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의 1장을 겨우 읽고 기쁨에 겨워 마들렌느를 한 개 (아니고 다섯 개)를 홍차에 적셔 먹기 까지 했으면서 오래 덮어 두었었다. 그러다 문득 깨달았다. 큰아이 군복무 기간 21개월 동안 7권을 완독 하려면 1권을 석달 동안, 즉 1부는 2월말에 완독해야 시간표에 맞다. 하지만 계산에 맞게만 읽었다면 내게 왜 '오딧세이아'가 세 권이나 안 읽힌 채로 있겠으며 수 많은 전집들은 왜 먼지를 쓰고 있을까.

 

1부 마무리에서 레오나 숙모를 할머니의 자매님들이라고 (돌려 말하고 돌려 까기의 선수님들) 오해 했었는데, 어린 마르셀에게 일요일 오전, 미사 시간 전에 마들렌을 주신 분은 레오나 숙모님이셨다. 숙모님은 외할아버지의 사촌누이의 딸인데 남편과 사별후 친정인 콩브레에 내려와 두문불출하고 침대에만 머무르는 상태. 하지만 길 쪽으로 난 창을 통해 작은 동네에 자신이 모든 사건 사고(라고 해봤자, 아무개가 장봐서 가는데 아스파라거스가 팔뚝만하다, 아무개가 케익을 사서 어디로 가더라, 손님 맞이인 게다) 를 알아야 만족하는 분. 정보원으로 하녀를 심부름 보내서 가십을 들고 오게함. 입에는 늘 아, 난 글렀어, 곧 하늘로 가겠지, 라는 말을 달고 살고 이런 저런 약을 먹고, 절대 난 잠 들지 않았어, 를 자부심으로 내세우며 (우리 할머니 예전에 티비 켜놓고 누워계시기에 티비를 껐더니 '나 안잔다, 켜라' 라고 하시고 곧 코를 고셨지) 마을일과 집안일을 침대에서 지휘하시는 분. 그런데 묘하게 밉지는 않네. 마르셀의 가족은 콩브레에 오면 이 레오나 숙모님 댁에 머물렀는데 숙모님댁 하녀는 (1장에도 나오는) 프랑수와즈는 사실 기 세고 뻔뻔한 소녀가 아니라 은퇴할 나이가 된 할머니였다. 그 하녀에게 어린아이를 시켜 보너스로 돈을 건네는 장면은 서글프기도 하다.

 

나도 마들렌을 먹어서인지 (그것도 많이) 이제 슬슬 인물들의 관계와 나이, 모습들이 조금 더 자세히 보인다. 레오나 숙모님의 말투와 참견, 다른이들의 의견은 사양하는 모습이 다소 코믹하게 그려지지만 찻잔에 넣은 마른 잎 (보리수)이 바짝 말라있다가 서서히 물에 풀리는 모습, 햇살이 방 안의 공기를 덥히는 묘사는 기가 막히게 아름답다. 정말. 레오나 숙모님이 마들렌을 주로 적셔 드시던 차는 홍차가 아니라 보리수차였다. 프루스트의 단어와 문장은 그림을 그려내고 있다. 햇살이 방 안 공기를 빵을 굽듯한다는데 부풀리고 덥히고 구워서 표면이 바삭한 주름을 만드는 과정, 그리고 그 향기가 아아 내 코에도 와 닿는 것만 같다. 이런 너무 몰입하셨군요. 2장은 향기와 그림이다. (실은 아직 2장의 절반;;;) 콩브레의 교회 종탑의 묘사도 너무나 절묘한데 하늘을 콕 찌르는 창, 혹은 살짝 위로 올라가 구워진 브리오슈 같다고 하는데. 더는 참을 수가 없어! 빵집으로 달려 갔지만, 매일빵집 (뚜*쥬*)이나 막대빵집(빠**게*)에는 브리오슈가 없었다. 대신 그림으로 브리오슈를 찾아본다.

 

la Brioche (Chardin, 1763)

 

어제의 그 갈망을 누르고 (잃어버린 식욕을 찾아서, 같지만, 내 식욕은 늘 나와 함께 하지. 절대 떠나지 않아) 오늘 아침은 씨리얼. 이미 절판된 책 '그림과 함께 읽는 잃어버린 시절을 찾아서'을 중고 가격과 같은 원서 새책으로 주문했다. 진즉에 사둘껄. 글로 읽은 그림을 눈으로 보게 되겠지만, 그래도 프루스트의 글이 더 아름다울 게 (맛있을 게) 분명하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syche 2018-03-15 11: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번에는 마들렌이 아니라 브리오슈까지!! 브리오슈 사러 어디로 달려가야하지?

