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정벌레 왕국의 여행자 자연과 인간 1
한영식 지음, 이승일 사진 / 사이언스북스 / 200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연은 그 자체만으로도 인간에게 평안함을 안겨 준다. 자연 속에는 인간을 비롯한 수많은 삶들이 담겨있다. 이들은 제각기의 삶을 영위하지만 결과적으로는 더불어 사는 삶 속에서 생명을 보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아름다운 생명의 시작과 끝을 인간은 모르거나 또는 무시하며 살아 왔다고 볼 수 있다. 모처럼 이러한 자연의 생명을 인식할 수 있는 책이 발간되었는데 이 책에서는 우리 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200여종의 딱정벌레라는 한정된 대상을 미시적으로 관찰하며 자연에서의 삶의 고귀함을 인간에게 알려주고 있다.

 저자는 딱정벌레 연구에만 10여년을 메달려 살아왔다. 그리고 이 책에서 자신이 그동안 관찰했던 딱정벌레를 아낌없이 쏟아내고 있다. 한편으로 저자는 단순히 곤충이라는 지협적 사고로 딱정벌레를 다루지는 않았다. 점심시간을 맞아 빌딩에서 쏟아져 나와 각기 제 입맛에 맞는 먹거리를 찾아 식당을 찾는 인간에 빗대어 곤충들의 먹이찾기를 설명한다던가, 지역적으로 유명한 먹거리가 있어 그 유명세를 쫒듯 곤충이 쫒는 먹이도 있다....는 식으로 인간과 곤충의 동질성을 함께 논하고 있다. 그리고 저자는 채집 대상 곤충을 어떻게 포획하는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하므로써 단지 책으로 보고 끝나는것이 아니라 독자 스스로도 저자와 같은 곤충 채집에 관여해 주기를 은근히 바라고 있다. 한마디로 저자는 곤충채집을 위해 망사로 된 잠자리채를 들고 뛰어다니던 어릴적으로 독자들을 회귀시키고 있다 할것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딱정벌레를 분류하며 그 서식환경에 따라 땅, 꽃, 잎, 나무, 물속, 밤하늘(야간)로 구분하여 그들의 생활 형태나 먹이, 습성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특히 200여종의 딱정벌레 각각의 습성이 어떠한가를 상세히 설명 할 수 있다는 것은 그만큼 저자가 세밀하고 끈질기게 관찰을 해 왔음을 말해준다 할것이다. 그리고 곤충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곤충과 연계하여 설명하므로서 그 곤충을 쉽게 떠올리게 하고 있다.(풀잎위의 다이빙 선수, 치어리더, 비단 마후라를 두른 비행사, 나무위의 장갑차 등등) 그러나 저자는 자신의 경험을 예로 들며 과일에 붙어 있는 노린재를 먹었다던가 하여 인간과 함께하는 곤충임을 잊지않기를 바라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인간과 함께 공생하는 곤중의 수난에 대해서도 저자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 야간에 주유소의 밝은 불이 곤충이 모여들게 되는 환경이며 이로 말미암아 많은 곤충이 죽어가고 있음을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 특히 멸종 위험이 있는 곤충들의 안타까운 죽음은 우리 산하에 살고 있는 곤충의 멸종이라는 결과를 가져 올 수 있기에 읽는이로 하여금 보호해야 되겠다는 마음의 다짐을 불러 일으키는 자연 사랑의 마음도 함께 심어주고 있다. 한편으로는 생물학을 전공한 저자가 곤충과 가까와지는 계기가 무엇이었나를 간간이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 마치도 머릿속은 곤충의 세계를 담은 영화를 보고 있는듯 하다. 그 정도로 저자는 딱정벌레와 함께 하며 그들의 일거수 일투족을 모두 머릿속에 담고 있다. 벌레라는 관념에서 벗어나 그들과 친구가 되어 살면서 그들의 사고가 무엇인지를 명확히 알아내어 전해주고 있는 것이다. 그들이 어떤 사고를 가지고 있는지 알기 때문에 그들의 몸짓 하나 하나가 뜻하는바가 무엇인지를 상세히 설명해 줄 수 있는 것이다. 한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이렇게 인간 주변에서 인간과 함께 하는 딱정벌레들을 인간이 어떻게 해야 더불어 살 수 있나에 대한 부분의 설명이 부족했다는 점인데 이는 자연보호와 병행하여 딱정벌레들이 살며 그 종의 번식을 위한 환경보존과 마련에 힘을 쓰며, 인간 주변에서 살아가는 곤충의 측면에서가 아니라 인간이 곤충을 곁에 두며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인식과 자연과의 교감이 중요하기 때문인 것이다. 모처럼 인간과 자연이 하나됨을 알게 해주는 좋은 책을 골른것 같아 기분이 좋아진다.

