百殘新羅舊是屬民由來朝貢而倭以辛卯年來渡□破百殘□□新羅以爲臣民

 

 광개토대왕비(碑)와 관련해서 가장 논란이 많은 32자.


 이에 대해 19세기 말 일본학자들은 "백제와 신라는 이전부터 고구려의 속신으로서 조공을 계속해왔다. 그러나 왜가 신묘년에 바다를 건너 조선반도에 침입하여 백제를 쳐부수고 또한 신라를 토벌하여 그 두 나라를 신민으로 삼았다"고 해석하며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삼는다. 여기에 대해 위당 정인보(爲堂 鄭寅普, 1893 ~ 1950)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


여기에서 한 가지 분명히 해 두고 싶은 것은 위에서 1) '래(來)'는 '오다'라는 뜻의 동사가 아니라 '~ 이래'처럼 특정 시점으로부터 현재까지로 시간을 제한하는 허사(虛辭) 성분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실질적인 동사는 '도(渡)'라는 점, 그리고 2) 뒤의 '以爲臣民'은 '以(此)臣民'에서 대상을 나타내는 목적어 '此'가 생략된 형태인데 3)이 문장의 대주어가 고구려 광개토대왕이므로 그 토벌의 대상인 왜나 백제는 상식적으로 '以爲臣民'의 주체가 될 수 없다는 점이다. _ 정인보, <조선사 연구 下> , p896


 이러한 설명을 바탕으로 위당은 해당 문구를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백잔(백제)과 신라는 이전에는 고구려의 속민으로서 줄곧 조공을 해왔다. 그런데 왜가 신묘년(391) 이래로 바다를 건너오기에 (대왕은) 백잔과 왜구를 쳐부수고 신라로 하여금 이들을 신민으로 삼게 하였다. _ 정인보, <조선사 연구 下> , p895


 아직까지도 광개토대왕비의 해당 문구와 관련해서는 논란이 많지만, 결국 문제는 숨겨진 주어의 문제인 듯하다. 우리 말의 특성상 주어는 명시적으로 표현되기보다 암묵적으로 문장 내에서 해석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19세기 말 서구 문물을 받아들인 일본의 실증사학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자의적으로 해석한 것이 논란 아닌 논란이 되버린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의 연장선상에서 국민의 힘과 윤석열 대통령의 저열한 '주어 없음'의 해명을 바라보게 된다. 명확하지 않은 표현으로 빠져나갈 구멍을 마련해놓고 자신의 본의가 아니라는 식의 해명 속에서 일제 식민주의자들의 역사 왜곡을 발견한다면 지나친 비약일까. 그들이 벌이고 있는 현대사의 왜곡을 생각한다면 꼭 그렇지만도 않을 것이다...


 [관련기사] 또 '주어 없음'으로 빠져나가려다... '나경원 시즌 2' 실패  https://www.mindl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820

 


댓글(5)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와같다면 2023-04-26 23:3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나경원 당시 새누리당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BBK를 설립하였다고만 언급되어 있지 ‘내가‘ 설립하였다고 되어 있지 않다. 이것을 ‘내가 설립했다‘라고 광고하는 것은 명백히 허위˝라고 주장했다. 정당 논평사의 ‘레전드‘가 탄생한 순간이었다. 우리말은 영어와 달리 주어를 일일이 넣지 않고 생략하는 경우가 매우 흔한 데다, 이 경우는 맥락상 주어가 이명박 본인이라는 게 너무나도 분명하다는 점을 판사까지 지낸 공당의 대변인이 몰랐을 리 만무했다.

이런 철면피한 대응을 본받아 새누리당의 후신인 국민의힘에서도 검사 출신 대변인이 똑같은 수법을 써보려 했지만, 이번엔 주어가 확실히 들어간 녹취록 원본이 공개되면서 수포로 돌아갔다

나와같다면 2023-04-26 23:3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기사를 듣고 제일 먼저 떠오는게 2007년 나경원의 ˝주어 없다‘ 였습니다
그 사건이 정신적으로 타격이 되었나봐요.
이렇게 오랜 시간이 지나도 벼락처럼 떠오른걸 보니..

