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지 이형진의 옛 이야기 1
이형진 글 그림 / 느림보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 대한 소개를 어디서 읽었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 그 때 글을 읽으면서 이 책이 맘에 팍 꽂혔다. 아이들이 무척 좋아하는 우리 전래 동화 <여우 누이>의 재해석이라.

그래서 알라딘 중고샵에서 이걸 건졌다.

그럴 수도 있겠구나.

귀염둥이 여동생에 대한 가족애, 형제애라는 것을 책 속에서는 잘 살려내고 있다.

짐승들의 간을 꺼내 먹는 여동생의 행동을 지켜 본 꼬랑지 오라버니는 그 사실을 부모님께 말씀드렸지만, 오히려 시샘때문이라는 오해를 받고 집에서 쫓겨나고 만다. 그렇게 삼 년을 보내다 자라를 살려주고 얻게 된 구슬주머니를 들고 집으로 돌아오면서도 먼저 죽은 가족들에 대한 그리움과 여동생 끝지에 대한 가슴아린 연민, 그리고 설마 내 동생이...

가족들의 안부를 묻는 오라버니의 질문에 끝지는

작은오빠 죽은 건 큰오빠가 알고, 큰오빠 죽은 건 아버지가 알고, 아버지 돌아가신 건 어머니가 알고, 어머니 돌아가신 건 나도 모르는 걸. 하고 이야기한다.

가족을 해친 여우누이를 죽여야만 하지만, 그 누이도 또한 가족이기에 순돌이의 맘 속에서 끊임없는 갈등의 목소리가 계속 되고,

끝지의 어머니를 쏘아 죽인 사냥꾼의 얼굴이 바로 문앞에 버려진 아기인 자기를 데려다 키운 양아버지임을, 순돌이와 끝지는 서로에 대한 미움에 앞서 가족애를 더 강하게 느끼고, 그 가족애는 구슬의 힘으로도 막을 수 없었음을 그림은 이야기 하고 있다.

그림은 목탄으로 그렸을까? 또렷하지 않는 선들 속에 미움의 감정도 함께 묻혀 버린다.

작품의 해석은 사람마다 참 다를 수 있겠구나. 이렇게 이야기를 재해석해 낼 수도 있겠구나. 하는 이야기를 아이들에게 해 주고 싶다. 지금 국어 첫째마당에서 시나 이야기 글을 듣거나 읽고 생각이나 느낌을 나누고 그리고 다른 친구들의 생각이나 느낌을 듣고 자신의 생각과 비교해 보는 공부를 하고 있는데, 이 이야기를 매개로 왜 이야기를 서로 나누는 것이 필요한지 하나하나 풀어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아이들이 관심있어 할 동화책이라 생각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08-09-21 09: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는 이 책 보면서 섬짓했어요. 그림도 심란스럽고... 그래서인지 아이들에게도 권하지 않았고...
 
설빔 - 남자아이 멋진 옷 우리 문화 그림책 8
배현주 글.그림 / 사계절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자 아이 옷의 구성 요소(버선, 바지, 저고리, 배자, 까치 두루마기, 전복까지-그리고 옷을 다 입고 신는 태사혜, 호랑이 모자 호건까지)를 알 수 있다. 옷 입는 순서를 알 수 있다. 옷 입는 방법을 알 수 있다.

옷을 다 입고 문을 여니 하늘에는 눈이 내리고 그리고 문을 나서서 세배 떠나는 아이.

그림이 참 곱다. (약간 부르조아풍이지만-너무 곱다.)

그런데, 참 이상한 것이 나는 이 책이 참 맘에 드는데, 딸 아이는 별 관심이 없다.

우리 딸 아이는 한복이 놀이복일 정도로 한복을 좋아한다. 그걸 입고 한바퀴 빙 돌면서 얼굴에는 웃음꽃을 피운다.

잘 놀다가 한 번씩 하는 대사가 "엄마, 한복 입으면 안 돼?"일 정도다. 비싼 한복 사도 아이가 좋아하고 잘 입으니 본전 생각 안 나서 참 좋아서 달라는 대로 주고 있다. 그런데, 자기가 좋아하는 아주 예쁜 한복이 나오는 그림책이라서 관심을 가질 법 한데, 영 관심이 없다. <<여자 아이 멋진 옷 설빔>>에도 관심이 없더니 이 책에도 별 관심이 없다. 왤까? 그건 나도 모르겠다. 물어도 대답을 안 하니... 하지만, 이 책 저 책 뒤지다 때가 되면 관심을 보이겠지.... 하는 생각을 한다.

명절도 다가오고 해서, 도서관 갔다가 이 책 눈에 띄어 얼른 빌렸다. <<여자 아이 멋진 옷 설빔>>에 이어 나온 책이라 해서 꼭 한 번 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인형같은 두 아이 만나면 눈이 행복해 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우난골족 우리시 그림책 9
백석 지음, 홍성찬 그림 / 창비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우난골족이란? - 여우가 나온 골짜기라는 이름의 마을 부근에 살고 있는 일가 친척들을 이르는 말이랍니다.

