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 퍼시 스노우(Charles Percy Snow, 1905 ~ 1980) 남작은 <두 문화 The Two Cultures>를 통해 서구 문명을 이루는 두 문화의 오랜 갈등과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가 말하는 갈등의 원인은 무엇일까? 저자는 <두 문화>를 통해 '과학자'들과 '인문계 지식인'들 간의 불통(不通)을 서구 사회의 문제로 지적한다. 

 

 선진국인 우리 서구 사회는 공통의 문화라는 것을 요구하는 소리마저 잃고 말았다. 우리가 아는 최고의 교육을 받은 사람들은 이미 그들의 주된 지적 관심의 분야에서는 상호간에 의사 소통을 할 수 없게 되었다... 나는 이러한 의사 소통이 결여된 가장 두드러진 예를 내가 이름붙인 이른바 [두 문화]라는 것을 대표하는 그룹의 사람들이라는 모양으로 표시했던 것이다. 그 한쪽은 과학자들로서 그들의 중요성, 업적, 영향은 새삼스럽게 강조할 필요도 없었다. 또 한쪽은 문학적 지식인을 말한다.(p75)  <두 문화> 中


  전문화(專門化)와 분화(分化)가 점점 가속화되고 있는 근대 이후의 사회에서 과학자들과 인문계 지식인들은 각자의 분야에서 자신들만의 언어로 말해왔고, 그 결과 공통의 문화를 잃어버리게 되었다는 것이 스노우의 지적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답은 무엇일까? 저자는 교육(敎育 education)을 통한 제3의 문화의 창출을 통해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고 결론을 내린다.

 

 이 두 그룹, 즉 과학자와 인문계 지식인들 사이에는 거의 커뮤니케이션이 없고, 상호 이해보다는 일종의 적의 같은 것을 품고 있다.(p75)... 우리들의 시대, 또 우리들이 예측할 수 있는 시대에 있어서의 여러 조건 밑에서는 르네상스 시대의 인간을 찾는다 해도 불가능할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는 무엇인가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에게 열려진 중요한 수단은 교육이다.(p76) <두 문화> 中


 제3의 문화가 이미 존재하고 있는 듯이 말한다는 것은 시기상조일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다가오고 있다는 것을 나는 확신하고 있다. 그것이 나타나게 될 때, 커뮤니케이션에 따르는 몇 가지 어려운 문제들이 결국은 해결될 것이다. 왜냐하면 그러한 문화는 그 본래의 사명을 다하기 위해서도 과학적 문화와 대화를 나누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p86) <두 문화> 中


 그렇지만, 이러한 '과학 - 인문학'의 이분법적인 접근은 하인리히 리케르트(Heinrich Rickert, 1863 ~ 1936) 입장에서 바라본다면 부족함이 있다. 그는 <문화과학과 자연과학 Kulturwissenschaft und Naturwissenschaft> 속에서 과학을 문화과학과 자연과학으로 구분하면서 이들의 차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는데, 먼저 자연과학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는 두 종류의 경험과학적 작업을 개념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에는 자연과학이 있다. '자연'이라는 말은 대상의 측면뿐만 아니라 방법의 측면에서도 자연과학의 특생을 잘 드러내는 말이다. 자연과학은 자신의 대상을 모든 가치 연관과 무관한 존재와 사건으로 보고 있고, 자연과학의 관심은 이러한 존재와 사건에 타당한 보편 개념과의 관계나, 더 나아가 가능하다면 보편 법칙을 인식하는 것을 향해 있다.(p174) <문화과학과 자연과학> 中


 리케르트에 따르면 자연과학은 현상으로부터 보편법칙을 이끌어내는 과학인 반면, 문화과학은 특수성과 개성을 발견한다는 면에서 차이가 있다. 다소 거칠게 리케르트의 문화과학을 사회과학으로 이해한다고 해도 큰 무리는 없을 듯 하다. 보편성과 특수성의 추구. 이것이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의 차이일 것이다.


 다른 한편에는 역사적 문화과학이 있다. 이 과학을 지칭하는 말과 관련해, '자연'이라는 표현에 상응하면서 동시에 대상의 측면이나 방법의 측면에서 이 과학의 특색을 드러낼 수 있는 말이 우리에게는 없다... 따라서 우리는 자연이라는 말의 두 가지 의미에 조응하는 두 가지 표현을 선택해야만 한다. 이 과학은 문화과학으로서 보편적인 문화 가치와 연관된 객체, 즉 의미 있는 것으로 이해되는 객체를 다루고, 역사적 과학으로서 이 객체의 일회적 발전을 특수성과 개성에서 서술한다.(p175) <문화과학과 자연과학> 中


  결국, 스노우가 서구 문명을 이루는 두 문화를 '과학'과 '인문학'으로 나누었다면, 리케르트는 '과학'을 '문화과학'과 '역사과학'으로 다시 나누고 있음을 우리는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렇게 끝없이 학문을 나누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는 것일까, 이러한 분화의 부작용은 없는 것인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한국 사회에서 학문의 분화는 고등학교 때부터 이루어지고 있다. '인문계열'와  '자연계열'로 나뉘면서 학생의 향후 진로가 크게 갈리게 된다. 그리고, 그 기준이 되는 것이 '수학'이다. 지금은 어떨지 모르지만, 과거에는 수학을 좋아하면 자연계열로, 좋아하지 않으면 인문계열로 진로를 잡았던 시절이 있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이러한 시절을 보냈던 경험을 가지고 있었기에, '과학 - 인문학'의 갈등을 '교육'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스노우의 주장을 한국 사회의 현실에서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오히려, 교육을 통해 갈등이 더욱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비록, 스노우의 해결 방안을 납득하기는 어렵지만, 그가 제시한 제3의 문화의 필요성에는 공감한다. 그리고, 그 노력은 우리 각자가 스스로를 위해 기울여야 하지 않을까. 이러한 교훈을 미야모토 무사시(宮本武藏, 1584 ? ~ 1645)의 <오륜서 五輪書>를 통해 찾을 수 있다.


