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자일(16일)에 백제(百濟)에서 사람이 와서 그의 왕인 부여장(扶餘璋)의 상사(喪事)를 알리니, 사신을 파견하여 그의 사자(嗣子, 후계자)인 아들 부여의자(扶餘義慈)에게 책명(冊命)을 주게 하였다.

황상이 위징에게 물었다. "최근에 조회에 나오는 신하들이 어찌하여 특별히 사건을 평론하지 않는가?"
대답하였다. "폐하께서 마음을 비우시고 받아들이신다면 반드시 말하는 사람이 있을 것입니다. 무릇 신하들 가운데는 나라를 위하여 죽으려는 사람이 적고, 자기 몸을 아끼는 사람이 많으니, 저들은 죄 지을까 두려워하는 것이고 그러므로 말을 아니 할 뿐입니다."

정사일(5일)에 영주(營州)도독 장검(張儉)이 주문을 올려서 고려(高麗, 고구려)의 동부대인(東部大人)인 천개소문(泉蓋蘇文)이 그의 왕인 고무(高武)를 시해하였다고 하였다.

황상이 위징을 생각하는 것이 그치지 않아서 시중을 드는 신하들에게 말하였다. "사람은 구리를 가지고 거울을 만들어서 의관(衣冠)을 올바르게 하는데, 옛것을 거울로 삼는다면 흥망을 볼 수 있고, 사람을 거울로 삼으면 잘잘못을 알 수 있는데, 위징이 죽으니, 짐은 한 개의 거울을 잃었도다."

황상이 직방랑중(職方郞中) 진대덕(陳大德)을 파견하여 고려(高麗)35에 사신으로 보냈는데 8월 기해일(10일)에 고려에서부터 돌아왔다. 진대덕이 처음에 그들의 경계로 들어가서 산천과 풍속을 알고자 하여 도착하는 성읍마다 그 지키는 사람에게 능기(綾綺)36를 주면서 말하였다.

"나는 본디 산수(山水)를 아주 좋아하니 이곳에 명승지가 있으면 내가 이를 보고 싶소."

지키던 사람은 기뻐하며 그를 이끌고 돌아다녀서 가지 않은 곳이 없었다. 왕왕 중국인들을 만나자, 그들은 스스로 말하였다.

"집은 어느 어느 군에 있었는데 수(隋) 말년에 군대에 나왔다37가 고려에 몰입되었으며, 고려에서는 떠돌아다니는 여자를 처로 삼게 하였으며, 고려 사람들과 섞여 사는데 거의 반이 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갑인일(9일)에 황상이 시중을 드는 신하들에게 물었다. "창업과 수성(守成)49에서 어느 것이 어려운가?"

방현령이 말하였다. "초매(草昧)할 처음에는 여러 영웅들과 나란히 일어나서 힘을 가지고 다툰 다음에 이들을 신하로 삼는 것이니 창업이 어렵습니다."

위징이 말하였다. "예로부터 제왕은 간난(艱難) 가운데서 이를 얻었고, 안일(安逸)한 데서 이를 잃지 않은 것이 없었으니, 수성이 어렵습니다."

황상이 말하였다. "방현령과 나는 함께 천하를 빼앗았으니, 백 번 죽을 고비를 넘기고 한 번 살아났다. 그러므로 창업의 어려움을 안다. 위징과 나는 함께 천하를 편안하게 하였으니 항상 교만하고 사치스러움이 부귀한 가운데서 생기고, 화란(禍亂)은 소홀히 하는 데서 생겨날까 걱정하였다. 그러므로 수성의 어려움을 안다. 그러나 창업의 어려움은 이미 지나간 것이지만 수성의 어려움은 바야흐로 마땅히 여러분과 더불어 이를 신중히 하여야 한다."

방현령 등이 절하며 말하였다. "폐하께서 이러한 말을 하시기에 이르셨으니 사해(四海)의 복입니다."

무릇 비록 군자라도 적은 허물이 없을 수는 없는데 진실로 올바른 길에서는 해가 되지 않으니 이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이미 군자라고 말하고 다시 그를 믿지 못할까 의심한다면 곧은 나무를 세워 놓고 그 그림자가 구부러질까 의심하는 것과 무엇이 다릅니까? 폐하께서는 진실로 신중하게 군자를 선발하실 수 있고, 예(禮)로써 그를 믿고 채용하면 어찌 잘 다스려지지 않을까를 걱정하십니까?

위징이 간하였다. "신이 듣건대, ‘임금은 신하를 예(禮)로써 부리고, 신하는 충성으로써 임금을 섬긴다.’고 하였습니다. 지금 대장군을 파견하여 망한 나라의 부녀자와 대질하여 휘장 속에서 있었던 사사로운 일을 말하게 하니, 사실이라고 하여도 얻는 것은 가볍고 헛된 말이라고 한다면 잃는 것은 무겁습니다.

