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용석 의원 집단모욕죄로 최효종 고소 " 

어제 크게 난 기사다. 개그맨이 개그프로그램에서 개그를 통해 풍자를 했다고 고소를 한단다. 국회의원들을 모욕했단다. 

개그를 개그로 보지 못한다. 이는 자신에게 무언가 걸리는 점이 있다는 얘기다. 우리들도 자신이 당당하면 남 얘기를 웃으며 넘기지만, 자신에게 무언가 약점이 있을 땐 굉장히 화를 내지 않던가. 

그렇게 생각하면 강용석 의원이 개그맨 최효종을 키워주고 있는 셈이다. 

그리고 우리들에게 또 하나의 개그를 선사하고 있는 중이기도 하고. 

김지하의 오적이 생각났다. 그게 언젯적 시이던가. 김지하도 이 시로 꽤나 고생을 했는데... 

오적, ,이렇게 시작한다. 

시를 쓰되 좀스럽게 쓰지 말고 똑 이렇게 쓰럈다.  

그리고 좀 지나면  

으리으리 꽃궁궐에 밤낮으로 풍악이 질펀 떡치는 소리 쿵떡 

예가 바로 재벌, 국회의원, 고급공무원, 장성, 장차관이라 이름하는, 

간뗑이 부어 남산만 하고 목질기기 동탁배꼽 같은 

천하흉폭 오적의 소굴이렸다. 

사람마다 뱃속이 오장육보로 되었으되 

이놈들의 배안에는 큰 황소불알 만한 도둑보가 곁붙어 오장칠보, 

그러다가 

또 한놈이 나온다. 

국회의원 나온다 

곱사같이 굽은 허리, 조조같이 가는 실눈, 

가래끓는 목소리로 응승거리며 나온다  

이렇게 간다. 

하하, 웃으며 넘기기엔 뭔가 이상하다. 

오히려 국회의원들이 최효종에게 우리들을 각성시켜줘서 고맙습니다 하고 감사패를 주어야 하지 않나. 

이 정도 성찰도 하지 못한다면 한 나라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나? 

이런 일이 고소로 간다면 우리나라 문화 수준을 세계에 알리는 일밖에 되지 않을텐데... 

남사스럽다.  

오적, 다시 읽어도 그 오적이 사라지지 않고, 아직도 오적일지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참 끈질기다.

덧말  

1. 오적에서 쓴 국회의원, 장성, 장차관, 재벌, 고급공무원은 한자어가 우리가 알고 있는 한자어가 아니다. 이 한자어 자체에 이미 비꼼이 들어가 있다. 그런데, 여기서는 한자로 옮길 능력이 안된다. 원문을 읽어보면 좋을 듯. 

2. 또 하나 내가 갖고 있는 책은 1985년에 동광출판사에서 나온 오적인데...이걸 찾을 수가 없다. 이미 없어진 책인가? 이 책엔 최루탄가, 오적, 비어, 오행, 앵적가, 아주까리 신풍, 똥바다가 수록되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미 FTA가 처음부터 잘못되었단 생각을 하게 되었는데.. 

다시 또 불거지고 있으니.. 

이 책에서 우석훈이 말했다고 생각되는데... 연봉 6000만원이 넘으면 찬성해도 된다. 다만 6000만원이 안되면 이민 갈 준비를 해라. 또 부부 연봉 합쳐 6000이면 다른 계산이 필요하다. 

연봉 6천만원. 우리나라에서 얼마나 될까. 

소수다. 이런 사람들은 우리나라에서 어떤 지위를 차지하고 있을까? 

일반 서민들의 생활과는 조금 다른 삶을 사는 사람들... 

연봉 6천이란 초과, 철야 노동을 통해서가 아니라, 8시간 노동을 기준으로 했을 때 적용되어야 한다면, 참 적은 사람만이 여기에 속할텐데... 

비준안을 통과시키겠다고 난리다.  

어떻게, 대다수 사람들의 삶에 대해서 걱정을 하지 않고, 이럴 수가 있지. 

이것도 세 부류. 

첫째, 자유무역은 무조건 좋다. 우리나라에 도움이 된다. 해야 한다. 한나라당 의원들과 몇 야당의원, 그리고 자동차 업계 종사자들. 시민사회 단체들 중 보수적이라고 하는 사람들.

둘째, 자유무역은 우리를 가난에 빠뜨리게 된다. 멕시코의 경우를 보라. 이는 우리에게 희망이 아니라 절망이다. 야당의원들 대부분과, 농민, 소자영업자들. 그리고 시민사회 단체에서 진보적이라고 하는 사람들. 