 니텐이치류(二天一流)에서는 두 자루의 검, 즉 장검과 단검을 이용한 병법을 가르친다. 이때 장검과 단검은 각자 편할 대로 양손에 나눠들면 되는데, 장검과 단검을 동시에 사용하는 병법을 가르치는 까닭은 양손에 힘을 길러 검을 한 손으로도 능수능란하게 다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p15) <미야모토의 무사시의 오륜서> 中 - 병법 35개조 중 1조 - 


 일본의 전설적인 검술가인 미야모토 무사시는 두 개의 검을 사용한 검법(劍法)으로 이름을 떨쳤다. 긴 칼과 짧은 칼을 상황에 맞게 사용할 것을 강조한 그의 말을 통해서 우리는 '인문학'과 '자연과학'이라는 우리가 만든 한계상황을 이제는 깨나가야 하지 않을까. 사람에 따라 어떤 분야가 장검이 되느냐는 달라지겠지만, 우리의 삶을 위해서 우리는 양쪽 모두를 키우기 위해 끊임없이 정진하는 것은 우리 공부의 평생 과제가 될 것이라 생각하면서 이번 페이퍼를 마친다.


[그림] 미야모토 무사시 (출처 : 위키백과)


 장검(長劍)을 선호하는 유파가 있는가 하면, 단검(短劍)을 선호하는 유파도 있다. 이들 역시 진정한 병법자라고 보기는 어렵다. 예부터 검은 길이에 따라 장검과 단검으로 나누어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힘이 센 사람은 장검을 가볍게 다룰 수 있어 굳이 단검을 쓰려고 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유파에서 단검을 선호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이들은 단검의 길이가 짧다는 점을 이용해 상대방이 검을 휘두르는 틈을 비집고 들어가 재빨리 공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p134)... 무엇이든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은 좋지 않다. 그러므로 무사라면 장검이니 단검이니 한쪽에 편중하지 말고 올바른 병법과 바른 도리로 상대방을 제압할 수 있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p136) <미야모토의 무사시의 오륜서> 中  


PS. 물론 베르세르크처럼 큰 칼 하나를 아주 잘 써서 성공할 수도 있긴 하다. 드물겠지만...


[그림] 베르세르크 (출처 : http://blog.artlords.com/2018/03/22/the-art-of-berserk-kentaro-miura/)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18-08-05 23:1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미야모토 무사시도 켄신 혹은 오타니처럼
이도류였나 봅니다.

만화 <배가본드>로 보다말다 한 기억이
나네요.

균형 잡힌 학문에 대한 추구, 듣기만 해도
멋집니다. 저로서는 불가한 일이긴 하지만
말이죠.

겨울호랑이 2018-08-05 23:20   좋아요 0 | URL
네... 미야모토 무사시도 말씀하신 것처럼 이도류였습니다. 균형잡힌 공부는 누구에게나 쉽지 않은 길이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동시에 그만큼 보람이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2018-08-06 00: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8-06 09: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AgalmA 2018-08-11 16:2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 베르세르크! 끝이 나긴 했나요? 도서대여점이 사라진 이후 끝을 못 봤어요ㅋ

그리스 철학 전후만 해도 서양은 ‘자연철학자‘라고 불렀잖아요. 과학적 탐구부터 인문학까지 두루 공부했으니까요. 다빈치나 괴테(<색채론>: 야매라고 좀 혹평을 받긴 하지만ㅎ;)까지만 해도 인문-자연과학 공부를 확연히 나눠서 한 것도 아닌 거 같고요. 개인의 역량에 따라 차이가 날 뿐. 학문 분과가 시초였겠으나 기술 혁신이 사회 변화를 본격화한 산업혁명 즈음 이후부터 이 분리가 심화된 게 아닌가 싶어요? 동양도 지덕예체 하며 분야를 그리 나누지 않았던 거 같은데(기술, 무예를 아래로 본 문화부터는 문제) 근대 이후부터는 서양 문화 때문에 이리 된 거겠죠.
최근 통섭이니 하며 과학과 인문학적 사고의 조화와 결합을 논하는 건 일종의 회귀일까요ㅎ 많은 걸 겸비하는 게 좋긴 하겠으나 이젠 지식의 총량이 너무 방대하여... 한 300년 뒤에 태어났으면 좀 더 공부하기 편했을라나 싶네요ㅎㅎ 그러나 산소호흡기를 달고 살 거나 지구가 이미 없을 지도ㅋㅋ;;;

겨울호랑이 2018-08-11 15:37   좋아요 1 | URL
<베르세르크>는 아마 작가 자손 대대로 물려가며 완성할 계획인 듯 합니다. <유리가면>과 더불어 끝을 보기 힘든 작품 중 하나라 생각됩니다. 사회가 복잡해지고 알아야할 지식도 많아지면서 ‘전문화‘라는 이름하에 극히 일부만 알게 된 것이 현실인 것 같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반에 통하는 법칙이랄까 원리는 통하는 바가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면을 바라보는 안목이 우리 모두에게 필요하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요즘 돌아가는 추세라면 300년 후에는 AgalmA님 말씀처럼 원점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우리 모두가 새롭게 변화해야하겠지요...^^:)
 

판교현대백화점에 약속이 있어 온 가족이 나왔습니다. 더위에 피서를 백화점으로 많은 분들이 오신 듯 하네요.