겨울호랑이 2023-04-27 06:58   좋아요 1 | URL
말장난도 아니고 일반적으로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 어법에 대해 영문법의 기준을 적용시켜 위기를 모면하는 저들의 행태가 이제 지긋지긋하네요. 법 없이도 도덕,윤리적인 기준으로 잘 돌아가는 사회에 법의 기준을 들이대면서 비상식적으로 망쳐가는 저들의 끝은 결코 좋지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渼沙_常水 2023-04-27 08:4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역사적 사실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펑가함을써 민족적 자긍심을 가질 수 있는 좋은 주제입니다. 물론 자긍심만을 추구하려는 일본의 역사왜곡이 문제이지만요. 그러기에 누구라도 수용 할 수 있는 개관적인 근거와 논리가 필요합니다. 요즘뿐 아니라 어느시대에도 정치꾼들의 말은 명분도 대의도 없이 그저 利만을 추구하는 이전투구인지라 뉴스도 안봅니다. 何必曰利하는 그런 사람들 이야기 말고 책속의 좋은 이야기만 하였으면 합니다. 좋은책 소개 항상 감사 합니다

겨울호랑이 2023-04-27 09:09   좋아요 1 | URL
감사합니다. 전체적인 흐름과 사실을 바탕으로 역사를 바라보고 이로부터 역사적 교훈을 끌어내어 오늘의 우리가 살아가야 할 지표로 삼는 것이 역사를 공부하는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자신이 생각하는 가치, 신념을 위해 역사를 왜곡, 해석하는 것을 보면 안타깝습니다. 진실에 바탕을 둔 신념과 신념을 위해 짜집기 한 사실. 점차 엇나가는 두 길 사이에서 혼란과 갈등이 생겨나는 것 같네요... 渼沙_常水님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우리 시대가 중세와 진정으로 공유하는 것은 결국 탐욕스러운 백과사전적 다원주의다.  - P147

무엇보다도 다양한 반복의 유형이 예술적인 전개 방식의 일정한 특징을 만들어 낸다는 원칙을 받아들인다면, 바로 그러한 유형에서 출발하여 가치 기준을 정할 수 있을 것이다. 반복의 미학은 반복하는 텍스트의 전개 방식에서 보이는 기호학을 전제한다.  - P223

백과사전으로 들어서는 순간 이론적으로 중요한 두 가지 구별을 하게 된다. 우선 자연 언어와 모델 언어 사이의 구별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므로 의미론의 이론적인 메타언어와 대상 언어 사이의 구별을 만나게 되는 것이다.  - P55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술과 광고 움베르토 에코 마니아 컬렉션 13
움베르토 에코 지음, 김효정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기호란 무엇인가. 움베르트 에코(Umberto Eco, 1932 ~ 2016)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다른 무엇을 대신하기 위해 제기되는 또 다른 관계와 조건들. 대상과 기호 사이의 관계가 기호의 개념이라면, 대상과 기호의 관계 속에서 이들을 연결시켜주는 의미는 관계 속 어디에 있는 것일까.

나는 기호가 다른 무엇을 대신하여 무엇인가를 제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간의 책략이란 사실을 이용할 것이다. 이 책략은 다양한 기능으로, 이를테면 세상의 사물과 상태를 지시하기 위해, 질서를 세우기 위해, 희망을 표현하기 위해, 열정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다른 기호에 대해 말하기 위해 그리고 때로는 미학적 혹은 예술적, 시적인 쾌락이라 다양하게 불리는 기쁨에 대한 일종의 혼합된 지식을 자극하기 위해 이용된다. _ 움베르트 에코, <예술과 광고> , p386

기호의 개념은 말이든 구름이든 단추든 그것들을 정의하기 위해 철학적으로 제기된다. 일반 기호학이 몰두하는 것은 자연의 속도, 인공의 속도, 기능적인 속도가 아니다. 그것이 몰두하는 것은 바로 매개관계이며, 조건들이다. 이 조건들을 토대로 한 해석 활동은 어떤 대상이라도 기호학적 실체로 인지할 수 있다. 기호를 설정하는 기호학 담론 이전에 기호는 존재하지 않는다. _ 움베르트 에코, <예술과 광고> , p486

에코는 본문에서 기호를 거울과 비교한다. 원본(대상)을 넘어서지 못하는 가상성과 축소의 세계가 기호의 세계라면, 기호의 세계는 허상의 세계다. 그렇지만, 동시에 기호의 세계는 허상의 세계이기 때문에 시공간의 제약을 뛰어넘어 진실의 파편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런 면에서 기호는 다른 의미에서 대상과 다르지만, 비슷한 조금은 다른 독자적인 생명을 가진 것처럼 생각된다.