셋째, 자유무역이 뭐야. 그게 나하고 무슨 상관이야 하는 일반 민중들. 정말로 언론의 광고에 그거 좋은거 아냐 왜 반대해 하는 사람들과 반대하는 사람들도 뭐가 있겠지 하지만 뭔지 모르는 사람들. 그래서 관심을 갖지 않는 사람들. 

나는 어디인가? 

나는 이 책의 주장에 공감한다. 자유무역이라는 이름으로 강자가 약자를, 아니 다국적기업이 별 힘 안 들이고, 이윤을 엄청 창출할 수 있는 제도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99%를 위한 사회를 만들자고 월가 반대 시위가 일어나고 있는 지금, 과연 이 한미 FTA는 몇 %를 위한 협정일까?  

적어도 99%를 위한 협정은 아니리라. 이미 피해가 뻔히 보이는 사람들이 많으니 말이다. 그런데도 국민을 대변한다는 국회는 왜 제대로 일을 못할까. 그들은 99%에 들지 않을까? 들지 않나? 

이 책 말고도 많은 책들이 나와 있는데... 국회의원들은 정말 이런 책들을 읽고 토론을 해봤을까? 한 번 비준되면 바꾸기 힘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1월 11일 저녁에 불멸의 투수 최동원이란 방송을 했다. 선동렬과 함께 우리나라를 대표했던 투수. 

그는 어릴 적 우리들의 우상이었다. 그는 그리고 부산 팬들의 우상이었다. 그와 롯데는 뗄 수 없는 존재로 알았는데, 어느 날 그는 삼성으로 트레이드 되고 말았다. 

삼성의 에이스였던 김시진은 롯데로, 최동원은 삼성으로, 그리고 삼성의 간판 타자였던 장효조는 롯데로. 

그 때의 어이없음이란. 

그 당시 트레이드는 쫓겨났다는 표현이 더 어울리는 말이었을 정도로 선수와 팬들에겐 충격이었다. 

프로라면 선수보강을 위해 트레이드가 당연시되는 요즘과는 다른 모습이었는데... 

요즘은 트레이드가 상용화되어 한 팀에서 선수생활을 마감한다는 일이 참 어려운 일이 되었는데... 

이 만화는 바로 프로야구의 뒷모습. 시즌이 끝난 뒤 다음 시즌을 준비하는 과정, 트레이드를 하게 되는 매니저들 이야기다. 

작가가 야구에 관심이 많고, 또 이런 일을 잘 알아, 프로야구 시즌 뒤의 일들을 선수의 입장이 아닌 구단의 입장에서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지 우리가 알 수 있는 만화다. 

재미도 있고, 여러가지 야구 상식도 있으며, 또 보이지 않는 모습을 알 수 있어서, 야구 관중이 600만을 넘긴 요즘, 한 번 볼만한 만화다. 특히 지금은 시즌이 끝나고 내년을 준비하는 기간이 아닌가. 아마도 이 만화를 읽으면 시즌이 끝난 뒤 야구 구단이 얼마나 바쁘게 돌아가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트레이드에 대한 생각도 좀 바뀔 것이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울 월계동 아스팔트에서 방사능이 검출되었다. 

한 때 비행기를 타고 다녀도 방사능에 많이 노출된다고, 비행사들은 극지방으로 비행하는 것을 극히 꺼린다는 말도 있었는데... 이것도 이야기가 되다가 어느 때부터 논의가 종결되었는데...

이젠 아스팔트에서 세슘이 나오다니... 그리고 그 곳엔 집들이 밀집해 있고,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곳이지 않은가? 

시민단체에서는 상당히 위험하다고 하고,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는 인체에는 무해하다고 한다. 누구 말이 맞을까? 

이런 대립은 원자력이 생긴 이래 지속되어온 문제 아니던가.  

원자력이 나온 지 50년이 넘었는데, 이 정도면 임상적으로 결과가 나왔어야 하는데, 세계 여러나라에서 기준이 다 다르고, 이를 의사들이 의학적인 기준으로 제시하는 경우도 드물다. 오히려 원자력 관계자들이 한계치를 정해놓고 있는 상태 아니던가. 

그렇다면 진실은 무엇인가?  

우리가 원자력을 대하는 태도는 세 가지가 있다. 

우선 원자력은 우리에게 반드시 필요한 에너지다. 그리고 원자력 발전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은 긍정적인 점으로 상쇄하고도 남는다. 원자력과 관련된 과학자들, 학자들, 그리고 관계자들. 

둘째, 원자력은 우리가 반드시 없애야 할 괴물이다. 지금 없애지 못하면 후손들에게 부담을 떠넘기게 된다. 원자력의 장점은 부정적인 점을 상쇄하지 못한다. 오히려 장점이 부정적인 면에 비하면 새발의 피에 불과하다. 환경, 생태주의자들. 그리고 일부 원자력을 공부한 과학자들. 