식사 후 현대어린이책미술관으로 나왔습니다. 어린이들과 부모님들이 함께 읽을 수 있도록 잘 꾸며 놓았네요. 바깥으로는 도라에몽 전시회가 있어 예쁜 풍경이 보입니다.

「헤엄치는 집」을 읽고 도서관에서 「어린이 마하바라따」를 보니 집으로 가서 「마하바라따」를 시작하고 싶은 마음이 드네요.^^:) 더운 여름 일요일 입니다. 이웃분들 모두 건강하게 오후를 보내세요!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8-05 14:3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8-05 17: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8-05 20: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8-05 22: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레삭매냐 2018-08-05 23: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요즘, 도서관 출입
도 쉽지 않더군요.

아마 비용도 들지 않고 최고의 피서지로
입소문이 나서 일까 싶네요 :>

백화점의 순기능도 있군요.

겨울호랑이 2018-08-05 23:23   좋아요 0 | URL
백화점 문화센터 프로그램을 보니 아이들을 둔 가정에서 유용한 강좌도 제법 있더군요. 잘 활용한다면 의미있는 피서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라로 2018-08-06 01:5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한국에 있었을때 백화점에서 수영도 하고 문화센터에서 아이들이랑 저도 배우고 했는데 여긴 그렇게 한 공간에서 다 할 수 있는 곳이 없어요. 한국은 정말 천국이에요. 맘만 먹으면 백화점을 비롯한 주변에 좋은 프로그램이 너무 많은 듯요. 강좌도 많고...그립네요. ^^;

겨울호랑이 2018-08-06 09:20   좋아요 0 | URL
때로는 백화점이 너무 커서 쇼핑체력이 요구되는 부분도 있지만, 아이와 함께 하는 공간으로 백화점은 분명 의미있는 공간이라 생각됩니다. 라로님 말씀을 듣고 보니, 백화점의 의미를 다시 발견하게 됩니다. 물론 제게는 ‘너무도 먼 당신‘이지만요. 라로님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아트 2018-08-07 11:5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허걱 가족 모두 함께 현대어린이책미술관!! 넘 보기 좋습니다 😆😆

겨울호랑이 2018-08-07 11:59   좋아요 1 | URL
김유나리님 감사합니다. 아이 덕분에 저 역시 좋은 곳을 가봤습니다.^^:)
 

  <죽음의 수용소에서>로 널리 알려진 빅터 플랭클(Victor E. Frankl, 1905 ~ 1997)박사는  <삶의 의미를 찾아서 The Will to Meaning : Foundations ans Applications of Logotherapy>에서 자신의 이론인 로고테라피 Logotherapy에 대해 깊이 있게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의 주된 내용은 인간의 의지 意志 와 삶의 의미 意味, 그리고 이들의 관계라 생각된다.

 

 로고테라피의 인간에 대한 개념은 다음 세 개의 기둥에 기반을 두고 있다. 즉 자유 의지 freedom of will, 의미를 찾으려는 의지 will to meaning, 그리고 삶의 의미 meaning of life이다.(p34)... 인간의 의지는 유한한 존재로서의 의지이다. 인간의 자유는 어떤 조건을 피할 수 있는 자유가 아니라 그가 어떤 조건에 처해 있든 그것에 대해 자신의 태도를 결정할 수 있는 자유를 말한다.(p35) <삶의 의미를 찾아서> 中


 빅터 플랭클에 의하면 우리의 자유의지는 상황을 바꿀 정도의 힘을 갖지 못한 불완전한 것이다. 의지를 통해서는 주어진 상황에서 우리의 대응밖에 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리를 절망시킬 정도의 어려운 상황에 닥쳤을 때 의지만으로 이를 극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죽음의 수용소>에서는 인간의 의지를 가진 이들이 무너지는 과정이 잘 묘사되고 있다. 반면, 절망적인 상황을 이겨낸 저자에 따르면 이런 상황에서는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3의 원리란 의지의 자유와 함께 의미, 즉 삶의 의미를 찾으려는 의지를 말한다. 다른 말로 하자면 우리가 주장하는 것은 삶의 의미 - 인간이 찾으려고 노력해 왔던 바로 그 의미가 있다는 것과 인간에게는 이 의미를 성취하기 위한 여정을 시작할 자유가 있다는 것이다.(p111) <삶의 의미를 찾아서> 中


 그렇다면, '삶의 의미'를 발견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가? 저자는 우리가 한 단계 높은 차원에서 자신을 통합시킬 것을 주문한다. 세상을 정신과 물질로 구분지어 이원론(二元論, dualism)적으로 바라보지 않고, 종합적으로 바라봤을 때 우리는 새로운 차원에서 자신을 조망할 수 있게 된다. 변증법의 합(合)의 단계가 여기서도 요구되는 것이고, 이것이 인간과 다른 동물을 구분짓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인간을 생물적인 차원과 정신적인 차원에 투사를 하면 그 결과는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왜냐하면 하나는 그 결과가 생물적인 유기체 biological organism이고, 다른 하나는 심리적인 기제 psychological mechanism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간 존재의 신체적인 면과 정신적인 면이 아무리 서로 모순된다 하더라도 차원적 인간론의 견지에서 본다면 이 모순이 더 이상 인간의 통일성과 모순되는 것은 아니다.(p46) <삶의 의미를 찾아서> 中