정관(貞觀, 당 태종의 연호) 연간의 초기에 천하에는 기근이 들고 흉년이 들어서 쌀 한 말이 한 필의 비단 값이 되었으나 백성들이 원망하지 않는 것은 폐하께서 걱정하고 염려하며 잊지 않고 계신 것을 알았던 때문입니다. 최근 몇 년 동안은 풍년이 들어서 한 필의 비단으로 속(粟) 10여 곡(斛)을 얻게 되었으나 백성들이 원망하고 탄식하는 것은 폐하께서 다시는 이러한 것을 생각하지 않고 대부분 급하지 않은 업무를 경영하고 있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예로부터 나라가 흥하느냐 망하느냐 하는 것은 쌓아 놓은 곡식이 많은지 적은지를 가지고 말하는 것이 아니고, 백성들이 고생하느냐 즐거워하느냐에 있습니다.

무릇 모양을 비추어 보려면 물을 고요하게 하는 것 만한 것이 없고, 실패한 것을 비추어 보는 데는 망한 나라만한 것이 없습니다. 엎드려 바라건대, 수에서 거울을 찾아보시고, 사치를 제거하고 간략한 것을 좇으시며, 충성스러운 사람을 가까이 하시고, 망령된 사람을 멀리하며, 오늘날에 무사한 것을 가져다가 과거에 공손하고 검소하였던 것으로 계획을 세워 간다면 아주 훌륭하고 아주 아름답게 되어 진실로 견줄 만한 것이 없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서령 온언박(溫彦博)이 말하였다. "엎드려 바라건대 폐하께서는 항상 정관(貞觀)초기처럼만 하시면 훌륭하십니다."
황제가 말하였다. "짐이 최근에 정치하는 일에서 게을렀던가?"
위징이 말하였다. "정관의 초기에는 폐하의 뜻은 절약하고 검소한데 있었으며, 간(諫)하는 말을 찾는데 게으르지 아니하였습니다. 최근에는 영선(營繕)하는 일이 조금 많아졌으며, 간언(諫言)을 하는 사람이 자못 뜻을 거스르는 일이 있게 되니, 이것이 다른 것뿐입니다."

황제가 손뼉을 치면서 크게 웃고 말하였다. "진실로 이런 일이 있었소."

황상이 위징에게 말하였다. "관직을 위하여 사람을 선택하면서 급히 하지 마시오. 한 명의 군자를 채용하면 군자들이 모두 오겠지만 한 명의 소인을 채용하면 소인들이 다투어 나오게 되오."

대답하였다. "그러합니다. 천하가 아직 안정되지 않았다면 오로지 그들의 재주만을 채택하고 그들의 행실을 고려하지 아니하겠지만, 죽고 혼란한 것이 이미 평정되었으니 재주와 행실을 겸하여 갖춘 사람이 아니면 채용할 수 없습니다."

황상은 혹 죄가 되지 않는 것을 가지고 궁인(宮人)을 나무라고 화를 내면 황후는 또 겉으로 화를 냈지만 스스로 미루어 묻겠다고 하고서 이어서 가두어 두라고 명령하였다가 황상의 화가 풀리는 것을 기다려서 천천히 심리하니 이로 말미암아서 궁궐 안에서는 형벌을 주는 것이 억울하고 남용되는 일이 없었다.

황상이 말하였다. "법령이란 자주 바꿀 수는 없는 것이며, 자주 바뀌면 번거로워지고, 관장(官長)이 다 기억할 수가 없다. 또 앞뒤 사이에 차이와 어그러지는 것이 있게 되어 관리들이 농간을 부릴 수 있다. 지금부터 법을 바꾸려면 모두 의당 자세하고 신중하게 하여서 이를 시행하라."

위징이 상소문을 올려서 말하였다. "인주(人主) 가운데 처음을 잘 시작한 사람은 많지만 끝을 잘 마친 사람은 적으니, 어찌하여 빼앗는 것은 쉽지만 이를 지키는 것이 어렵습니까? 대개 걱정을 많이 하면 정성을 다하여 아랫사람에게 대하지만 안일해진다면 교만하고 방자하여 다른 사람을 가벼이 하기 때문입니다."

인주가 진실로 능히 바라는 것을 볼 수 있다면 만족한 것을 알도록 생각하고, 장차 건물을 짓고 수선하려고 하면 그칠 것을 알려고 생각하고, 높고 위태한 곳에 있게 되면 겸손하여 내려올 것을 생각하며, 가득 찬 곳에 가게 되면 덜어낼 것을 생각하고, 편안하고 즐거운 것을 만나면 억누르고 절제할 것을 생각하고, 연회에서 편안하게 되면 뒤에 근심거리가 올 것을 생각하고, 막히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려면 늘리고 받아들이는 것을 생각하며, 참소하고 사악한 것을 싫어하면 자기를 바르게 할 생각을 하고, 작위와 상을 주려면 기뻐하는 것으로 인하여 벗어날까를 생각하며, 형벌을 시행하려면 화로 인하여 남용되는 것인지를 생각하는데, 이 열 가지를 겸하여 생각하면서 현명한 사람을 뽑고 능력 있는 사람에게 맡기면 진실로 아무 것도 하지 않고서도 잘 다스려질 수 있습니다.