거울은 원본보다 더 진실한 이미지를 만들어 내지 않는다. 기호 작용은 광학 반사를 보급시키고, 양식과 체계, 개념과 순수한 내용으로 축소할 수 있을 뿐이다. 두 개의 영역에는 첫 번째 영역은 두 번째 영역에서 문턱이 된다. 통과 지점이 없으면, 변형된 거울의 제한된 경우는 이쪽에 있어야 할지 혹은 저쪽에 있어야 할지 결정해야 할 순간에 파멸의 지점이 된다. 반사의 세계는 가상성에 대한 인상을 줄 수 있는 현실이다. 기호 작용의 세계는 현실에 대한 인상을 줄 수 있는 가상성인 것이다. _ 움베르트 에코, <예술과 광고> , p55

거짓말을 할 수 있는 수단이 되는 언어와 글쓰기는 우리에게 남아 있는 진리의 유일한 보증인이며, 기호들은 서로를 해석한다... 허깨비 유령 같은 기호 덕분에 우리는 피와 살을 가진 파라오가 실제로 존재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기호는 눈의 모험과 오늘날 부서지기 쉬운 미라를 만지는 손의 모험을 굳건하게 결합시키고 있다. 그렇지 않았다면 이름은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_ 움베르트 에코, <예술과 광고> , p115

그리고, 이러한 기호들이 문장과 문단, 단원 등으로 영역을 확장해가면서 각기 공명(共鳴)작용을 일으키고 그 과정에서 기호들은 또 다시 새롭게 관계를 맺어가는 것은 아닐까. 움베르트 에코의 <예술과 광고>안의 짧은 여러 텍스트 중에서 기호학과 관련한 내용만을 추려본다. 에세이라고 하기에는 전문적이고, 학술서라고 하기에는 여러 주제가 한데 모여 있는 본문 속에서 에코와 함께 기호학에 대해 잠시 생각하는 시간을 가져본다...

퍼스로 돌아가면, 기호(혹은 표상 representamen)와 즉자적 대상 사이에 존재하는 상관 관계의 모델은 해석소가 단지 동의어일 경우에만 순수한 등가성으로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그것은 정의들이 연결된 연쇄 고리인데, 이때 각각의 정의는 또 다른 정의를 수정하고 확대한다. 기호는 늘 더 많은 무엇인가를, 다양한 환경과 맥락에서 다른 무엇인 것이다. 하나의 용어는 하나의 명제도 들어 있지 않은 비어 있는 형식이며, 퍼스가 말하는 의미론은 그의 상관 관계의 논리학의 지배를 받고 있다. _ 움베르트 에코, <예술과 광고> , p498

특수한 기호학들은 인문학의 고유한 특징을 늘 지니고 있다. 특수한 기호학은 상호 해석 체계를 기술하는데, 이 체계가 바로 기호의 다양한 체계인 것이다. 그러나 일반 기호학은 철학적인 제스처를 통해 기호의 일반적인 개념 자체를 '제기한다'. 왜냐하면 표면적으로 볼 때 왜곡된 현상에 대해 표준화된 방식으로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_ 움베르트 에코, <예술과 광고> , p520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amoo 2023-04-26 19:4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전 열린책들 에코 전집을 3권 빠지게 갖고 있고, 여타 출판사에서 출간된 책이란 책은 모조리 갖고 있습니다만...읽은 책이라곤 엔날 새물결 출판사에서 움베르토에코 라이브러리로 출간된 5권과 예전에 열린책들 및 타 출판사에에서 중구난방으로 출간된 에세이집 10권 그리고 장미의이름-전날의 섬-푸코의진자 소설이 전부입니다. 물론 열린책들 에코 라이브러리가 열린책들에서 이전에 출간했던 에세이류를 모아 전집을 냈지만 일부 책들은 전집에 새로이 부가된 것들인데 전혀 읽지 못하고 있습니다. 열린책들 에코 라이브러리는 엔날 새물결에서 나온 시리즈를 포함하지 못한 듯합니다. 어쨌거나 에코를 전에 어느 정도 읽었다고 자부했는데 리뷰도 쓴 게 없고 지금은 예전에 읽은 것들이 하나도 생각이 나지 않아 다시 읽어야 하는데, 이 전집을 언제 읽을지..ㅎㅎ 프로이트 전집도 못읽고 있는데요..ㅎㅎ 에휴~~
호랑이 님...정말 읽는 편수와 리뷰...대단하십니다! 책만 읽으시나욤??ㅎㅎ 전 드라마 보고 그림 그리고...전시회 좀 보고...책 읽을 시간이 별로 없어요...ㅎㅎㅎ