 신체적, 정신적 현상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한다는 것은 그 수준을 초월해 새로운 차원의 문을 여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새로운 차원이란 순수 지성 noetic에 입각한 차원, 생물적인 차원이나 심리적 차원과는 구별되는 noological 차원을 의미하는 것이다. 인간에게만 유일하게 나타나는 현상이 자리 잡고 있는 곳이 바로 이 차원이다.(p37) <삶의 의미를 찾아서> 中


 이렇게 인간이 통합적으로 자신을 고양시키는 과정에서 우리는 여러 가지를 부산물로 얻게 된다. 우리가 말하는 행복, 자아 실현 등이 여기에 해당하는데, 빅터 플랭클에 따르면 이들은 우리 삶의 궁극적인 목표가 될 수 없다. 이 지점에서 우리는 쾌락을 추구한 에피쿠로스(Epicuros, BC 341 ~ BC 271)와 반대 위치에 서 있는 저자의 입장을 발견하게 된다.


 인간이 쾌락을 목표로 하면 할수록 더욱 그 목표로부터 빗나가게 된다. 다른 말로 하자면 '행복의 추구' 그 자체가 그것을 좌절시키는 것이다.... 순리적으로 쾌락은 인간이 추구하고자 하는 것의 목표가 아니라 하나의 결과로서 얻어지는 것이며, 또 그래야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목표의 달성을 통해 부수적으로 얻어지는 결과라는 것이다. 목표의 성취가 행복을 느낄 이유를 만들어낸다.(p58) <삶의 의미를 찾아서> 中


 자아 실현은 인간의 궁극적인 목표가 아니다. 제일 우선시 되는 의지도 아니다. 자아 실현 자체에 목표를 두게 되면 인간 존재의 자기 초월적인 특성과 모순을 이루게 된다. 행복과 마찬가지로 자아 실현도 하나의 결과, 즉 의미를 성취한 결과로서 나타나는 것이다.(p64)... 나는 자아 실현을 '삶의 의도성에 의해 얻어지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라고 말하고 싶다.(p65) <삶의 의미를 찾아서> 中

 

 나는 맛의 즐거움, 사랑의 쾌락, 듣는 즐거움, 아름다운 모습을 보아서 생기는 즐거운 감정들을 모두 제외한다면, 선 agatbon을 무엇이라고 생각해야 할지 모르겠다... 아름다움과 탁월함 arete 등은 우리에게 쾌락을 제공할 때 가치를 지닌다. 이들이 쾌락을 주지 못한다면, 우리는 그것들을 버려야 한다.(p40) <쾌락> 中 - 인생의 목적에 관하여 -


 에피쿠로스 학파의 창시자인 에피쿠로스는 인생의 목적은 행복을 추구하는데 있으며, 쾌락을 주는 것은 좋은 것(善)이라는 주장을 편다. 그렇지만, 빅터 플랭클에 의하면 인간은 행복을 추구할 능력이 없는 존재다. 인간이 가진 의지의 힘이란 주어진 상황에서 선택만 가능하기 때문에, 행복의 추구는 인간이 도달할 수 없는 것을 희망하는 것이 된다. 


 그러나 이보다 더 중요한 사실은 인간이 행복을 추구할 수는 없다는 사실이다. 인간이 행복을 동기의 목표로 삼으면 필연적으로 그것을 관심의 목표로 삼게 된다. 그러나 그렇게 되면 그 사람은 행복해야 할 이유를 보지 못하게 될 것이 분명하고, 그러면 행복 그 자체가 사라져 버리고 만다.(p59)... 행복과 쾌락은 모두 성취의 대체물일 뿐이다. 그리고 바로 이 때문에 쾌락 원리가 권력에의 추구와 마찬가지로 의미를 찾으려는 의지에서 나왔다고 말하는 것이다.(p61) <삶의 의미를 찾아서> 中


 행복과 쾌락을 추구한 에피쿠로스의 주장대로라면, 고통과 시련은 우리가 피해야할 악 惡이다. 오직, 행복과 쾌락이 아타락시아 ataraxia를 가져다 줄 수 있는 선이라면 우리는 이를 얻기 위해 노력해야할 것이다. 그렇지만, 빅터 플랭클의 삶의 의미는 시련을 통해서도 발견되어야 하는 것이라는 점에서도 차이가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라도 우리는 한 단계 도약해야 하는 것이다.


 인간은 시련의 의미를 이해할 수 없다.... 나는 궁극적인 의미는 더 이상 생각의 문제가 아니라 믿음의 문제라고 말하고 싶다. 우리는 그것을 지적인 영역에서가 아니라 실존적인 영역에서, 우리의 존재를 넘어선 믿음을 통해 포착할 수 있다.(p228)... 낮은 차원에서는 불가능한 것이 높은 차원에서는 전적으로 가능한 일이 된다는 것이다.(p231) <삶의 의미를 찾아서> 中


 그렇다면, 빅터 플랭클이 말하는 삶의 의미란 무엇일까? 그가 말한 의미는 '가치중립적'인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주어지는 것이지 우리가 의지를 가지고 만들어가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우리 삶은 만들어 가는 것이 아니라, 발견해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어느 모로 보나 의미는 우리 주위에 있는 것들, 그것 자체로는 중립적인 것들에 우리가 투사시킨 어떤 것을 뜻한다. 그리고 이런 중립성의 견지에서 현실은 우리가 바라는 바가 투사되어 있는 하나의 스크린에 불과한 것이라고 할 수도 있다.(p97)... 의미는 발견되는 것이지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다.(p99)... 의미란 나에게 질문을 던졌던 어떤 사람에 의해서, 그런 질문을 수반하고 대답을 요구하는 상황에 의해서 그렇게 되도록 운명지어져 있는 바로 그것이다.(p101) <삶의 의미를 찾아서> 中


 <삶의 의미를 찾아서> 내용 전체를 통해서 저자는  한계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믿음'을 강조한다. 믿음을 통해 하나된 자신을 바라봤을 때 우리는 우리 삶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는 저자의 주장 속에서 우리는 키에르케고르(Søren Aabye Kierkegaard, 1813 ~ 1855)가 말한 불안의 의미를 떠올리게 된다.