황상이 일찍이 조회를 끝내고 화가 나서 말하였다. "기다렸다가 이 시골 영감을 죽일 것이다."

황후가 누구냐고 물었더니 황상이 말하였다. "위징이 매번 조정에서 나를 욕하오."


황후가 물러나서 조복(朝服)을 갖추어 입고 뜰에 섰고, 황상이 놀라서 그 연고를 물었다. 황후가 말하였다.
"첩이 듣기로는 군주가 밝으면 신하는 곧다고 하였는데, 지금 위징이 곧은 것은 폐하께서 밝으신 연고이니, 첩이 감히 경하하지 않겠습니까?"

황상이 마침내 즐거워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음날 황상이 방현령(房玄齡)에게 말하였다. "옛날부터 제왕은 간언(諫言)을 받아들이는 것이 진실로 어려웠다고 하는데, 짐이 어제 온언박과 왕규를 나무랐으나 지금에 이르러서 이를 후회하오. 공 등은 이 때문에 말을 다하지 않는 일이 없도록 하시오."

황상이 말하였다. "만약에 하늘이 장차 그를 일으키려고 한다면 짐이 제거할 수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만약에 천명(天命)을 갖고 있지 않다면 ‘승(勝)’이라는 글자가 무슨 일을 할 것인가?" 마침내 그를 석방하였다.

천하는 지극히 넓고, 하루에 만 가지를 살피는데 비록 다시 정신을 수고롭게 하고 몸을 고생스럽게 하여도 어찌 하나하나가 다 이치에 맞겠소? 여러 신하들은 이미 주군의 뜻을 알았으니 오직 결재를 받아서 성사를 시키려하여 비록 허물과 어긋나는 것이 있다 하여도 감히 간쟁을 하지 않았으니 이것이 바로 2세가 되어 망하게 된 까닭이오. 짐은 그러하지 아니하오. 천하의 현명한 재주 있는 사람을 뽑아서 이들로 백관을 채워서 천하의 일을 생각하게 하며 재상으로부터 관여하게 하여 살피고 익혀서 편안하게 하고, 그렇게 한 다음에 주문으로 보고하게 하였소.

위징이 말하였다. "안팎이 잘 다스려지고 편안하지만 신은 기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마는 오직 폐하께서 편안한데 계시면서도 위태로울 것을 생각하시는 것을 기뻐할 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황상이 말하였다.
"제왕이 된 사람은 지극히 공정하고 사사로움이 없어야 하는 것이니, 그런 고로 천하 사람들의 마음을 복종시킬 수가 있는 것이오."

"군주는 나라에 의지하고 나라는 백성들에게 의지하는 것이다. 백성들에게 각박하게 하여 군주를 받드는 것은 마치 살을 잘라서 배를 채우는 것과 같아서, 배는 부르지만 몸은 죽어가니 군주는 부유하지만 나라는 망한다. 그러므로 인군(人君)의 걱정거리는 밖에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항상 자신에게서부터 나오는 것이다."

"무릇 군사란 이를 어거하는데 그 도를 얻는데 있는 것이지 숫자의 많음에 있지 않습니다. 폐하께서 그들 가운데 장대하고 건장한 사람을 뽑아서 도(道)를 가지고 이들을 다스린다면 천하에는 대적할 사람이 충분히 없게 될 것인데 왜 반드시 가늘고 약한 사람을 데려다가 허수(虛數)를 늘리려고 하십니까?"

무릇 예(禮)라는 것은 위엄을 갖춘 의식을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러나 위엄을 갖춘 의식이 없다면 예는 시행할 수가 없을 것입니다. 음악은 음성을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러나 음성을 갖지 아니하면 음악은 나타날 수가 없는 것입니다.

무릇 예악에는 근본적인 것이 있고 수식한 것도 있는데, 중화(中和)라는 것은 근본적인 것이고, 얼굴과 소리는 지엽적인 것이며, 이 두 가지는 한쪽을 폐지할 수 없는 것입니다.

신라(新羅), 백제(百濟), 고려(高麗) 세 나라가 묵은 원한관계를 갖고 있어서 서로 바꾸어가며 공격하였는데, 황상은 국자조교(國子助敎) 주자사(朱子奢)를 파견하여 가서 타일러서 지적하니, 세 나라가 모두 표문을 올려서 사죄하였다.

군주란 근원이고 신하란 흐르는 물줄기이니, 그 근원을 흐리게 하고 그 흐르는 물이 깨끗하기를 구하면 얻을 수 없는 것이오. 군주가 스스로 속이면서 어떻게 신하에게 곧게 될 것을 책임 지운다는 말이오?

옛말 사람이 이르기를, ‘예(禮)라, 예라고 말하는 것이 옥(玉)이나 비단을 말하는 것이랴! 음악, 음악이라고 하지만 종고(鐘鼓)를 말하는 것이겠는가?’라고 하였습니다. 음악은 진실로 인화(人和)에 있는 것이지 성조(聲調)와 소리에 있는 것은 아닙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