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올의 중국일기 2 - 고구려 패러다임 도올의 중국일기 2
도올 김용옥 지음 / 통나무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올선생의 고구려 수도 답사기
첫째 수도였던 졸본지역과 국내성의 여러 유적 사진을 가을경치와 더불어 감상할 수 있다. 박물관에 전시되어있지 않기에, 자연과 함께있는 풍경이 아름답다.

그리고, 가슴이 설레이는 무언가를 느끼게 되지만 안타깝게도 그것이 무엇인지를 모르겠다.

책을 읽으면서 `고구려는 우리에게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져본다. 대륙의 기상, 고구려 무인 등 강인함으로 대표되는 고구려.

그 고구려의 후손을 자처하는 우리는 고구려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는지...... 고구려가 멸망하지 않았다면 만주땅이 우리땅이라는 부동산 투자 수준의 인식은 아닌지 돌아보게 된다.

저자가 책을 통해 독자에게 말하고 싶어하는 것은 고구려가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지 다시 생각해보자는 것은 아닐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깨비를 빨아 버린 우리 엄마 도깨비를 빨아 버린 우리 엄마
사토 와키코 글.그림, 이영준 옮김 / 한림출판사 / 199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아이 외가집에는 도깨비가 살고 있는 (?)장이 하나있다. 사실,정확하게 말하면 도깨비가 사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그렇게 믿고 있는 곳이다. 장이 놓여진 곳이 음침해서 그렇게 이름붙이고 가기 싫어한다. 내가 어렸을 때처럼 도깨비는 아이에게 무서운 존재인 것 같다.

그런 도깨비를 엄마가 빨아버리는 이 책은 아이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무서운 도깨비가 빨래를 좋아하는 엄마를 찾아와 자신을 깨끗하게 빨아달라고 부탁하는 내용이 재밌었나보다.

그리고, 도깨비가 무서운 존재가 아니라 친근한 존재로 인식해서, 이제는 도깨비가 사는 곳도 조심해서 다녀올 정도로 성장했다.

무엇보다 엄마가 무서운 도깨비도 빨아버릴 정도로 힘센 사람이고, 이 사람이 자신을 세상에서 가장 사랑하는 사람이라는 것이 가장 마음에 들었는지 잠자기 전 계속 읽어달라고 한다.

일본 동화지만, 소재가 한국민화같은 느낌을 주는 어린이 동화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 프로그래밍 기초 & 활용 - 데이터 분석과 통계 프로그래밍을 위한
래리 페이스 지음, 박수현 옮김 / 길벗 / 2013년 2월
평점 :
절판


통계에 대한 기본개념과 R을 활용한 통계분석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되어 초보자에게 매우 유용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친구하자 내 친구는 그림책
쓰쓰이요리코 / 한림출판사 / 199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년전 이사를 했었습니다.
모든 것이 낯설텐데도, 4살 딸아이는 하루 사이에 유치원 친구를 사귀고 적응하네요.

1년이 지난 지금은 이사온 토박이처럼 모든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친구들 덕분이겠지요.

낯선 사람에게 선뜻 다가가기가 어려운 어른보다 아이들이 잘 적응하는 것은 `마니또`같은 친구 덕분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뤼시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 1
플라톤 지음, 강철웅 옮김 / 이제이북스 / 201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우정을 `훌륭함`과 `나쁨`의 사이에서 `수단`과 `목적`의 관계를 통해 살펴본 작품이다.

`훌륭함`과 `나쁨`이 어떤 점에서 친구가 될 수 있는지 없는지를 반대되는 사례를 통해살펴보다가, 일단 `훌륭하지도 나쁘지도 않은 것`이 `훌륭함`의 친구라는 결론에 이른다.

여기에 `수단`과 `목적`이 들어오면서 결국 훌륭함은 훌륭함과, 나쁨은 나쁨끼리 친구가 된다는 논의로 결론이 난다.

이해하기 많이 어려운 책이고, 좀 더 여러모로 생각할 부분이 많지만, 여기에서 말하는 `우정`이라는 부분은 결국 `지혜사랑`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관념화된 `지혜의 추구`를 `우정`의 이데아로 간주하고 논의가 펼쳐지기에 플라톤 사후 2000년이 지난 우리가 그의 작품을 이해하는데 어려운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