 

 불안을 통해서 개인이 신앙을 지향하도록 교육 받을 때, 불안은 바로 그 자신이 낳는 것을 뿌리뽑을 것이다. 불안은 운명을 발견한다. 그렇지만 바로 개인이 운명을 신뢰하기를 원할 때, 불안은 일변하여 운명을 없앤다. 왜냐하면 운명은 불안처럼 그리고 불안은 가능성처럼 마녀의 편지 Hexenbrief, magic picture이기 때문이다. 개인이 운명과의 관계에서 스스로에 의해서 그렇게 변형되지 않을 때, 그는 항상 그 어떤 유한성도 결코 제거할 수 없는 변증법적 앙금을 남길 것이다.(p404) <불안의 개념> 中


 키에르케고르가 불안의 의미를 개인 신앙의 고양 高揚에서 찾고 있듯이, 우리 삶의 불확실성을 믿음의 차원으로 극복하자는 것을 심리학적으로 말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삶의 의미를 찾아서>는 전편 <죽음의 수용소에서>보다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내용을 주로 다루기 때문에, 독자들은 딱딱하다는 인상을 받기 쉽다. 그렇지만, 저자의 체험이 어떻게 이론으로 녹아들어갔는가를 생각하면서 읽는다면 나름의 재미를 느끼며 읽을 수 있는 책이라 여겨진다. <삶의 의미를 찾아서>를 읽으면서 떠오른 생명파 시인 청마 유치환(柳致環, 1908 ~ 1967)의 시 詩를 마지막으로 이번 페이퍼를 마친다. 

 

운명 運命에 대하여 (2연)


 운명 運命이란 산 山처럼 엄숙하게 생긴 것은 아니다. 낙엽 落葉같이 흔하고 값 없어 거리에 굴르는 그 어느 하나를 주워 네 것이라 하여도 매 마창가지 - 외롭고 슬프고 의지 없게 마련이거늘 오늘 너보다 더욱 크낙한 것의 당차한 조락 凋落의 계절에서 너는 마땅히 배아 胚芽를 갖지 못한 무수한 낙엽 落葉의 그 한 이파리임을 깨쳐야 할 것이다.(p142) <청마시집) 中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8-08-04 19:3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늘도 더운 날씨가 계속되고 있어요.
시원하고 즐거운 일들 가득한 주말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겨울호랑이님, 기분 좋은 토요일 보내세요.^^

겨울호랑이 2018-08-04 19:40   좋아요 1 | URL
그래도 아침저녁으로 바람이 제법 있네요. 다음 주만 넘기면 더위가 가시리라는 희망을 가져봅니다. 서니데이님도 행복한 주말 되세요!^^:)

북다이제스터 2018-08-04 21:2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 무더운 날씬엔 책 어디서 읽으세요?^^

겨울호랑이 2018-08-04 21:52   좋아요 1 | URL
저는 집에서 주로 읽습니다. 손에 익은 책을 보는게 좋아서요 ㅋ 북다이제스터님께서는 시원한 도서관을 가시나요?^^:)

2018-08-05 08: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8-05 08: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최근 20여년 중 가장 덥다는 요즘입니다.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밀어 닥친 폭염 속에서 몸도 마음도 지친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동시에 다른 생각도 해봅니다. 제가 아직 40대 한창때임에도 이처럼 더위를 견디기 힘들어 한다면, 나이 드신 분들 특히 에어컨을 갖추지 못한 분들에게 이 더위는 어떤 의미일런지 생각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 1930 ~ 2002)의  <세계의 비참 La Misere du Monde> 속에서 외롭게 늙어가는 할머니의 말을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생각해 봅니다.


 

[사진] 쪽방촌의 무더위(출처 : 뉴스1)


 내가 또 한 번 넘어졌지 뭐요. 6월에 팔을 다친 이후로 몇 번씩이나 깁스를 할 일이 생겼는지 모른다오. 그 상태에서 어느 날 또 넘어졌으니까. 뭐가 어떻게 잘못되었는지 아파서 견딜 수가 없는 거야. 그때가 8월 15일이지. 그런 식으로 자꾸 넘어지고 다치고 한거라오.... (웃는다) 하기야 웃을 일도 아니지. 그때가 8월 바캉스철이니 누구 부를 사람이 있어야지, 모두들 휴가를 떠나고 없으니...(p1455)... 내 일을 하는 동안 서로를 귀찮게 하는 일이란 게 어떤 건지를 너무나 잘 알게 되었기 때문이라오. 다 늙은 노인네를 도대체 어떻게 도와 줄 수 있겠수? 이것 보우, 우릴 살려 두려고 하는데... 하기야 이걸 산다고 말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웃음) (p1459) <세계의 비참 3> 中

 


 '고독'이라는 주제의 인터뷰를 하신 할머니의 이야기 속에서 혼자서 어려움을 겪었을 때, 도움을 청하지도 못하고 버티는 독거노인의 슬픔을 느끼면서,  무더운 여름날에는 더위를, 추운 겨울날에는 추위를 혼자서 견뎌야 하는 이분들의 어려움 또한  인터뷰 뒷면에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어려움 속에 이분들을 방치하고 있는 현실이 우리나라 노인문제의 현주소가 아닌지도 우리의 현실을 돌아보게 됩니다.