유부만두 2018-03-15 17:35   좋아요 0 | URL
김0모 제과점에도 없네요;;;

라로 2018-03-18 16:08   좋아요 0 | URL
85도씨요. 사진과는 많이 달라보이는 약식 브리오슈.ㅎㅎㅎㅎ

psyche 2018-03-19 00:14   좋아요 0 | URL
저도 85도씨에서 브리오슈 종종 먹는데요. 이게 모양마다 이름이 다르더라구요. 브리오슈 어쩌구. 근데 저 동그란 모양이 제일 유명한건가봐요.

단발머리 2018-03-16 07:5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읽을꺼예요~~
그래야 마들렌느에 홍차를 ㅋㅋㅋㅋㅋ

유부만두 2018-03-16 08:44   좋아요 0 | URL
보리수차 대신 보리차에 마들렌 곁들이고요~ ^^
 

중국 근현대사를 처음 접하는 사람이라 (중고등학생 시절, 세계사 시간은 음...아지랑이 사이로 기억이 납니다만, 근현대사 부분을 배울 땐 늘 겨울방학 봄방학 근처라 제대로 수업을 하지 않았었다고 우겨 보렵니다. 죄송합니다 선생님들) 쉬운 책을 찾았습니다.

 

홍콩과 대만 여행 중 눈으로 확인한 건 엄청난 '중화사상' 이고 '중국문화'였습니다. 박물관에서 여러 기록물들과 모형들로 후손들과 관광객들에게 말하는 건 '찬란한 중국문화, 외세에 다쳤으나 꺾이지 않았다' 랄까. 우리나라 역사와 여러 방법으로 겹치고 만나는 중국이기에 그를 대하는 감정이 오만 가지 색일 수 밖에 없지요. 모르는 게 약이기도 죄이기도, 또 과거이기도 하다고 생각합니다. 시진핑의 장기집권 개헌 뉴스를 보면서 이것도 역사로 기록되겠구나, 나는 역사를 사는구나 확인했고요. 아침에 선물 받은 커피를 내려 마셨습니다. 현해탄을 건너온 커피와 중국 역사책(!)을 함께 하는 아침. 만두 생각이 간절합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18-03-14 18:2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어제부터 먼나라 이웃나라 프랑스를 들었습니다. ㅎㅎㅎㅎㅎ
만약 저도 중국 현대사를 시작하게 된다면 먼나라 이웃나라로 하고 싶네요.
알라딘 서재 셀러브리티,
알라딘 마을 효리네 민박,
유부만두님, 굿모닝이예요~~*^^*

유부만두 2018-03-14 16:29   좋아요 0 | URL
찌찌뽕~ 인가요? 아이들 책이라 설명도 꽤 자세하고 친절해요. 그래도 중국 근대사는 삼국지 저리 가라로 사건사고가 쏟아지고있지만요.. 저, 유명만두인가요? ㅎㅎ 철학책 많이 읽으시는 멋진 단발머리님, 굿 애프터눈~~~

아트 2018-03-14 10:5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쓰신 글을 보니 저도 만두 생각이 나네요. ^^

유부만두 2018-03-14 16:30   좋아요 0 | URL
사진 올리면서 만두 생각이 간절했어요~~~~ (제 닉네임을 보세요;;;)

보슬비 2018-03-14 22:0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배부른데도 저도 만두 생각이 나요~~

유부만두 2018-03-15 08:03   좋아요 0 | URL
그쵸~~~!!! 만두는 훌륭한 음식이에요! ㅎㅎ
 

김란사 특집이라서 살펴보니 11월에 박정희 특집을 낸 잡지네;;;; 쎄 하다. 펴낸 곳은 꼬레아 우라. ‘우라’는 러시아어로 ‘만세’. (톨스토이를 읽고 배운 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psyche 2018-03-14 01: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진짜 이 잡지 완전 쎄 하네...

유부만두 2018-03-14 07:46   좋아요 0 | URL
그래서 읽고 싶어요, 도 하려다 관두고요, 책링크도 안 걸었어요.
 

3.1절 기념으로 3권 셋트를 사서 읽기 시작했다. 마음이 무겁고 머리도 아프다. 그림체가 바뀐 건지, 일제강점기 전체 개요와 국제 정세를 설명하기 때문인지 중반부까지 읽으면서 박시백 작가의 '조선왕조 실록' 대신 '먼나라 이웃나라'가 떠올랐다.

