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뒷세이아 - 그리스어 원전 번역 원전으로 읽는 순수고전세계
호메로스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리아스>와 더불어 호메로스의 2대 서사시.

어릴 적에는 '트로이 전쟁'과 연관된 영웅들의 이야기인 <일리아스>가 더 재밌게 읽혔으나, 성인이 된 지금은 <오뒷세이아>가 더 친근하게 다가온다. 어릴 적에는 아킬레우스, 헥토르 등의 '영웅의 무용담'에 대한 동경이 있었다면, 성인이 된 지금은 '人生'과 그에 대처하는 한 인간 '오뒷세우스'의 모습이 더 현실적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리라.

10년간 '트로이 전쟁' 후 귀향까지 다시 10년이 걸린 오뒷세우스의 귀향은 말 그대로 인생의 고난을 의미한다. 그 속에서 절망하면서, 부딪히고, 다시 희망을 가지며 나가는 오뒷세우스를 통해 밖에서 거친 사회와 부딪히며, 지친 모습으로 가족이 기다리는 집으로 돌아오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21세기의 우리 모습을 바라보게 된다.

비록, 구혼자들을 처단하는 호쾌한 결말이 기다리지는 않더라도, 돌아갈 수 있는, 함께 할 수 있는 사람들이 있는 것만으로도 이 세상은 살아갈 만한 것이 아닐까.

"그러나 만약 그대가 고향 땅에 닿기 전에 얼마나 많은 고난을 겪어야 할 운명인지 마음속으로 안다면 날마다 그리는 그대의 아내를 보고 싶은 열망에도 불구하고 이곳에, 바로 이곳에 나와 함께 머물며 이 집을 지키고 불사의 몸이 되고 싶어질 거에요.(제5권 210)"

"지금 나는 불행과 고통에 붙잡혀 있소. 인간들의 전쟁과 고통스러운 너울을 헤치고 오느라 많은 것을 견뎌냈기 때문이오.(제8권 180)"

"우리는 비통한 마음으로, 그러나 비록 사랑하는 전우들을 잃었어도 죽음에서 벗어난 것을 기뻐하며 항해를 계속했소.(제9권 565)"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ora 2017-01-04 11: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십대는 몸으로, 사십대는 머리로 산다.˝김영하「보다」068p 가 맞는 건가요?^^ 짐 읽는 중..

겨울호랑이 2017-01-04 11:54   좋아요 1 | URL
^^: 전 40대임에도 아직 머리를 많이 사용한 편은 아니라서요 ㅋ 아마 김영하 작가의 자전적 독백이라 생각됩니다.^^: Theodora님 즐거운 독서 되세요

:Dora 2017-01-04 12: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어릴적에는~때문이리라 쓰신 게 맞는 것같아 적어보었어요 ㅎ 즐건 수욜 되셔용^^

겨울호랑이 2017-01-04 12:15   좋아요 0 | URL
^^: Theodora님 말씀을 듣고 보니 그렇게도 연결되네요. 좋은 구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Theodora님도 행복한 수요일 오루 되세요^^:
 

플라톤의 작품은 철학적인 면과 문학적인 면이 둘 다 뛰어난 작품이다. 그런 면에서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은 철학적 측면에서 자세하게 설명되었고, 천병희 역저는 쉽게 읽히는 장점이 있다고 한다.

나처럼 기초가 약한 사람은 천병희 역저를 통해 내용 파악 후 전집으로 접근하는 방법도 좋은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키비아데스 1,2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 3
플라톤 지음, 김주일 외 옮김 / 이제이북스 / 201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알키비아데스1>에서는 인간의 본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며, <알키비아데스2>에서는 인간이 신에게 어떤 기도를 바치는 가에 대해 논의된다. 개인적으로 <알키비아데스1>이 더 흥미있게 다가왔다.