                                     < 如       村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금요일에 떠나는 여행 100배 즐기기
중앙M&B 편집부 엮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3년 4월
평점 :
품절


  이제 7월부터는 정부도 월 2회 격주 토요휴무제를 시행한다고 한다. 본격적인 금요 주말제도의 정착을 앞둔 시험인것인데 시험을 떠나 금요 주말제는 시대가 요구하는 근무행태로 받아들여야 할것이다. 이 책은 이런 의미에서 '금요일'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 책이 비교적 큰 규모를 자랑하는 중앙 M&B라는 미디어계통에서 출간되는 '우리 나라 100배 즐기기'시리즈의 첫번 째 출간물임에도 몇 가지 잘못 된 점을 담고 있다. 이 책의 부제는 '1박 2일 테마여행'이며 책의 제목과 같다면 여행은 금요일 밤에 떠나 하룻밤을 묵고 토요일날 돌아온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 그렇다면 일요일에 대한 배려는 없는 셈이다. 또 '금쪽같이 소중한 금요일'이라는 표현을 했음에도 '1박 2일테마여행'이라는 부제를 달아 마치 금요일과 토요일의 여행을 이야기 하는듯 하다. 이러한 표현은 금요주말제에 맞춘 출판사의 기획의도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비록 제목의 멋드러짐도 중요하지만 제목과 내용의 일치도 중요한 문제임을 먼저 지적하고 싶다. 자칫하면 좋은 책의 제목만 믿고 선택하는 잘못을 독자에게 남기기 때문이다.

  이 책은 모두 6개의 Theme로 구성되어 있다.각 테마는 나름대로 이 책이 선정한 지역의 특성이 테마와 어울리도록 상당한 배려를 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설령 테마에 집어 넣기 위함일지는 몰라도 너무 테마에 국한하고자 해서인지 테마 이외의 볼거리는 모두 뭍혀버리고 말았다. 한편으로는 책에 서술된 나름대로의 문체는 인간이 내포하고 있는 서정성에 호소하고픈 느낌을 담고 있다고 보겠으나 그 범위는 지극히 좁아 서정성도 아니고 직접 찾아가며 독자가 느낄 수 있는 여지를 남긴것도 아니다. 예를 들어 p017의 중간 쯤에 "좁다란 골목길을 만날 수 있어 좋다"라고 쓰고 있는데 그 좁다란 골목길이 어떤 의미를 담고 있기에 좋다는 것인지...그것이 옛 길을 더듬는 추억으로의 여행인지 아니면 호젓한 데이트 길인지, 또는 저녁을 마치고 바람을 쐴 수 있는 선책길인지...애매모호하고 내용이 없는 표현이 아닐까 한다.

  이 책을 구입하며 나름대로 "금요일에 떠나는 여행"이라는 제목에 기대가 컷던 탓일까? 읽어갈수록 기대보다는 내용에 실망을 하게 됨을 느끼게 된다. 각 테마별로 몇 개씩의 장소를 선택하고 그 지역에서 여행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음식점(food), 잠자리(sleeping), 볼거리(place),  cafe 등에 대한 소개도 담았으나 지극히 제한되었으며, 그 지역에 무수히 많은 다른 장소들은 전부 무시되어 언급되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고 이 책에서 제공하는 장소들이 최고의 명소라면 몰라도 그렇지 않음은 자칫하면 이 책의 제작자의 제작의도에 의심을 가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그리고 이 책의 독자층이 어떤 계층일까도 고려를 했어야 하는데 이 책은 '웰빙'을 목적으로 했는가? 라는 갸우뚱거림을 만들게 한다.

  이 책을 폄하한다거나 내용에 대해 구태어 잘잘못을 논하고자 하는것은 아니다. 이 책이 선정한 6개의 테마에 담긴 지역들은 나름대로 누구나 가보고 싶은 지역들이다. 또, 실제 이 책에 따라 그곳에 간다 하더라도 그곳에서 느끼는 것은 바로 여행자의 몫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여행자에게 저자가 느끼는 감성만을 강요하는 느낌이 강하게 든다. 이 책 P031에서 처럼 원당종마목장의 분위기를 알퐁스 도테의 소설 "별"의 낭만적 분위기와 비유한다는 것은 넌쎈스다. 이러한 넌쎈스는 이 책의 구석구석에 널려있어 거슬린다.