셋째, 뭐가 뭔지 모르겠다. 과학자들이 어련히 알아서 주장하겠나. 하지만 웬지 찜찜하긴 하다. 대다수의 사람들. 

대다수의 사람들이 원자력에 대해서 무관심한 것이 아니라, 몰라서 어떻게 이야기할지 모른다. 대학교육을 70%이상이 받는 우리나라에서 몰라서 못한다는 얘기는 원자력이 그만큼 알기 힘든 존재라는 뜻이기도 하고, 그만큼 정보가 공개되어 있지 않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다행히 서울시에서는 2001년 이후에 공사한 아스팔트는 전수조사하기로 했다는데...  

이제 녹색평론도 성년이 되었다.  

무려 20년 동안 이 잡지가 우리에게 근본적인 문제를 생각하게 해준 공로는 아무리 칭찬해도 모자람이 없다. 이제는 이 잡지가 스스로 서는, 공자 말에 의하면 이립을 향해서 가고 있다. 그만큼 우리 사회에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많이 할 것이라 믿는다. 

이 문제제기를 받아 해결하려는 노력들을 해야 한다. 이미 많이 노력들을 하고 있지만, 특히 농업 분야에서는 개인적인 노력들을 얼마나 많이 했는가. 하지만 이 노력들을 한 방에 거품으로 만들어버리는 정책들이 많으니... 개인적인 노력들에 더하여 정책들을 바꿀 수 있는 노력들도 하여야 한다. 

이 점에 대하여는 이번 호, 배병삼의 글이 좋다.  

유교에서의 정치. 공자가 경제만 생각하는 염유를 파문한 이야기. 우리에게는 진정한 정치가 필요하다는 이야기. 공자를 국민이라고 한다면 염유는? 

그리고 원자력에 관한 이야기. 정말로 우리가 생각해야 할 원자력은 첫 번째 입장도 아니고, 세 번째 입장도 아니지 않을까. 원자력 관계자들, 그리고 정치인들이 이런 책을 읽어야 하는데... 

몸에 유해한 물질이 왜 유해한지 피해자가 입증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그 물질이 어떻게 무해한지를 만든 사람이 입증해야 하듯이, 원자력은 여러 시민단체, 환경단체에서 이래서 유해하다가 아니라, 원자력 관계자들이 이래서 유해하지 않다고 입증해야 할 책임이 있다. 그렇다면 그들은 지금껏 제시된 피해사례들에 대해서 명확하게 해명해야 한다. 

해명하지 못하면 원자력은 유해하다고 봐야 한다. 그게 요즘 원칙 아니던가. 

성년이 된 녹색평론은 원자력은 유해하다고 분명히 선언했다. 그렇담 입증 책임은? 일반 사람이라면 누구나 인정할 수 있는 입증이 되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민식의 사진문고를 보았다. 

사람, 또 얼굴을 중심으로 낸 사진집들 중에서 몇 편을 골라 문고로 낸 책이다. 

사진은1957년 소녀의 사진으로 시작해, 1987년 청년의 사진으로 끝난다. 30년의 삶이 이 작은 사진문고에 들어 있다. 

그는 사진을 통해 이 세상에 따뜻한 온기를 불어넣고 싶다고 했는데, 그의 사진을 보면 없는 사람들, 힘든 사람들에 대한 애정이 느껴진다. 그리고 이 애정은 이들이 아직도 이렇게 힘들게 살게 되는 현실에 대한 분노로 바뀌기도 한다. 

그는 "내 사진은 일상에서 일어나는소소한 사건들에서 비롯된, 일종의 사소설(私小說)에 비유할 수 있겠다."고 했다. 그의 사진에는 우리의 일상이 나타난다. 그런데 이 일상은 저 멀리 우리가 접근할 수 없는 세상에 사는 사람들이 아니라, 우리와 같은 모습으로 사는 사람들, 우리보다 더 낮은 곳에서 사는 사람들의 모습이다. 

이 책에 나온 한 사진, 선거벽보의 사진과 초상화들이 대조를 이루듯이, 최민식의 이 사진문고는 화려하게 치장하고 나오는 텔레비전에 나오는 사람들과 대조를 이룬다. 

사진은 모두 흑백이고, 이 흑백이 삶의 지난함을 오히려 따스함으로 감싸고 있다.  

더 화려하게, 더 예쁘게 꾸미려고 하는 지금, 자신의 본 모습은 사라지고 가식적인, 오로지 남의 눈을 의식하는 모습만 남아있는 삶은 최민식이 포착하려는 현실이 아니다.  

서민들의 삶과는 상관없는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은 신물이 나도록 보아왔다. 우리는 아직도 이 사진에 나오는 삶들과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 그 삶을 가린다고 없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우리 주변의 삶을 바로 볼 수 있게 최민식과 같은 작가의 작품이 자주 보였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