

 

좋은 재료로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서, 전통에 집착하기 보다는 재미있게 창의적으로, 때론 또라이 같은 방법으로, 보다 낮은 가격에 많은 양을,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식당을 만드는, 그것도 지쳐 나가떨어지게 열정을 쏟아부은 (어쩌면 우리 나라 백종원 같은 느낌도 드는 조금 더 젊은) 데이비드 챙. 그가 들려준 식당 열기와 음식 메뉴 이야기는 재미있고 맛도 있(어보인)다.

 

'밑줄긋기'

지방에 지방만큼 더 좋은 짝이 없다.

 

연습을 많이 할 수록 운이 좋아지는 거겠죠.

 

너무 숭고한 나머지 손을 대서는 안 되는 요리란 없다고 생각한다.

 

---

 

어제 마신 커피는 체인점이었지만 꽤 맛있었다. 오랜만에 마신 시고 쓰고 단 커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큰 아이 초등학생일 때도 함께 읽었고, 이번엔 막내 학교 필독서라 다시 읽었다. 예전 책은 어디에 있는지 찾을 수가 없어서 다시 샀는데 연두색 표지를 기억했지만 노란색 책이다. 밝고 밝은 노란색.

 

의미없는 먹고 먹는 삶을 살다 '생각'을 하게 되는 호랑 애벌레. 길을 떠나서 벌레들의 기둥에 끼어들고 악착같이 기어 오른다. 짓밟고 엉키는 와중에 노란 애벌레의 눈과 만난다. 둘이서 내려와 편안한 자연의 삶을 잠시 즐기다가 호랑 애벌레는 다시 '생각'을 하고 '의미'에 대해 고민한다. 다시 기둥으로 돌아가는 호랑 애벌레. 의미는 다른 곳, 자신에게 있다는 걸 깨닫고 용기를 내서 꼬치를 짓는 노란 애벌레.

 

해피 엔딩, 수천 개의 기둥 들은 허물어지고 짓밟히고 떨어져 죽을 수 있었던 애벌레들은 나비가 된다. 꽃들에게 희망을 줄 '의미'를 품은 나비들이 날아다니는 마지막 장면.

 

학교에서 이 책을 함께 읽는 아이들은 경쟁의 기둥을 입시경쟁으로 받아들이겠지. 그럼 애벌레가 되기 위해 참고 고립하는 일시적인 죽음, 꼬치 단계는 무어라 이해할까. (제발 고3이라고 말하지 말아줘) 막내의 애창곡 '나는 나비'가 생각난다. 샤우팅 창법으로 연달아 세 번 부르고 목이 쉬어버리는 막내. 나비란다. 그래 나비. 훨훨 날아야지. 노래하고 춤추는 아름다운 나비. 거미줄과 사마귀를 피해서 날아서 꽃을 찾아 세상을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나비! 지금은 토요일 늦잠을 즐기며 애벌레처럼 이불로 몸을 싸매고 누워있는 나의 나비.

 

 

https://youtu.be/OLAqv_Zbo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트위터에서 회자되는 다큐멘터리 시리즈 Ugly Delicious를 봤다. 부엌 창가에 스마트 폰을 얹어 켜두고 설겆이를 하면서, 한없는 채썰기를 하면서 봤다. 나도 마음은 세프라....고 하고 싶지만 일주일에 한 번 고기를 2킬로씩 버무리는 건 유학생적 습관 때문이다. 파도 몇 단씩 사서 다듬고 정리하고 생선도 음악 들으면서 비늘을 긁어 한 마리씩 정리한다. 하지만 김치 냉장고는 없다. 내 몸이 그저 유학생 시절의 고생과 궁상, 혹은 음식에 대한 집착을 기억해.

 

주인공, 혹은 엠씨 데이비드 챙 (장)은 한국계 미국인으로 뉴욕에서 시작한 누들바, 모모푸쿠를 세계 체인으로 성공시킨 유명 세프다. 말도 참 어글리 (아니 F.... word) 하게 걸게 하고 음식에 대한 호기심과 애정도 많고 (그런데 왜 해삼을 못드시나 몰러....난 어리굴젓을 몬먹지) 음식과 요리에 담긴 의미를 이해하고 함께 고민하려 한다.