  그렇더라도 금요주말제를 맞아 여행을 계획해보자. 비단 이 책의 내용이 조금은 엉성하더라도 이 책이 선정한 장소는 나름대로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기에 그곳에서 이 책에 서술하고 있는 내용과는 다른 진정한 자연의 느낌을 느껴보자. 그 느낌과 이 책에서 말하는 느낌이 얼마나 다른지...또는 동일한 느낌인지도 비교해 보자. 이 책이 담고 있는 의미는 그 내용을 떠나 주말을 맞아 가족이나 연인들이 자연과 함께 할 수 있는 마음의 준비와 기회를 가질수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싶다.

                                < 如       村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한시:여류시편 - 제3권
김달진 / 민음사 / 1989년 10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구입한지는 꽤 오래 되었다. 구입 당시에는 밤이 새는지도 모르고 한시가 주는 매력에 빠졌던 기억이 있는데, 오늘 책장에서 우연히도 굵은 제목이 눈에 띄어 다시 집어들게 되었다. <한국漢詩> 3권은 여류시인의 작품을 묶은 책인데,  이 책의 譯者인 故김달진 선생은 오랜 동안을 동국역경원에서 한문으로된 불경의 한국어 번역을 위해 노력해오신 시인으로 바로 이 책의 출간을 앞두고 세상을 떠나셨다.

  한글은 다양한 표현기법에 있어 프랑스어보다 훨씬 사물의 표현을 위한 수식어가 많은 우수한 글자로 알려져 있다. 이 책은 한문으로 된 詩를 우리 말로 번역한 것인데 순수 한글로 이루어진 싯귀보다 훨씬 속에 담긴 깊은 내용이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그것은 뜻글인 한문이 같는 하나의 장점이 될것이지만 그런 한문을 우리 글로 譯解함에 있어 얼마나 감미롭고 다양하게 풀 수 있는지...새삼 우리 한글의 다양한 표현 가능성에 감탄을 할 따름이다.

  이 책에 수록된 작품의 저자는 신사임당 처럼 잘 알려진 여류 시인이 있는가 하면 전혀 알려져 있지 않은 규방 작가의 작품이 다수 소개되고 있는데 당시의 여인네들이 같은 정서는 물론이고 그네들이 가졌던 사랑과 이별의 애절함을 어떻게 표현하였나를 알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네들의 시를 통하여 현대의 여성과는 어떤 사고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해 준다.

  羅 衫 (비단 적삼)

醉客挽羅衫   술 취한 손님이 비단 적삼을 잡아 당겨

羅衫隨手裂   그바람에 그 손길 따라 비단적삼 찢어졌네

不惜一羅衫   비단적삼 한 벌이야 아까울것 없지만은

但恐思情絶   그 사람과의 은정이 끊어질까 두려워할 뿐....

위의 詩에서 말하듯 직접적인 표현을 쓰지 않고 은근한 표현으로 사랑의 단절을 안타까워 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조선시대의 여인네들이 갖고 있는 사랑과 기다림에 따르는 애절함을 한자라는 뜻글을 빌어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를 잘 알 수 있게 해 주고 있다.

  이 책에 실린 한시를 보면서 대부분의 한시가 7언절구로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는데 단 7자의 한자를 사용하여 자신의 가슴속에 담긴 안타까움을 토로할 수 있었던 규방 아낙의 숨은 능력이 놀랍고, 지금처럼 톡톡 튀지는 않더라도 아낙네들은 나름대로 규방문학이라는 하나의 장르를 개척했던 만큼의 다양한 문학적 소질을 가지고 있었다고도 볼 것이다. 한편으로는 이 책의 내용을 하나 하나 읽어 가면서 오히려 현대의 사랑을 전하는 메시지보다 훨씬 강력하고 은근한 메시지를 전하려고 노력했던 흔적을 엿 볼 수 있다.

 책의 구성은 작가별로 제목을 나열하고 번역을 먼저 싣고 원문을 배열하였으며, 밑에는 註를 달아 읽는이의 이해를 돕고 있다. 그리고 권말 부록으로는 <한국漢詩> 의 3권째 마지막권으로 작가소개를 달고 있다.  7언, 또는 5언으로 이루어진 짧은 漢詩지만 그 시가 담고 있는 속뜻이 참으로 애절하고, 한편으로는 이 시를 쓴 여인네들의 심정을 헤아리며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는 알려지지 않은 규방문학의 번역서라 할 것이다.

