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 서문 中>


우리는 또한 헌신적으로 아이를 돌봐 준 버지니아 프렌치 부인에게 감사드린다. 그녀가 없었더라면 작문하는 것조차 불가능했을 것이다. _ 수전 & 산드라, 1979년 


(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속으로는 현실을 직시하는 것이 너무 괴롭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왜냐하면 아무도 도와주지 않기 때문이다. 그 대신 프라이드가 가혹한 노동을 견디게 해준다. 그녀는 모든 문제의 본질을 덮어 두고 마음속 깊은 곳에 걸어 잠근 채, 부지런함을 철칙으로 삼았다. 현실을 보지 않는 것이 삶의 기술이다. (46)


 

아이를 둔다는 것은 생각처럼 되지도 않거니와 아예 끊어버릴 수도 없는 인간관계를 안는 것이다. (94)


 

, 인간 땅에 떨어지는 거 금방이구나.” 요시에가 중얼거리자 마사코는 가엾다는 듯이 요시에를 봤다.

그래. 다음은 브레이크 망가진 자전거가 비탈길 굴러가는 것 같은 거지.”

아무도 멈출 수 없다는 말이니?”

부딪치면 멈춰.” (232)


 

사태는 의외로 빨리 움직이고 있다. 생각대로 되겠지 하고 얕보기 시작하면, 파탄은 틀림없이 준비되어 있으면서 발을 거는 것처럼 갑자기 앞에 모습을 나타낸다. (253)


 

요시키도 노부키도, 아무도 자신을 구할 수 없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또한 자신은 경계를 넘은 건지도 몰랐다. 절망이 또 하나의 세계를 바란 것이다. 마사코는 방금까지 몰랐던 야요이를 도운 자신의 동기를 처음 이해했다. 그러나 경계를 넘은 세계에서 뭐가 자신을 기다리고 있는 걸까. 기다리는 건 아무것도 없다. 마사코는 아직까지 하얗게 질려서 소파를 잡고 있는 손끝을 쳐다봤다. 경찰이 와서 잡히든, 야요이를 도운 자신의 진짜 동기를 이해하든, 마사코의 마음에는 이제 아무것도 느껴지지 않는다. 등 뒤에서 문이 닫히는 소리가 몇번이나 들린다. 마사코는 고독의 한복판에 있었다. (368)


 

의외로 여자와 토막살인 사건은 상성이 좋다. 이마이는 과거의 토막살인 사건에 관한 자료를 숙독하고 있었다. 여자가 관련된 토막살인 사건에 공통된 것은 임기응변적이라는 것과 여자들 사이의 연대감이었다. (37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제는 고도 altitude가 아니라 태도 attitude 라고 말한 앨버트 머메리. 그의 이름에서 유래하는 머메리즘이란 등정주의를 가리키는 알피니즘이 아니라 보다 어렵고 다양한 루트로 오르는 것을 중시하는 등로주의를 뜻한다. 그는 산행의 본질은 정상을 오르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고난과 싸우고 그것을 극복하는 데 있다고 했다. 고도가 아니라 태도. 그렇다면 뒷산을 오르면서 고산 원정급 장비를 장착한 이들은 어쩌면 등산의 태도를 즐기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9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의 가장 재밌는 점은 그 작품 세계에 들어간다는 것, 그게 전부라고 나는 생각한다. 한 번 책의 세계에 빠져들어가는 흥분을 느끼고 만 인간은 평생 책을 읽게 된다. 그리고 나는 그 가장 원시적인 기쁨을 어린이집 시절 이미 알았다. (14)


 

어른이 되지 않으면 가와바타 야스나리를 읽을 수 없다. (26)


 

우리들은 늘 까닭을 알 수 없는 것에 공포를 느낀다. 공포에서 벗어나기 위해 이름을 붙인다. 이름을 붙여 분류하면 안심할 수 있다. (37)


 

올챙이에 대한 시를 쓰려고 할 때 실물인 올챙이를 보면 시 따윈 쓸 수 없게 돼 버립니다.” 언어 이전의 세계에 언어를 적용해 이해하려고 하면 그 순간 세계는 얄팍한, 매끈매끈한 벽처럼 되어 버리는 것이다. (39)


 

한 작품을 다 읽고 강의실이나 내 방에 돌아오면 현실은 아주 조금 모습을 바꾸고 있다. (41)


 

무라카미 씨가 번역한 <캐쳐 인 더 라이>를 읽고 있는 중에 나는 문득 무언가 매우 깊은 구멍을 들여다보는 듯한 공포를 느꼈는데, 그건 아마 홀든이 계속 살아있음을 깨달았기 때문일 것이다. 아름다운 것들로 가득 차 있지만은 않은 이 세상에서. (69)


 

나에게 좋은 단편소설이란 실제 페이지 수의 몇 배로 세계가 부풀어 오르는 소설이다. 한창 읽고 있는 동안 팽팽하게 부풀어 오르는 소설도 있고, 다 읽자마자 왈칵하고 세계가 넓게 퍼지는 소설도 있다. 라히리의 소설 <그저 좋은 사람>에 수록된 단편은 그 넓이를 맛보게 해준다. (247)


 