 

정통 음식이란 무언가. 쌈과 타코가 어떻게 다르고, 음식에 담긴 문화, 아니 차별은 어떤지. 타이거 우즈에게 프라이드 치킨을 언급한 그 골퍼는 인종차별주의자임에 분명한데 휴가 나온 군인에게 치킨은 가족 보다 반갑다. 퓨전은 또 다른 F word 라며 기겁하는 요리사에게 정통은 그저 높은 벽 쌓기가 아니라고 했다. 복잡하고 오묘하고 ... 하지만 영상은 유혹적이고 (매회 시작시 자막으로 '모방성 높다'는 경고가 나온다) 입엔 침이 고이다가 급기야 지갑을 들고 길로 뛰어나가 ...결국 타코벨에 갔다는 슬픈 이야기. 너무 짠 타코에 눈물이 나서 집에 와선 아보카도 하나를 썰어 먹었다지요.

 

음식에 대한 신격화는 없지만 예의를 지키려 하고, 음식을 나누는 사람들에 대한 애정이 넘친다. 그리고 칼로리도. 데이비드 챙의 책을 사서 읽기시작했다. 그의 음식 배우기 여정이 오딧세이 만큼 흥미진진하다 (아, 나는 오딧세이 책이 세 종류로 있는데 아직 안 읽었....) . 모모푸쿠, 라는 가게 이름이 라멘의 창시자에서 따왔고 묘하게 f.... 라는 것, 그리고 그의 열정이 읽는 나도 흥분 시킨다. 음식이야기와 어렵고도 쉬워 보이는 레서피가 많이 실려있다. 오늘 아침은..... 씨리얼. (덴당)

 

--

도망 가는 놈이나 꼬집는 놈을 조심하라. 가재는 살아서 성질 부리는 놈으로 사야 한다. (생가재 요리)

 

소에게 옥수수가 있다면 한국 아이들에게는 떡이 있다.

 

나는 에이허브 선장이었고, 부리토는 나의 모비딕이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syche 2018-03-10 11: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넌 해삼도 어리굴젓도 다 먹는데 없어 못먹을뿐... ugly delicious 처음 들어봤는데 재미있어?

유부만두 2018-03-10 11:17   좋아요 0 | URL
네. 근데 f word 너무 많이 나와서 애 있을 땐 못봐요;;;; 인종 문화에 대해 많이 생각했어요.
엄청 배고플 땐 보면 위험해요.

psyche 2018-03-10 11:19   좋아요 0 | URL
f word 쯤이야. 난 원래 헤드폰 끼고보거든 ㅎㅎ

유부만두 2018-03-10 11:21   좋아요 0 | URL
ㅋㅋㅋ 제목도 f.... delicious 대신 ugly 쓴거 같고요. 중간에 스티븐 연도 나와요. 느무 귀엽고요.
 
동화 쓰는 법 - 이야기의 스텝을 제대로 밟기 위하여 땅콩문고
이현 지음 / 유유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화가 어린이와 어른 모두에게 보여줘야할 세상과 태도를 말하는 책. 예의 바르나 단호하며 밝고 재미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아침은 봄비.

 

이 비는, 이 물 방울들은 어디에서 오는 건가. 언젯적 물, 에치투오 들인가. 우주의 원자들일까.

 

설화의 패러디는 이탈로 칼비노라고 '소설의 기술 the Art of the Fiction'에서 존 가드더가 정리했다. 이탈로 칼비노는 그 유명한 '고전은 다시 읽는 것'이라는 인용구로만 알고 있었는데 그 자신이 고전으로 정의될 소설을 썼다. 재미 삼아, 거짓말을, 시침 뚝 떼고, 우주적 뻥과 과학을 양념 삼아.

 

달이 과거엔 너무 가까이 있었다네. 바다로 나가 하늘에 떠 있는 달에 긁히지 않게 고개를 숙이며 배를 저어 나가서 달까지 사다리를 대고 달의 중력에 다가가 폴짝 뛰어오른다고. 거기서 여러 물질이 녹아 달의 비늘 사이에 고여있는 우유를 긁어 온다고. 그런 시절이 있었다고. 생명체가 여러 무기물 사이에 부유했는데 이 물질들이 서로 뭉치고 굳더니 지구가 생기더라나. 그 맑은 구체 였던 지구가 굳어가는데 그 속에 빠진 누이를 1912년에 호주에서 만났다니 다행이지.....아, 뭐야?!!! 이게 문학이라고? 설화나 옛이야기가 이런데요? 그쵸?! 재미있고 엉뚱망충한데 그 안에서 말이 된다고요. 인물들의 갈등과 슬품이 더할 수 없이 절절하다니!  하하하 칼비노는 게다가 과학도 섞고 인물들이 (사람인지 뭔지) 제멋대로 쿨시크하고 이름도 대충 달아놨는데 이걸 각잡고 읽는건 우습잖습니까. 그런데 무시할 수는 없더라고요.

 

봄비, 우주적 망상, 아니 상상력으로 에치와 투와 오의 결합과 분해 혹은 실험실의 비이커들을 상상합니다. 아침은 봄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