                                                                                                 < 如        村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국고대 불사리장엄 연구
주경미 지음 / 일지사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부처의 입멸후 남긴 뼈가 갖는 의미가 무엇이기에 불가에서는 불사리(佛舍利)라고 하여 애지중지 하는 것일까? 인도의 장례풍습은 風葬과 새가 죽은 육신을 쪼아 먹도록 하는 방식, 그리고 화장 방식 등으로 단지 骨과 肉의 분리를 추구할 따름이며 이에 따라 부처의 입멸후 남은 뼈는 결국은 마른 뼈다귀인 고골(枯骨)에 지나지 않음에도 주변 8개국의 사리 쟁탈전이 발생하게 된 원인이 무엇이며 8만 4천이라는 탑을 만들게 되는 이유가 무엇일까?

  이 책은 이러한 불사리에 관한 원초적인 물음과 그 불사리를 어떻한 방식으로 모셔 왔는가에 대하여 그 시원인 인도로 거슬러 올라가 중국에 까지 유입되게 된 경로와 불사리를 담는 용기인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를 다룬 저자 주경미의 박사학위 논문을 근저로 편집한 책이다. 이 책이 갖는 의미는 우리의 탑속에 봉안된 사리도 결국은 인도와 중국을 거쳐 우리 나라에 자연스럽게 전파된 불사리 신앙이 어떻게 정착이 되었는가에 대한 해답과 더불어 우리 나라에서 발견되는 사리장엄구의 형태나 양식이 중국으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았나를 가늠할 수 있게 해 주고 있는 것이다.

  저자는 중국에 불교가 유입된 2세기경의 초기 전파 과정에서 사리가 갖는 여러 가지 특이한 현상(神異현상)이 어떻게 문헌에 기술되고 있는가를 검토하였으며 초기 전도과정에서의 확실한 신앙을 위한 사리가 갖는 제반 사항을 설명하고, 중국의 새로운 종교로서의 불교가 기존에 중국에 널리 퍼져 있던 도교 사상과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초기 불교의 전래과정에서 마른 뼈다귀에 지나지 않는 불사리가 갖는 영험함을 사실, 또는 과장하므로써 기존의 종교인 도교로 파고들게 되는것이다.

  한편으로는 당나라의 측천무후시대에 황실의 비호아래 활발하게 성행했던 불사리 봉송 행사가 중국 西安의 法門寺 塔의 붕괴로 1300년 동안의 지하궁전에 담긴 비밀이 만천하에 드러나며 지하에 안치되어 있던 부처의 指骨사리(부처의 손가락뼈)가 어떤 형태로 모셔져 있는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함께하고 있어 우리 나라에서 발견된 사리장엄구가 중국으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았는가를 알 수 있게 해 준다. 특히 당시 당나라에 유학중이던 자장율사가 귀국하여 신라 감은사탑에 봉안하는데 관여하였던 감은사 사리기와의 양식과 형태의 유사성도 짐작할 수 있게 해 준다.

  중국에서 발견된 불사리장엄구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다양함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가에 대한 해답으로 저자는 "다라니경"이라는 밀교적 경전의 번역에 따라 쉽게 구할 수 없는 부처의 사리 대신 "다라니경"이나 "인조 사리"인 보석류 등을 탑속에 매납하게 된 경위를 설명하고 부처의 사리를 안치하는 방법이 지하궁전, 탑속, 그리고 일반적으로 전각에서 쉽게 볼 수 있도록 했던 3가지 유형의 안치형태를 설명하고 있다.

  마지막 부분에는 이러한 중국의 불사리 신앙이 우리 나라에 미친 영향과 우리 나라의 사리 장엄구에 대하여 언급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대한 중국의 사리기에 관한 연구를 한국 학자가 행하였다는것은 무척 놀라운 일이며, 저자 주경미 박사의 논문도 상당히 방대하였음은 저자의 중국 사리기에 대한 깊은 연구를 통하여 우리의 사리기가 중국의 사리기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아 발전하였는지를 알게 해주는가를 알 수 있게 해 주고 있다.

  우리 나라의 사리장엄구에 대한 연구는 방대한 실물사료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극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사리장엄구의 시원과 그 유입경로에 따르는 변화과정을 先習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그나마 발표되는 우리의 사리장엄구 관련 연구는 결국은 반쪽짜리 연구로 우물안 개구리식이며 코끼리의 한 부분만 만지고 발표하는 불사리장엄구에 대한 연구 발표가 되는 셈인데, 이 책을 통하여 우리 나라 사리기에 영향을 준 중국 사리기를 상세히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중국의 사례 연구는 앞으로 중국과의 잦은 교류를 통하여 점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고 본다., 이런 의미에서 저자의 도서는 나름대로 중국의 불사리장엄에 대한 첫 연구서로서 우리 나라 불사리 장엄구에 대한 연구자에게는 좋은 자료가 될것이다.

