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꿈꾸는 기적 : 인빅터스 - Invictus
영화
평점 :
상영종료


관람객 10명 정도에 하루 한 번 상영하고 있는 영화를 보고 왔다. 원제로는  Invictusf라는 영화다.  줄거리는 생략하련다. 

다만 만델라가 감옥에서 즐겨 암송했다는 이 한 편의 시를 기억하고자 한다. 

라틴어 invictus는 unconquered의 뜻으로 '굴복하지 않는'이라는 뜻이란다. 이 시를 쓴 사람은 William Ernest Henley(1849-1903)라는 영국의 빅토리아 시대 시인으로 영문학도의 교과서인 The Norton Anthology에도 실려있다. (처음부터 알았던 건 절대 아니고 나중에 영화를 보고와서 찾아보니 있더라는 얘기. 그것도 모르고 인터넷 검색만 열심히 했다.) 

이 영화도 영화지만 이 시인에게도 흥미가 가는데....12세 때 결핵(tuberculosis of the bone)을 앓았는데 점차 그 병이 발까지 진행되어 끝내는 한 다리를 무릎 아래까지 절단해야만 했다고 한다. 25세 때였다. 1867년에는 Oxford에 들어갔고 이 시를 병원 침대에 누워서 쓴 것은 1875년이었다. 53세에 숨을 거두기까지 한 쪽 다리로 active한 삶을 영위했다고 한다. 

시 전문은 다음과 같다. 

Out of the night that covers me, 

Black as the pit from pole to pole. 

I thank whatever gods may be 

For my unconquerable soul.  

 

In the fell clutch of circumstance 

 I have not winced nor cried aloud. 

Under the bludgeoning of chance 

My head is bloody, but unbowed. 

 

Beyond this place of wrath and tears 

Looms but the Horror of the shade, 

And yet the menace of the years 

Finds and shall find me unafraid. 

 

It matters not how strait the gate, 

How charged with punishments the scroll, 

I am the master of my fate: 

I am the captain of my soul.

 마지막 두 문장의 의미만 확실히 알아도 될 것 같은 시이다. 나는 내 운명의 주인이다....이 영화는, 그래서, 몸으로 실천한 만델라이기에 감동적이다.

 

 *여기저기 검색하다가 재밌는 게 눈에 들어왔다. 

http://en.wikipedia.org/wiki/Invictus_(film

예를 들면, 만델라가 대만 방문 중이었을 때 회의실 이름이 대만에서 쓰는 한자인 번체자(우리도 이것을 사용하고 있다)가 아니라 중국에서 쓰는 간체자로 되어 있다는 식의, 사실과 다른 부분들을 열거하고 있다. 세상엔 똑똑하고 섬세한 사람들이 많다고나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런던 미술 수업 - 한 젊은 아트컨설턴트가 체험한 런던 미술현장
최선희 지음 / 아트북스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과장되지도 않고 그렇다고 지나치게 겸손 떠는 것도 아닌 글에 신뢰감이 생긴다. 이 책이 그렇다. 뒷 표지에 적힌 " 학위도, 경력도, '빽'도 없었다. 하지만 그림이 미치도록 좋았다!"는 과격(?)하고 거친 표현이 유일하게 눈에 거슬리긴 하지만. 

미술을 전공하지 않았던 지은이가 미술을 만나 생각지도 못했던 길로 접어들어 살아가는 이야기를 흥미롭게 잘 읽었다. 화가에 대한, 혹은 미술계 사람들에 대한 적당한 소개와 정보도 유익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화가에 대한 이야기를 읽으면서 떠오른 생각- 에세이라는 장르에서도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정도의 정보가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잠시. 

그래서 알게 된 샤반이라는 화가. 

(105쪽)...샤반은 그간 서양 미술사에서 한 줄이나 다뤄질까 말까 할 정도로 심하게 과소평가되었지만, 사실은 피카소, 마티스, 쇠라, 고갱과 같이 서양 근현대 미술사에 이름을 남긴 상징주의와 나비파 화가들이 샤반에게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었다. 샤반의 이름이 미술사에서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은 것은 그가 어떤 특정한 '주의'라는 사조 안에 함께 묶일 수 없는 자신만의 독특한 화풍을 지녔기 때문이다...후기인상파 화가들 중 샤반에게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화가는 조르주 쇠라이다....폴 고갱은 쇠라에 비해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어떻게 보면 더 깊은 영향을 받은 화가이다...이렇게 1880년대에 유럽에서 새롭게 유행한 상징주의 그립들은 샤반의 존재를 무시하고는 제대로 이해할 수가 없다...피카소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피카소의 청색시대나 장밋빛시대 작품들이 샤반의 화풍에 가까이 다가가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한다. 