<알키비아데스1>에서는 '소크라테스'가 '알키비아데스'에게 인간의 본질은 '혼'이며, 이렇게 혼을 돌보는 행위는 '지식에 대한 앎'이라는 것을 일깨워 주는 내용으로 대화가 전개된다. 작품을 읽다보면, 다른 플라톤의 작품과 연계고리를 가지는데, 예를 들면 <국가> 와 연관있는 으로, 페르시아 왕자를 교육 시키는 4명의 현인은 '가장 지혜로운 사람, 가장 정의로운 사람, 가장 절제있는 사람, 가장 용기있는 사람(121e)'이라는 언급으로 이상의 덕목은 바로, 이상적인 '국가' 구성원이 지향해야할 4덕목이다. ,

본문의 내용으로 이해하자면, '지혜', '용기', '절제', '정의'는 각각의 덕목이면서, 동시에 통치자가 갖춰야할 기본 덕목으로 파악된다. 그렇게 볼 때, 이 작품은 '용기'를 주제로 한 <라케스>와 '절제'를 주제로 한 <카르미데스>와 연계시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덕의 단일성'을 언급한 <프로타고라스>와도 주제를 연관시켜 볼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4덕목은 통치자는 지혜, 수호자는 용기, 생산자는 절제만 수양하는 것이 아닌, 제왕학(帝王學)의 기본 덕목으로 논의 된다는 측면에서 마치, 동양의 <大學>에서 '平天下'를 하고자 하는 사람은 '治國, 齊家, 治國' 을 기본으로 해야 하고, 내면적으로 '正心', '誠意', '致知' '格物'을 통해 자신을 다스려야 한다는 내용과 통하는 면이 있는 것 같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좀 더 작품을 깊이 생각하면서 개인적으로 내용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철학적인 측면이외에도 <알키비아데스1>은 시리즈 물의 도입부문과 같은 면도 가지고 있다. <향연>에서'소크라테스'를 사랑하는 것으로 서술된 '알키비아데스'가 이 작품에서는 소크라테스에 대해 거의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와 있고, 이 대화를 통해 소크라테스에게 감복하며, 빠져드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어, 이 작품을 통해 두 사람의 '첫만남', 그리고 스스로 연애에 일가견이 있는 것으로 자부하던 '소크라테스'의 작업 기술(?)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문학적으로도 재미를 준다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전으로 읽는 변신이야기 원전으로 읽는 순수고전세계
오비디우스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가 노래한 로마 신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신들과 이름이 다르기에 다소 생서하면서도, 그리스신화와 중복되는 내용도 많아 익숙하게 다가온다.

「변신이야기」는 말 그대로 신화의 변신이야기를 중심으로 서술된 작품이다. 신들은 자신의 의지에 따라 능동적으로 변신하지만, 인간은 수동적으로 `신의 뜻`에 따라 변신당하거나, 자신의 행위(교만, 불의, 신에 대한 불공경 등)에 대한 결과로 받아들이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변신` 은 `인간 운명`의 다른 말인 것 같다. 인과율과 그로써 설명될 수 없는 어떤 것. 이 작품을 읽으면서 전반적으로 들었던 생각이다. 시간을 두고 다시 읽으면 다른 것이 또 보일 것이라 기대해 본다.

작품 중에서 ˝퓌라무스와 티스베˝ 이야기를 읽으면, 세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두 연인 죽음 장면이 연상된다. 또, 페르세우스의 ˝케페우스 왕궁의 결투˝는 호메로스의「오뒷세이아」의 장면을 연상된다. 작품 속의 고전을 발견하는 것도 책을 읽는 즐거움 중의 하나인 듯하다.

또한, 작품 전체가 끊임없이 이어져 있고, 그속에서 `관련없는 듯 관련있는` 신화 이야기가 펼쳐지는데, 나만의 생각일지도 모르지만, 다른 사람의 입을 통해 이야기를 구성하는 방식이 후대 ˝ 아라비안 나이트˝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스턱 Unstuck - 비즈니스 곤경탈출 매뉴얼
키이스 야마시타 외 지음, 윤종기 옮김 / 지식의날개(방송대출판문화원) / 2005년 8월
평점 :
품절


회사에서 어려움에 빠졌을 때 해결 방법을 조언한 책.

내용이 원론적이고 단편적이어서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다만, 페이지를 순서대로 읽는 것이 아닌 사례별로 찾아갈 수 있도록 만든 구성은 재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