                                                                                              < 如          村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의 금속공예
이호관 / 문예출판사 / 1997년 8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최응천,김연수 共著인 <금속공예>와는 그 방향을 달리하는 우리 금속공예의 대 해설서라고 할 수 있다. <금속공예>에서 다루지 않았던 각 시대별 특성과 공예가 우리 미술의 가장 큰 줄기임을 40여년간 이 분야에 종사해온 저자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는 자료라고 볼 수 있다. 이 책은 우리 나라에 금속제 유물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청동기 시대부터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까지의 각종 금속 용구에 대하여 시대별로 세분하여 설명하고 있어 각 시대가 갖는 금속공예의 특성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모두 18개의 꼭지로 이루어져 있는데 크게는 총론과 우리 나라의 금속공예품,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금속공예의  세 개의 파트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총론은 모두 4개의 꼭지로 우리 나라에서 금속문화가 시작하게된 시기와 금속이 어떻게 우리의 미의식에 담기게 되었나를 설명하고 있으며 주요 재료로 사용되는 金, 銅, 鐵 의 제조 과정과 산지를 밝히고 있으며, 금속공예의 종류와 우리 나라 금속공예에 나타난 문양과 이 문양이 나타나게된 의의를 담고 있으며 이 문양에 상감을 어떻게 했는가를 상세히 밝히고 잇다.

본론격인 한국의 금속공예품에서는 우리 나라에 청동기 문화가 유입된 경로와 가장 주된 청동기 문화의 산물인 요령식(遼寧式) 동검과 청동기 문화의 유입에 관한 제반 說을 논하고 있으며, 머리에 쓰는 의관인 관과 관모를 삼국시대와 가야시대로 구분하여 그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이는 신라 금관을 비롯한 세계 어디에 내 놔도 그 우수성을 인정 받을 수 있는 우리 나라의 금속공예가 갖는 진정한 우수함이 무엇인지를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띠의 부착물인 과대와 허리에 매는 腰佩(요패), 귀거리(耳飾), 팔찌, 목걸이 등의 형태와 공예적 특성, 문양등에 대한 자세한 분석과 설명을 담고 있으며 일반 생활 장신구로 사용되던 비녀나 뒤꽂이, 가락지 , 동곶(비녀와 비슷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머리핀과 같은 역할을 하는 머리 장식용구)등에 대하여 문헌상 나타난 예를 비교하며 설명하여 이해를 돕고 있다. 뿐만아니라 금속 공예품의 제반 종류와 형식에 대해서도 상세히 구분하고 있어 이 분야의 전공자들은 이 책을 통하여 선학의 연구 결과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세 번 째는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금속공예를 다루었는데 범종부문에서는 우리 나라의 범종이 같는 특성과 문양, 또, 각 시대별 양식적 특성을 비교하여 분석하였으며 여기에도 역시 문양이 어떤 형태로 변화가 되었는가를 알 수 있게 하였다.  이 꼭지에서는 범종 이외에도 불교 의식에 사용되는 향그릇이나 향로, 그리고 쇠북, 정병을 비롯한 각종 불구(佛具)를 중국의 양식과 비교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그 정확한 용도나 문양도 첨언해 주고 있다. 사리장엄구를 설명하는 부분에는 사리장엄구의 안치 방법과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여 불사리를 모시기 위한 사리장엄구의 용도와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게 하였고, 그 이외에도 각종 생활에 사용되던 장식용품이나 동경 등에 대한 한국적 특성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각 시대의 발달했던 금속공예술에 대하여는 철의 유입 경로와 일본에 철을 공급하게 된 배경, 금속공예 제작기법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우리 나라의 금속공예의 발달 과정을 한 눈에 알 수 있게 해 주고 있으며, 부록으로는 청동기 유물 출토지 현황, 주요 금속의 산지, 조선시대의 범종과 일본에 있는 우리 나라의 범종목록, 불사리 장엄구의 목록을 싣고 있다.

  이 책은 말 그대로 우리 나라 금속공예품에 대한 개괄서로서의 모든것을 알 수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많은 연구자료를 담고 있다. 그러나 한가지 아쉬운점은 필자도 읽기 어려운 한자를 비롯하여 전반적으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자 위주의 설명으로 이 분야에 종사하고자 하는 학생들이나 일반인들이 읽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을 주고 있다는 점이며, 또 한가지는 책에 사용된 훌륭한 도판이 전부 흑백으로 삽입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은 재판과정을 거치면서 시정되리라 생각되며, 전반적으로는 우리 나라의 금속공예의 발달과정과 금속공예품에 대해 오랜 동안 연구를 해온 저자의 노고가 담긴 훌륭한 개괄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如          村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