겨울호랑이 2023-04-26 21:25   좋아요 0 | URL
에고 아닙니다. yamoo님께서 예전에 이미 많은 독서를 하시고 이제는 영역을 넓혀서 미술을 지금 하시니 책 읽는 시간이 당연히 부족하신 것이고, 저는 아직 독서가 많이 부족해서 아직 읽고만 있습니다... ㅜㅜ 어느 정도 책을 읽으면 일정 수준에 오를 줄 알았는데, 책을 읽다보니 그보다는 미진한 부분이 더 많이 느껴지고 그래서 더 읽게 되네요... 책 읽는 것도 좋지만, 책만이 사람의 내면을 채우는 방편은 아니기에 yamoo님처럼 다양한 활동을 하고 싶으면서도 차일피일 미루게 됩니다. 언젠가 기회가 되면 저도 음악, 미술 등을 즐길 수 있는 날이 오겠지요. yamoo님 감사합니다. 편한 밤 되세요!
 

히포크라테스가 남긴 문헌 중 하나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씌어져 있다. "사람들은 간질을 신이 내린 벌로 생각한다.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단 하나, 사람들이 간질의 원인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는 데 있다. 그러나 만일 사람들이 자신들이 이해할 수 없는 모든 것을 신적인 것이라고 부른다면, 어이구, 신적인 것은 끝이 없을 것이다."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이렇게 멋진 인도주의적 변화의 원인은 무엇일까? 질병의 세균 이론, 공중 보건 대책, 의약 및 의학 기술 발전 등이 그 원인이다. 장수(長壽)는 아마 물리적 삶의 질을 평가하는 가장 좋은 단일 척도일 것이다. (만약 당신이 죽는다면, 당신은 행복해지기 위해서 할 수 있는 것이 하나도 없다.) 이것은 과학이 인류에게 선사한 가장 고귀한 선물이다. 그것은 생명이라는 선물과 다를 바 없다.

과학은 양날의 칼과 같다. 과학의 무시무시한 힘은 정치인을 비롯한 우리 모두에게, 특히 과학자들에게 새로운 책임을 요구하고 있다. 기술 발전이 가져올 장기적인 결과에 좀 더 주의를 기울이고, 전 지구적 관점과 미래 세대의 관점을 가지고, 민족주의와 쇼비니즘에 휘둘리는 것을 피하라고 권하는 것 등이 바로 우리가 새롭게 짊어져야 할 책임이다. 사소한 실수가 아주 커다란 대가를 치러야 하는 시대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선택할 자유
밀턴 프리드먼 외 지음, 민병균 외 옮김 / 자유기업원 / 2022년 7월
32,000원 → 32,000원(0%할인) / 마일리지 960원(3% 적립)
*지금 주문하면 "5월 21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23년 04월 24일에 저장

대공황, 1929~1933년
밀턴 프리드먼.안나 제이콥슨 슈워츠 지음, 양동휴.나원준 옮김 / 미지북스 / 2010년 8월
20,000원 → 18,000원(10%할인) / 마일리지 1,00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23년 04월 24일에 저장

화폐경제학
밀턴 프리드먼 지음, 김병주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09년 11월
20,000원 → 18,000원(10%할인) / 마일리지 1,000원(5% 적립)
2023년 04월 24일에 저장
구판절판
자본주의와 자유
밀턴 프리드먼 지음, 심준보 외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7년 4월
20,000원 → 18,000원(10%할인) / 마일리지 1,00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23년 04월 24일에 저장



4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