중국의 현대 작가, 쟝 샤오강과 웨 민쥔- 쟝 샤오강이 회화 요소를 강조하고 개인의 내면세계를 세련된 기법으로 그리는 쓰촨 분지 화가들을 대표한다면, 웨 민쥔은 정치적인 메시지를 강하게 담아내는 베이징 화가들을 대표한다. 웨 민쥔의 트레이드마크는 '웃음'이다. (279)

언젠가 전시회에서 보았던 얼굴 큰 남자의 꽉 찬 웃음이 인상적이었던 작품이 아마도 웨 민쥔의 작품이었던 듯싶다. 가물가물한 기억.  

내 세계가 될 수 없었던 그림판의 세상, 은 내게는 늘 짝사랑과도 같다. 한 때 그림에 뜻을 두었다는 게 평생 이렇게 미련으로 남아 있다니, 새삼 내 미련스러움에 원망과 한숨이 서린다. 이제와서.. 

이 책을 읽는 것은 그래서 즐거움과 동시에 아픔을 동반한다. 가지 못한 길에 대한 원망이랄까. 미술계를 하나 하나 알아가고 세계를 넓혀가는 지은이가 그래서 몹시 부러웠다. 지식과 안목이 축적되어 삶이 넓게 그리고 깊게 펼쳐지는 인생이란 얼마나 황홀한가. 

데미언 허스트- 영국 현대 미술의 거장으로 '신'적인 존재라는 사람. 그가 말하는 현대 예술이란? "이야기를 하는 거다. 모든 예술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야기를 하는 방법은 아주 많다. 하지만 어려운 것은 자신이 어떤 이야기를 하고 싶은지 아는 것이다. 일단 이야기하고 싶은 게 생기면 그것을 들려주는 방법은 무궁무진하다."(379) 

지은이의 다음 책을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의신 해금소리 : Moon In The Clouds
성의신 연주 / 드림비트 / 200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9년...벌써 작년이다...성탄절 연휴 때 가족과 함께 남녂을 다녀왔다. 원목적지는 봉하마을이었다. 유난히도 운명을 달리한 분들이 많았던 한해를 마감하며 나름대로 한 해를 마무리하는 의미에서였다, 구태여 의미를 부여하자면. 

김수환추기경, 화가 김점선, 영문학자 장영희, 전 대통령 노무현,김대중, 마리클 잭슨(지난 여름 홍콩에 갔을 때 거리에 내걸린 모니터에선 온통 마이클 잭슨의 영상물로 그의 죽음을 애도하고 있었다)...그리고 우리 친구인 최영철 선생님까지. 

부엉이 바위를 휴대폰에 담으며 조용히 숨 죽이며 서 있다가 잠시 산책로를 한바퀴 돌아서 내려왔다. 조용한 시골 마을에서의 여생도 허락지 않는 이 정권의 야만성에 치를 떨 뿐이었다. 

다음 날, 올라오는 길에 잠시 해인사에 들렀다. 초입에 있는 가로수가 우선 눈에 들어왔다. 이젠 나무가 눈에 들어온다. 나무가 말을 걸어온다. 그러나 말 뜻을 헤아리기에는 아직 이른듯 바삐 해인사 경내에 들어선다. 

해인사는, 두어 번 와 본 곳이지만 매번 감상이 다르다. 품이 넉넉해서일까. 아쉬움에 불교용품점에 들러 cd 한 장을 집어든다. 성의신의 <구름에 흐르는 달 Moon in the Clouds>이다. 뉴에이지 의 해금연주이다. 

해금이라는 악기는 보면 볼수록 매력적이다. 전통 국악이건 서양 악기건 어울려 놀려고 마음 먹으면 어떤 장르하고도 어떤 악기하고도 어울릴 수 있는 악기이지 싶다.  

이제야 내 눈에 나무가 들어오듯, 이제야 해금이 내 시야에 잡히기 시작했다. 생애 처음으로 구입하는 악기가 해금이 되었고 두어 달 레슨이란 것도 받아보았다. 그러나 역시 듣기가 훨씬 편하다는 걸 깨닫는 데는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다. 별로 슬프지는 않다. 그래도 해금이 내 손에 들려있으니까. 

5촌인 조카 녀석이  고입을 앞두고 해금을 공부하고 있다고해서 얼마나 반가웠는지 몰랐다. 음대 출신 하나 없는 집안에 드디어 인물이 생기는가 싶었다. 그런데 예고 지망했다가 탈락해서 그냥 일반계 고등학교로 진학할 예정이며 해금은 그저 "고급 취미"로 남게 되었다고 한다. 해금 연주하는 사람들이 그렇게 많을까 싶다가, '나도 해금 배우겠다고 설쳤는데' 하는 생각이 들자 피식 웃음이 나왔다. 

하여튼 성의신의 이 음반. 솔직히 마음에 들지는 않는다. 너무 매끄럽고 곡마다 이름만 다르지 모두 거기서 거기 같다. 아둔한 내 탓이 크다. 