 

과하게 감정에 호소하려고는 들지 않지만 사이사이 말풍선으로 투덜거림 혹은 숨고르기로 이 숨막히는 세월, 끔찍하고 한탄스러운 역사를 그려낸다. 일본이 어떻게 정치 외교에서 시작해서 조선의 땅과 쌀을 야금야금 먹어들어갔는지, 조선인들은 견디다 못해 도망자, 망명인이 되었는지, 그 시대의 지도자들은 어떻게 행동했는지 배웠다. 한반도 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의 권력 관계를 보여주고 권말에는 꽤 비중있게 인물들을 다루고 있다. 3.1절은 2권에 나온다. 8월까지 천천히 곱씹으면서 읽어야겠다.

 

서울교육박물관에서 '김란사 특별전'이 열리고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유학생이며 유관순을 비롯한 여학생들을 교육켰고 독립운동에 앞장 선 지식인이었으나 북경에서 의문사했다. 유감스럽게도 김란사(김하란사)는 35년 책의 인명부에는 실려있지 않다.

 

http://edumuseum.sen.go.kr/edumuseum/index.do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syche 2018-03-13 12: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란사 지금 여기서 처음 알게 되었네. 아 이런 분이 계셨구나

유부만두 2018-03-13 21:54   좋아요 0 | URL
저도요.... 정말 대단하신 분이시죠.

hnine 2018-03-13 18:2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지금까지 ‘하란사‘라는 이름에 익숙해져 있었어요. 이제 ‘김란사‘라고 해야겠군요.

유부만두 2018-03-13 21:55   좋아요 0 | URL
전 아예 처음 만나는 위인이에요. 계속 배우고 읽고 만나고 싶어요.
 

딸이었다면 어땠을까 상상해본다. 초6이니 빨간머리 앤이나 제인 에어를, 아니면 방탄소년단을 함께 이야기 했을지도 모른다. 마텔사에서 새로 내놓은 인형들 중 프리다 칼로의 인형을 인터넷에서 검색했을 수도 있고, 난 엑소 앨범을 딸 이름으로 주문할 수도 있었다. 내가 좋아했던 책과 이야기를 함께 즐겼을텐데.

 

남편은 막내 핑계로 '마구마구' 와 야구 게임을 한다. 엘지 어린이 야구단에도 아이를 넣어버렸다. (왜요?! 아이가 불쌍하지도 않은가? ) 게임 아이템을 사면서 아이 핑계를 댄다. 스타워즈 시리즈는 아이와 함께 세 번씩 보고 굿즈는 아이 이름으로 배송이 온다. 액션 히어로들은 왜이리 숫자가 많은가. 쌈박질 하는 콘텐츠를 좋아하는 건 어쩔 수 없이 여자와 남자의 차이일까.

 

 

 

 

 

 

 

 

 

 

 

 

 

 

그러다가....아이가 삼국지를 알아버렸다. 어쩐지 한자학원에 등록시켜 달라고 하더라니. 막내는 각 인물들에 애착을 갖고 세세한 내용을 알아가고 있다. 가령 도원결의 당시 장비는 고작 17살이었는데 그 복숭아 나무가 있는 정원도, 그 집도 다 장비 소유였다. 유비는 왕의 후손이라고 하지만 실은 그 후손이 백명도 넘게 있었다. 막내의 이런 관심이 당혹스럽지만 그 배후에는 남편이 있는 것만 같다. 다행히 고우영의 삼국지는 예전에 팔아버렸다. 어른의 눈에도 지나치게 편중된 성인 오락물로 보였기 때문. 아이는 글을 읽고 이야기를 즐기기 보다는 어쩐지 게임처럼 삼국지를 다루는 것 같다. 삼국지를 알아버리는 건, 아이가 리니지나 오버워치를 시작한 것 만큼 위험하다고 들었는데. 이렇게라도 책을 잡는다면 다행으로 여겨야 할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syche 2018-03-13 00: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벌써 막내가 삼국지를!
우리집은 아빠랑 아들은 소닭본듯 하는 사이라 같이 뭘 하는게 없네 ㅜㅜ

유부만두 2018-03-13 08:53   좋아요 0 | URL
우리집은 아빠가 자꾸 자기 어린시절 취미생활을 막내에게 ‘전도‘하는 거 같아요. 큰애는 잘 안됐거든요. 운동도 삼국지나 스타워즈도. 그런데 막내랑은 코드가 맞는지 열심히 잘 놀아요. 요새 막내가 사춘기라 같이 하는 게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은 해요. 돈이 많이 들어서 그렇지;;;; (야구 시즌이 돌아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