명절날 온 가족이 모인 떠들썩한 그 분위기. 어른들의 어린 시절이 아마 그러지 않았을까요? 특히, 시골마을에서 할아버지댁에 모인 할아버지의 자녀들, 즉, 나의 고모들과 삼촌 혹은 큰아버지, 작은아버지, 그리고 사촌 형제들! 엄마들은 엄마들대로 음식을 하느라 바쁘시고, 아이들은 아이들대로 놀이를 하느라 바쁘고. 하늘에는 눈이 내리고. 아마 그 명절은 설이겠지요?

그림풍도 아이들의 눈보다는 어른들의 시선에 더 가깝게 느껴집니다.

(사)행복한 아침독서에서 읽어주는 책으로 먼저 만났던 이 책을 드디어 펼쳐 들어 그림까지 하나하나 짚어 보았습니다. (http://www.morningreading.org/readingbook/list.html)

어른들에게 아련한 추억을 선사할 그림책이라 여겨집니다. 아이들에게는 특히 도시의 아이들에게는 어쩜 조금은 낯선 풍경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이 책 한 권으로 어른들의 어린시절의 명절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세대간의 의사소통 수단이 될 수도 있으리라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훨훨 간다 옛날옛적에 1
김용철 그림, 권정생 글 / 국민서관 / 200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급 장기자랑 시간이 되면 가끔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겠다고 나서는 아이가 있다. 그리고는 바보 이야기를 시작한다. 길을 가다가 얻어 들은 단어를 계속 반복 하다가 결국 그 단어들로 인해 도둑을 물리치거나, 선생님을 골탕 먹이거나... 주위는 소란하고 이야기는 흩어져 집중 할 수 없는데 웃기는 것은 듣는 아이들이 재밌다고 웃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 하는 아이가 저 혼자 재밌다고 웃으면서 이야기 하느라 제대로 이야기를 못한다는 거다.

이 이야기는 아이들이 하는 그런 이야기류와 통한다.

밭일 하는 할아버지, 길쌈 하는 할머니. 할아버지가 돌아오자 할머니는 할아버지에게 이야기 한 자락을 해 달라고 부탁하지만, 아는 이야기가 없는 할아버지는 이야기를 해 줄 수 없다. 그러자 할머니는 "무명 한 필과 이야기 한 자리를 바꿔 오세요."하고 말한다. 할아버지가 하루종일 장에 앉아서 무명 한 필을 팔아보려고 하지만, 이야기 한 자리를 주고 사 가려는 사람은 찾아 볼 수 없다. 돌아 오는 길에 빨간 코 농부 아저씨를 만나 드디어 이야기를 얻게 되는데... 짓궂은 농부아저씨는 마침 지나가는 황새의 몸놀림을 보고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들려 주고, 할아버지는 그 이야기를 외워 할머니에게 들려준다.

"훨훨 온다. 성큼성큼 걷는다. 기웃기웃 살핀다. 콕 집어 먹는다. 예끼 이놈, 훨훨 간다."

마침 도둑님이 이 집에 납시고,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이야기 소리에 깜짝깜짝 놀라서(배고파서 누룽지 집어 먹다 야단치는 소리에도 놀라고.) 이 집에는 보통 사람이 사는 게 아닌가 보다며 달아 났다는 이야기.

할머니와 할아버지는 도둑이 들어왔다는 사실 조차도 모르고 얼마나 재미있게 이야기를 나누시며 좋아하시는지.

권정생 선생님이 들려주시는 옛날 이야기 한 자락. 재미있는 그림과 함께 즐감 하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씨실 날실 전통문화 그림책 솔거나라 8
주강현 지음, 안정의 인형제작 / 보림 / 1995년 12월
평점 :
품절


머리에 좌악 잘 정리가 되도록 적혀져 있다.

씨아, 고치, 물레, 베틀, 날실, 북, 씨실 등의 의미를 알 수 있고, 목화에서 솜을 얻어 솜을 타서 고치를 만들고 그리고 베틀에 날실을 올리고 북을 만들어 씨실을 날실 사이로 통과하여 옷감을 만들고 그렇게 만들어진 옷감을 이용하여 옷을 만든다는 과정을 요즘 아이들이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 나 또한 그러한 과정을 눈으로 한 번도 본 적이 없어 이해가 힘든데 이 책을 통해 하나하나 짚어 볼 수 있어 참 좋다.

목화의 열매가 다래라는 것도 나와 있는데, 어릴 때 국민학교(초등학교) 교정 실습실 같은 곳에 목화가 심어 져 있어 솜이 복실복실 보였던 기억이 아주 어렴풋이 난다, 이 책을 보니 말이다. 책을 통해서나마 우리 전통을 이해할 수 있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