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고의 성장주 로봇 산업에 투자하라
양승윤 지음 / 메이트북스 / 2024년 4월
평점 :
가장 핵심이 되는 3가지 요소만 기억한다면 로봇에 대한 접근이 한층 더 쉬워질 것이다. 첫 번째는 로봇은 인간을 돕기 위한 존재라는 것, 두 번째는 자율적으로 작업 수행이 가능하다는 것, 세 번째는 용도가 제한이 없고 범용적으로 활용 가능하다는 것이다(p37)... 로봇이 우리의 삶에 정착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일까? 크게 3가지를 꼽을 수 있다. 첫째, 기술 수준이 인간의 기대 및 요구 수준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둘째, 비용 대비 효과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우리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기능과 서비스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_ 양승윤, <최고의 성장주 로봇 산업에 투자하라>, p43/336
<최고의 성장주 로봇 산업에 투자하라>는 장래 유망 산업 분야인 로봇 산업의 현황과 투자처를 소개하는 투자 입문서다. 초기 성장 산업에서 발생하는 치열한 경쟁 구도 속에서 시장을 선점한 일본, 낮은 원가를 바탕으로 점유율을 확대하는 중국 기업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기업들이 로봇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일은 쉽지 않아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일본 기업들은 늘어나는 감속기 수요에 대비해 중장기적으로 감속기 생산 능력을 키워나가고 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감속기 제조량은 단순히 공작 기계 등 설비 투자보다 최종 조립을 해줄 수 있는 인력 수에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_ 양승윤, <최고의 성장주 로봇 산업에 투자하라>, p210/33
6
향후 한국 경제를 이끌 유망 산업으로 로봇 산업은 적합하지 않을 지 모른다. 그렇지만, 보다 나은 성능을 가진 로봇의 개발을 위한 AI 프로그램과 관련 반도체, 지속적인 동력원 제공을 위한 배터리와 연계해서 생각해본다면 향후 빅테크 기업들이 자신들의 생태계 구축을 위해 포기할 수 없는 분야이기도 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들은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그리고 경쟁에 직면한 기업을 위해 국가는 어떤 지원을 할 것이며, 로봇에 의해 대체된 노동자들을 위한 어떤 대책을 내놓을 것인가. 그리고, 대체된 노동자들의 선택은 어떻게 되어야 할 것인가. 사회적으로는 로봇에 의해 수행되는 현장 작업은 안전과 효용면에서 분명 더 나은 선택이다. 이러한 선택이 개인에게도 좋은 결과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고민이 필요한 시점임을 생각하게 된다. 고령화 시대에 감소되는 인간 노동을 대신하기 위한 로봇의 생산이, 인력부족으로 인해 제한받는다는 현실은 미래 AI와 로봇에 의한 서비스와 재화 생산이 실질적 소비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디스토피아의 예고편이 아니길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