 

 최선의 인간이 추구하는 목표는 최선의 정체가 추구하는 목표와 같을 수밖에 없다. 그런데 누차 말했듯이, 전쟁의 목표는 평화이고 노동의 목표는 여가이므로, 개인이나 국가나 여가 선용에 필요한 탁월함을 갖고 있어야 한다. 여가 선용과 마음의 계발에 필요한 탁월함 중 어떤 것은 여가를 선용할 때 작동하고, 다른 것은 노동할 때 작동한다.... 용기와 끈기는 노동에, 철학(philosophia)은 여가에, 절제와 정의감은 노동과 여가 모두에 필요한데, 여가를 즐기며 평화롭게 사는 자들에게는 특히 그러하다... 특히 철학과 절제와 정의감이 필요한데, 축복이 넘치는 가운데 여가를 많이 즐길수록 이 세 가지에 대한 필요도 그만큼 커진다. (1334a11) <정치학> 제7권 15장 中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BC 384 ∼ BC 322)는 <정치학 Politika>을 통해 여가의 중요성을 위와 같이 강조하고 있습니다. 여가 선용은 단순히 휴식을 위한 것이 아니라 보다 탁월한 인간이 되기위한 하나의 방편이라고 말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말 속에서 휴가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 됩니다. 이번 주부터 본격적인 휴가철이 시작되었습니다. 무더위를 피하면서 재충전하는 이 시간 속에서 나 뿐만 아니라 우리를 위한 시간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 생각해봅니다. 이웃분들 모두 즐거운 휴가보내시고 건강하게 재충전하시길 바랍니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4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읽자나 2018-08-02 22:5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러게요, 저도 취약층인 노인과 아이들이 걱정되더군요. 없는 사람은 여름 나기가 낫다더니 그것도 옛말이 되려나봐요.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고민해봐야 할 문제인 것 같아요

겨울호랑이 2018-08-02 23:15   좋아요 0 | URL
정말 그렇습니다. 짧은 생각입니다만, 절대적 빈곤보다 상대적 빈곤이 더 큰 문제인것과 맞닿은 문제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에어컨이 보편화된 세상에서 자신은 그렇지 못하다는 현실이 더위보다 그분들을 더 힘겹게 하는 것은 아닌지 생각하게 됩니다...

2018-08-03 09: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8-03 11: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레삭매냐 2018-08-03 09: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노동의 궁극적 목적이 여가이고,
그 여가 활용을 통한 탁월한 인간이 되는 것

독서야말로 가장 근사치에 도달한 여가를
위한 방법이 아닐까 싶습니다.

겨울호랑이 2018-08-03 11:25   좋아요 0 | URL
어렸을 때에는 휴가를 보낼 때 빠듯한 일정으로 채우지 않으면 안 될 것처럼 생각했는데, 시간이 흐르고 나니 모든 것을 내려 놓는 것이 가장 좋은 휴가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숨을 내쉰 후에야 다시 들이쉴 수 있는 것처럼 자신을 비우고 독서를 통해 다시 채운다면 그보다 더 좋은 여가 선용은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레삭매냐님께서는 이번 여름을 로맹 가리를 통해 의미있게 채우고 계신 것 같아 많이 부럽습니다. 더운 날 건강하게 보내세요!^^:)

2018-08-04 09: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8-04 15: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사무라이는 학문 자체는 경멸하고 학문에 조예가 깊은 이를 책 냄새에 취한 자라 불렀다. 이들에게는 많은 특권이 주어졌다(p583)... 그들은 엄격하고 영예로운 규범인 "무사도(武士道)"에 순응했다. 그 핵심 이론은 미덕을 명확하게 한 것으로써 "도리에 따라 주저함 없이 행동을 결행하는 힘이며, 죽어야 할 때 싸워야 할 때 싸우는 것이다.(p584) <문명이야기 1-2 : 동양문명> 中


 미국 역사학자 윌 듀런트(Will Durant, 1885 ~ 1981)는 <문명 이야기 The story of Civilization>을 통해 일본의 사무라이에 대해 위와 같이 서술하고 있다. 일본 사무라이들은 센고쿠 시대(戰國時代, 15C 중반 ~ 16 C 후반)에 전성기를 맞이하다가,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 1543 ~ 1616) 의 에도 막부(江戶 幕府)가 열린 이후 몰락의 시기를 걷게 된다. 그리고, 이 시기를 대표하는 인물이 유명한 미야모토 무사시(宮本武藏, 1584 ? ~ 1645)다. 생전 60여명의 무사들과 대결하면서 한 번도 패배하지 않은 것으로 유명한 그는 생전 <오륜서 五輪書>를 남기게 된다. 유명한 이 무사를 소재로 한 소설과 만화가 있는데, <슬램덩크 Slam Dunk>의 저자 이노우에 다케히코(井上雄彦)가 그린 <배가본드 Vagabond>는 그러한 작품 중 하나다.


  16세기 말부터 일본의 사무라이 계급의 몰락이 시작되었다면, 같은 시기 반대편 서양에서는 이미 기사(騎士)계급은 거의 사라지고, 대항해시대(大航海時代, Age of Discovery, Age of Exploration)가 열리고 있었다. 그리고, <돈키호테 Don Quijote de La Mancha>는 이 새로운 시대를 살면서, 과거 기사 시대를 그리워한 낭만주의자인 어느 시골 귀족의 모험을 다룬 소설이다.