어쨌거나 해금은 계속 들어볼 일이며 관심을 기울일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블랙 - Black
영화
평점 :
상영종료


헬렌켈러 이야기를 다룬 영화를 흑백 텔레비전으로 보았었다, 아주 오래전에. 인상적인 장면은 헬렌켈러가 '물'(water)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깨닫는 순간 어둠을 뚫고 세상의 빛을 보기 시작했던 장면이었다. 오래전에 본 것이라서 그 장면만이 유일하게 기억되는 부분이기도하다. 

이 <블랙>이라는 영화는 말하자면 인도판 헬렌켈러 이야기이다. 역시 '물'의 의미를 통해 세상의 빛을 깨닫게 된다는 부분까지는 앞서의 헬렌켈러 이야기와 그다지 다르지 않은 것 같다. 그 이후부터는 인도 특유의 신파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눈물샘을 마구마구 자극한다. 신파조라는 게 그렇잖은가. 결말이 뻔히 보이고 대사 또한 뻔하다는 것. 그걸 뻔히 알면서도 눈물에 젖어 이 영화를 보지 않을 수 없었다. 

얼마전 인도 영화가 개봉되었다고해서 적잖이 기대하고 있었다. 춤과 노래가 곁들여진 인도 볼리우드 영화는 보면 볼수록 영화에 몰입하게 되는 묘한 매력이 있다. 밑에 깔린 복선조차도 허접하게 드러나기 일쑤지만 그래도 춤과 노래가 있는 인도 영화는 세상사와는 유리된 뭔가 아늑하고 포근한 편안함과 즐거움을 준다. 인도 서민들이 영화에 빠져들듯 나 또한 영화에 빠져들곤한다. 그래서 이 <블랙>이라는 영화가 무척 궁금했었다. 

기대했던 춤과 노래는 없었다. 하다못해 배경 음악으로 타블라 소리 한 번 들리지 않았다. 등장인물만 인도인이지 배경이나 다른 무엇도 인도와는 전혀 관계없는 것들 뿐이다. 그럼에도 이 영화는 무지 인도스럽다. 과연 인도는 카피(copy)의 대국답다. 인도 특유의 신파조로 완성시켰으니 말이다.  

아쉬운 게 하나 있다면, 이 영화를 인도 현지에서 인도인들에 섞여서 보았으면 어떠했을까,하는 생각이 드는거다. 밋밋하게 보고 있는 사람들 속에서 시종일관 눈물에 젖어 보고 있자니 좀 뭣하기도하고. 언제부턴가 서커스를 보고 있으면 눈물이 나더니 이제는 신파조 영화를 봐도 자꾸 눈물이 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스 SE - 아웃케이스 없음
존 카니 감독, 글렌 한사드 외 출연 / 아인스엠앤엠(구 태원)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오늘은 토요일. 3,4교시는 적응활동 및 자치활동 시간이다. 옆 반에서는 부침개며 떡볶이며 뭘 해먹느냐고 야단들이다. 

"우리도 뭐 해먹어요." 

"흠, 너희들은 말야, 영양 결핍 상태가 아니거든. 영양 과잉 상태야. 그래서 먹는 건 좀 참아줘." 

한 마디로 제압(?)하고, 아이들의 마지못한 환희 속에 보여준 영화가 이 <once>였다. 

줄거리는 생략. 

평소 헐리우드 영화에 심하게 중독된 아이들에게 이런 류의 영화는 잘 먹히지 않는다. 초반의 흥미에서 서서히 멀어져가는, 아니 꺼져가는 아이들의 관심과 호기심을 끝까지 붙들고 있자니 여간 인내심이 필요한 게 아니다. 그래도 끝까지 보게 했다. 

영화가 드디어 끝났다. 반응? 없었다. 어서 집에 가잔다. 

once의 의미를 아이들이 한번쯤 생각해볼까? 한 순간의 사랑. 그런 사랑 한 번 해봤어. 음, 한 때였지. 한 순간이었어. 옛날 얘기야. 한 때 그랬어....그래서 애절하고 여운이 길게 남는다는 것을. 그 한 순간의 사랑의 의미를 아이들이 이해할 수 있을까? 언젠가 기억해줄까? 

아이들에게 공부란, 콩나물에 물 주는 거라는 말에 늘 공감을 한다. 콩나물에 뿌려주는 물은 절대로 그대로 고여 있지 않는다. 물이 훑고 지나가면 콩나물이 자라듯이 아이들에게 공부라는 것도 결국은 아이들에게 물을 뿌려주는 것이다. 고이지는 않지만 그 물을 먹고 성장한다. (단 썩지 않게 주어야 한다. 옆에 있는 딸아이가 덧붙이는 말.)

영화 한 편으로 두 시간을 때우며 애써 자위하는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