사랑이라는 것이 일상에 개입하면 풍경이 바뀐다. 잘 알고 있던 세계가 색도 감촉도 변하고 만다. 그것은 마냥 즐겁지만은 않아 슬픔과 괴로움, 깊은 어둠을 품고 있을 때도 있다. (275-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태조는 기왕의 고려 궁을 경복궁 담장 바깥에 방치했다. 그러다 보니 호랑이가 출몰하는 일도 생기곤 했다. 그뒤 1426년 제14대 왕 세종이 그 빈터에 서현정, 취로정, 관저정, 충순당과 같은 누각을 세우고서 상림원이라는 후원으로 조성했다. 고려의 궁궐을 놀이터로 바꾼 것이다. (71)



장지연이 살던 1921년 이전까지 삼청동은 도시의 계곡이었다. 일제가 조선을 강점한 뒤 도시를 훼손하면서부터 삼청도에 살림집이 들어앉기 시작했고 1929년에는 이곳 삼청동 계곡을 공원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 시작했다. 이에 경성부가 임야 약 165천 제곱미터 (오만평)에 순환도로, 산책도로와 정자, 의자와 목욕장을 시설해 19343월에 공원으로 개장했다. 그 이후로 해방 뒤에도, 지금까지도 그 모습 그대로다. (97)



열고 닫히는 것이 이렇게 번복되는 운명을 타고난 것일까. 물론 닫혀 있다고 늘 닫히기만 했던 것도 아니다. 폐쇄되었던 동안에도 창의문 옆으로 길은 나 있었고 또한 19868월 자하문터널이 뚫리고 보니 창의문은 그나마 문이라는 의미마저 찾을 일조차 사라지고 말았다. (123)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신종은 요즘말로 하면 그의 구세주였다. 고려시대 이후 조선은 생존을 위해 제후국을 자처하며 황제국 명나라를 모셔야했다. 이로써 두 나라는 이른바 형제 관계를 맺고 있었다. 형님 신종이 일본 침략으로 위기를 맞은 아우 선조를 위해 구원병을 파견했으니 구세주가 아니고 뭐라 할까. 구세주에게는 그에 걸맞는 예우가 뒤따라야 했다. 당시 조선의 전시작전권은 명나라 군대 총사령관 이여송이 통째로 장악했다. 1593년 살아 있는 이여송을 기리는 사당인 생사당이 들어섰고 1602년에는 동대문 밖 숭인동에 전쟁의 신으로 떠받들던 관우를 모시는 동묘도 세웠다. 이런 일은 낯설리가 않다. 한국전쟁 이후 1957년 맥아더 장군 동상이 들어선 이래 1959년 콜터 장군 동상, 1960년 밴프리트 장군 동상을 세운 것과 똑 같은 풍경이다. (190)



안중식이 궁궐을 그리던 1915년의 경복궁은 폐허였다. 조선을 강점한 일본 제국이 그 많던 건물을 숱하게 파괴하고 근정전과 경회루를 비롯해 기껏해야 십여 채만을 남겨두고 있던 때였다. 그럼에도 안중식의 <백악춘효도>를 보면 화폭 하단 양쪽에 해태부터 위로 광화문이 아름답고 담장 너머 무성한 나무가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근정전을 비롯해 온갖 전각 지붕들은 생생한 자태를 뽐내고 있으며 그 뒤로 나무와 구름이 숲을 이루어 궁궐의 기운이 충만하기 그지없다. 더욱이 백악산이 조선의 진산으로 위용을 드러낸 채 뾰족한 봉우리가 하늘을 찌를 듯 치솟고 있는데 상단의 하늘 또한 넓게 면적을 주어 끝이 없다. 그러니까 이 작품은 1915년 당시의 실제 풍경을 그린 게 아니라 일제가 파괴하기 이전 대한제국 시절의 아름다움을 추억한 상상화다. (205)



겸재 정선은 실제로 1713년 무렵 관직에 나가 마흔한 살이던 1716년 음직(특별채용)으로 종6품 관상감 천문학 겸 교수로 임명되었고 그뒤 조지서, 사헌부를 거쳐 하양현감을 역임한 뒤 1729년 의금부 종5품의 도사로 발령이 났다. 의금부 도사는 관리의 감찰과 규탄을 수행하느 직책이었으니 오늘날로 말하면 검찰관이었다. 돌아가며 매일 당직을 하는데 당직하는 동안 죄수를 가두고 체포하는 일을 수행하였다. 정선 역시 당직하는 날 사건이 생기면 죄인을 체포, 구금하는 일을 했을 것이다. 쉰넷의 저명한 화가 정선이 당직도사 임무를 수행할 때면 호령을 하며 위엄 있는 모습을 갖추었을 텐데 그 장면이 궁금하다. (222-4)



명나라 황제를 제사 지내는 꿈을 꾼 인물은 우암 송시열이었다. 송시열이 세상을 떠난 뒤 17041월 그 제자들이 충청도 속리산 화양동 계곡에 제단을 설치한 뒤 명나라의 마지막 두 황제 신위를 봉안하고 제사를 지냄으로써 스승의 뜻을 받들기 시작한 것이 그 기원이다. 민간에서의 움직임을 지켜보던 숙종은 그해 12월 궁궐에 황단을 설치하고 제사를 지냈다. 망해서 사라진 명나라 황제의 제사를 조선이 지낸 것이다. 민간의 일이었을 적에는 소박했으나 국가의 일이 되자 명분과 실리가 교차하는 매우 중대한 현안으로 떠올랐다. 현존하는 중원 대륙의 주인 청나라는 명나라를 멸망시킨 나라였으므로 심각한 사안일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였을까. 창덕궁에서도 가장 깊이 숨어 일부러 찾아가지 않으면 발견할 수 없는 곳에 감춰놓았다. 두려움이 장소를 은밀하게 했다. (2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