 

 정말이지 그는 이제 분별력을 완전히 잃어버려, 세상 어느 미치광이도 하지 못했던 이상한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것은 명예를 드높이고 아울러 나라를 위해 봉사하는 일로, 편력 기사가 되어 무장한 채 말을 타고 모험을 찾아 온 세상을 돌아다니면서 자기가 읽은 편력 기사들이 행한 그 모든 것들을 스스로 실천해 보자는 것이었다.(p69)  <돈키호테 1> 中


 <돈키호테 1>, <돈키호테 2> 두 권의 책 속에서 돈키호테와 산초 판사는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흥미진진하지만 어이없는 모험을 이어나간다. 이러한 처참한 모험의 실패를 잘 보여주는 일화 중 하나가 유명한 풍차와의 싸움일 것이다. 영어 숙어 "to tilt at windmills"  가상의 적과 싸우다( to fight imaginary enemies)의 유래가 되기도 한 아래의 이야기는 험난한 모험의 단면을 잘 보여준다. 


[그림] Tilting at windmills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Tilting_at_windmills)


 그는 둘시네아에게 이런 위기에 처한 자신을 보호해 달라고 온 마음을 다해 빌었다. 그는 장패로 몸을 가리고 옆구리에 창을 낀 채 전속력으로 로시난테를 몰아 맨 앞에 있는 풍차로 돌진하여 날개에 창을 꽂긴 했으나, 바람이 세차게 불어 날개가 돌아가자 그 창은 박살이 나고 사람과 말도 함께 딸려 가다가 들판으로 사정없이 내동댕이쳐졌다. 산초 판사가 그를 구하려고 당나귀를 몰아 달려가 보니 주인은 꼼짝달싹할 수 없는 상태였다.(p125) <돈키호테 1> 中


 <돈키호테 1>과 <돈키호테 2> 모두 돈키호테와 산초의 어이없는 모험이야기로 가득하지만, 1권과 2권은 이들을 바라보는 주변 인물들의 시선은 차이가 있다. <돈키호테 1> 에서 기사 서품을 부탁받은 객줏집 주인에게 돈키호테는 쫓아내야할 미치광이에 불과했다.  


 객줏집 주인이 마부들을 향해, 이미 말했듯이 저자는 미치광이로 사람들을 모두 죽인다 하더라도 아무런 죄가 되지 않으니 그냥 내버려 두라고 소리를 질러댔다... 객줏집 주인은 이 손님의 장난이 예사가 아니라는 생각에 다른 불행한 일이 일어나기 전에 어서 빨리 재수 없는 그놈의 기사 서품식을 치러 주어 일을 매듭지어야겠다고 마음먹었다.(p87)  <돈키호테 1> 中


 그렇지만, <돈키호테 2>에서는 돈키호테와 산초는 출판된 책의 주인공으로, 이미  유명인이 되어 있었다. 마치 리얼버라이어티 쇼의 주인공과 같이 널리 알려진 그들은 더 이상 위험한 미치광이가 아니라 환영받는 연예인이었다. 

 

 "어젯밤에 바르톨로메 카라스코의 아들이 살라망카에서 공부해서 학사가 되어 돌아왔기에 제가 인사를 하러 갔었습니다요. 그런데 그 사람 말이 나리에 대한 이야기가 <기발한 이달고 돈키호테 데 라만차>라는 이름으로 이미 책이 되어 나돌고 있다는 겁니다요. 그리고 저에 관해서도 산초 판사라는 바로 제 본명으로 그 책에서 이야기 되고 있으며, 둘시네아 델 토보소 님에 대한 것이며 우리 둘만이 보냈던 다른 일들까지 몽땅 온다고했습니다요."(p82) <돈키호테 2> 中


 "말해 줘요, 종자 양반, 당신의 주인이라는 분이 지금 <기발한 이달고 돈키호테 데 라만차>라는 이야기로 출판되어 나돌고 있는 주인공, 둘시네아 델 토보소라는 분을 자기 마음의 주인으로 두신 그분이 아닌가요?... 나는 그 이야기 전부를 아주 좋아해요. 판사 양반, 가서 주인께 말씀드려요. 내 영지에 잘 오셨고 정말 환영한다고 말이에요. 이보다 더 나를 즐겁게 하는 일은 없을 거라고도 전해 주세요."(p380) <돈키호테 2> 中


 이제는 가는 곳마다 자신을 알아보고 환영받는 존재가 되었지만, 돈키호테는 기사도(騎士道, chivalry)를 살릴 수 없었기에 끊임없이 방랑을 하다 결국 고향으로 돌아가 쓸쓸한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돈키호테 1>, <돈키호테 2>는 돈키호테와 산초의 모험을 다룬 연작 소설이지만, 주인공을 바라보는 주변의 시선은 이와 같이 크게 다르다. 가는 곳마다 배척당해서 좌절했던 것이 1권의 돈키호테였다면, 주변으로부터 환영받는 존재가 2권의 돈키호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권의 돈키호테 역시 안쓰럽게 느껴지는 것은 그를 바라보는 주변의 시선이 그를 이해하는 것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리라.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광인을 제정신으로 돌리고자 모든 사람들에게 모욕을 가하다니 말이오. 돈키호테가 제정신으로 줄 수 있는 이득이 그가 미친 짓을 함으로써 주는 즐거움에 미칠 수 없다는 것을 당신을 모르시오?... 매정한 말 같지만, 난 돈키호테의 병이 절대로 고쳐지지 말았으면 하오. 그가 낫게 되면 그로 인한 재미를 잃을 뿐만 아니라 그의 종자 산초 판사의 재미까지 잃고 말 것이기 때문이오."(p807) <돈키호테 2> 中


 이제는 돌아올 수 없는 과거의 로망을 꿈꾸는 어느 낭만주의자의 꿈이 현실의 높은 벽에 가로막혀 무너지는 것을 보면, <돈키호테>가 유쾌한 모험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마냥 웃을 수 만은 없는 것은 위와 같은 이유 때문이라 여겨진다. 거의 같은 시기 동양의 무사도와 서양의 기사도의 몰락이라는 상황에서, <돈키호테> 속에서 낭만주의자의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돈키호테가 추구했던 꿈(기사도)를 마지막으로 길었던 이번 페이퍼를 마친다. 

 

 페르시아와 시리아, 그리고 스페인 사라센인들의 영향을 받은 게르만식 군사 활동의 오랜 관습과, 헌신과 성례라는 그리스도교적 사상에서 비롯되어 불완전하지만 풍성한 기사도의 열매가 피어났다.(p1062)... 이론상 기사들은 영웅이자 신사이고 성인이 되어야 한다는 요구를 받았다. 야만적인 기질을 길들이기 위해 애쓰던 교회는 기사 제도를 종교적 형식과 서약으로 에워쌌다.(p1065)...  기사는 항상 진실을 말할 것과 교회를 방어할 것, 가난한 이들을 보호할 것, 자신의 지역을 평화로이 유지할 것, 그리고 이단들을 쫓을 것 등을 맹세했다. 모든 여자의 수호자가 되어 그녀들의 순결을 구해 주어야 했고, 모든 기사들의 형제가 되어 서로 돕고 예를 차려야 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은 기사도 이론이었다.(p1066) <문명이야기 4-1 : 신앙의 시대> 中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4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galmA 2018-07-21 03:0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돈키호테> 제 인생책인데! 고등학교 때 범우사 판으로 읽고 열린책들 이쁜 양장 종이책으로 새로 장만해 놓고 너무 읽기가 안 되어서 이북도 샀는데 이것도 계속 밀리고ㅜㅜ
그런데 켄신 안나와서 섭섭요ㅋㅋ!

겨울호랑이 2018-07-21 03:34   좋아요 1 | URL
^^:) AgalmA님은 CNN처럼 24시간 깨어계시는군요 ㅋ 높은 베개 수준의 두께를 보며 무협지를 보듯 빠르게 여러 번 읽으니 결국 읽게 되었네요 ㅋ 좋은 문장은 좀 더 음미해야겠지만요. 켄신이라 하시면 우에스기 켄신을 말씀하시는 것인지? 저는 다케다 신겐을 더 좋아하는 편입니다.ㅋㅋ

페크pek0501 2018-07-21 20:1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돈키호테 성찰>을 읽기 시작했어요. ㅋ

겨울호랑이 2018-07-21 20:51   좋아요 1 | URL
페크님께서는 이미 <돈키호테>를 넘어 <돈키호테 성찰>을 읽으시는군요! 저도 페크님처럼 깊이있게 문학작품을 읽어야하는데, 아직 못 읽은 작품이 끝도 없습니다 ㅜㅜ

페크pek0501 2018-07-21 21:45   좋아요 1 | URL
아닙니다. 오해하지 말아 주세요. 저야말로 읽지 않은 책이 끝도 없어요. 읽지 않고 이름만 아는 고전이 얼마나 많은데요.
돈키호테는 완역본을 읽은 게 아니라서 더 공부가 필요한듯해 돈키호테 성찰을 샀어요. 성찰이란 이름에 끌렸나 봐요. 제가 이런 스타일에 끌리는 편입니다. ㅋㅋ

겨울호랑이 2018-07-21 21:59   좋아요 1 | URL
<돈키호테>를 당대 사람들은 재밌게 읽었다고 하는데, 문화적 배경이 다르고 시간이 흐른 지금은 즐기기 위해 공부를 해야하는 어려운 책이 되버렸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저는 가벼운 마음으로 쭉쭉 읽었습니다만, 다 읽고 난 후 부족함을 많이 느끼게 되네요. 그런 면에서 페크님께서 알려주신 <돈키호테 성찰>은 깊이 있는 독서를 도와주는 좋은 친구라 여겨집니다. 페크님처럼 미리 OT 후에 완독을 했다면 더 즐거운 마음으로 즐길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마음도 드네요. 페크님 좋은 책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무더운 여름날 시원하게 보내세요^^:)

2018-07-22 16: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7-22 20: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강남석 2018-07-23 04:5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겨울호랑이님의 ˝미치광이에서 연예인으로...어느 낭만주의자의 모험 이야기˝ 를 읽으면서 그 어릴적 예전에 읽었던 기억이 새롭게 생각이 나는군요 ...정리를 참 잘 해주셔서 금방 책 두권을 읽은 느낌 입니다 감사 합니다...
대화 내용들을 읽으면서 제맘에 많은 도전을 받습니다.
내면의 힘과 좀더 부더러운 인격을 가진 소유자가 되기 위해 독서를 해야 겠다는...

겨울호랑이 2018-07-23 06:52   좋아요 1 | URL
강남석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저도 이웃님들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서로 좋은 영향을 주고 받으며 함께 성장하는 것에서 큰 기쁨을 얻게 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히든챔피언 2018-08-01 22:5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좋은글 감사합니다

겨울호랑이 2018-08-01 23:06   좋아요 0 | URL
조용관님 격려 말씀에 감사드립니다. 더운 날 건강하게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