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오동나무'
삶의 터전을 옮기고 첫번째 숲나들이에서 유독 많은 나무를 만났다. '이 나무의 주인은 ○○○입니다. 연락처 ○○○-○○○-○○○○' 주인이 누군가를 표시하는 이름표까지 달고 있는 것으로 보아 누군가 이 나무를 가꾸고 나무가 필요한 사람을 기다리는지도 모르겠다.


오동나무는 우선 꽃으로 반갑다. 봄이 무르익는 5월 말경 가지 끝에 종 모양의 꽃이 연보라색으로 핀다. 모양도 예쁘고 향기도 좋다. 오동나무 꽃은 높은 곳에 매달리기에 자세히 보려면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시골길을 가다 한눈 팔기에 딱 좋은 나무다.


조선 사람 신흠은 '야언野言'에서 "오동은 천년이 지나도 가락을 잃지 않고, 매화는 일생 추워도 향기를 팔지 않는다"라고 했다.


여기서도 보이듯 오동나무는 전통악기 중 현악기를 만드는데 중요한 재료가 된다. 나무의 재질이 가볍고 연하여 가공하기 쉽고 무늬가 아름답고 잘 뒤틀어지지 않는다. 이런 특성으로 소리의 전달력이 좋아 가야금과 거문고의 중요한 재료가 된다.


숲에 들면 나무에 구멍을 내는 새들을 볼 수 있다. 맑고 경쾌한 소리가 나는 것은 대부분 은사시나무나 오동나무같은 재질이 연한 나무들이 대부분이다.


거문고를 공부하는 딸아이가 집에 다니러와 나선 산책길에 오동나무를 보고 집에 심어 나중에 악기를 만들면 어떨까 하는 이야기를 했더니 흥쾌히 그러자고 해서 얼굴에 살그머니 미소가 지어졌다. 거문고 소리의 고상함이 여기에서 온 것일까. '고상'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복수초福壽草'
한 해의 시작을 꽃으로 하는 이들에게 가장 먼저 꽃소식을 전하는 꽃이다. 눈 속에 묻혀서도 꽃을 피우니 꽃 지고난 후 오랜 시간동안 꽃에 대한 그리움을 키워왔던 사람들에 귀하고 반가운 존재가 따로 없다.


한창 추운 겨울 강원도 바닷가 어디쯤에서부터 들려오는 꽃소식에 덩달아 발걸음이 급해지지만 알고 있는 자생지를 몇번이고 찾아가도 여간해서 보여주지 않는다. 그렇게 애만 태우다 무등산에서 올해 첫 눈맞춤을 했다. 발걸음은 급한데 마음은 오히려 느긋하다. 복수초는 한낮에만 꽃잎이 벌어지고 밤에는 꽃잎이 오므라들기에 볕좋은 때가 눈맞춤의 적절한 시간이기 때문이다.


복수초福壽草는 이른 봄 산지에서 눈과 얼음 사이를 뚫고 꽃이 핀다고 하여 '얼음새꽃', '눈새기꽃'이라고 부르며, 중부지방에서는 '복풀'이라고도 부른다고 한다. 복과 장수, 부유와 행복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꽃이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복수초 종류로는 최근 3종류가 보고되고 있는데 제주도에서 자라는'세복수초'와 '개복수초', '복수초'가 있다고 한다.


눈속에 핀 복수초는 보지 못했지만 꽃에 기대어 담아놓은 사람들의 소망인 '영원한 행복'이라는 꽃말을 나누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큰개불알풀'
흔하게 볼 수 없는 것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꽃을 보는 일에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눈 속에 핀 매화나 설중 복수초를 찾아나선다. 하지만, 꽃이 어디 그것뿐이랴는 듯 양지바른 곳에 이른 봄꽃들이 피어 눈맞춤을 기다리고 있다.


이름도 아주 민망한 풀이 꽃을 피웠다. 그치만 꽃의 색깔도 모양도 이쁘기만 하다. 봄이 무르익을 무렵에 피는 꽃이 벌써 피었다. 밭이나 들, 집 앞 화단이나 공원의 산책로 주변에서도 흔하게 만날 수 있는 조그마한 크기의 예쁜 꽃이다.


이 식물의 이름은 꽃이 지고난 후 열리는 열매가 개의 불알을 닮은 것에서 유래한 것인데 사실은 일본어로 된 이름을 우리말로 번역하면서 이렇게 붙여졌다. 일부에서는 '봄까치꽃'이라고 부르자고 하지만 같은 종의 다른 식물과의 문제로 이 또한 간단한 일이 아니라고 한다. 개불알이란 명칭이 붙은 꽃으로는 '개불알꽃'이 있는데, '개불알풀'과는 종류가 전혀 다른 종류다.


또 하나 특이한 별칭으로는 '큰지금'이라는 이름이다. 지금이란 한자로 '지금地錦', 즉 땅 위의 비단이라는 뜻이다. 봄날 이 꽃이 군락을 지어 피어 있는 모습이 비단을 쫙 깔아놓은 듯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칠엽수'
잎떨군 큰키나무의 이름을 제대로 불러주기란 여간 힘든게 아니다. 특히, 생활주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나무가 아니라면 더 어렵다. 그래서 이름표 달고 있는 나무를 만나면 더 반갑게 만난다.


이 칠엽수라는 나무도 마찬가지다. 도로 중앙 인공섬이나 휴양림 등지에서나 겨우 볼 수 있는 나무다. 낙엽이 다 져버리고 긴 겨울동안 새싹을 내밀 준비를 하고 있다. 가지끝에 겨울눈이 햇빛을 받아 반짝인다.


칠엽수라는 이름은 긴 잎자루 끝에는 손바닥을 펼쳐 놓은 것처럼 일곱 개의 잎이 달리므로 '칠엽수'라는 이름이 생겼다.


꽃은 5~6월에 가지 끝에 모여 달리며, 붉은빛을 띠는 흰색이다. 열매는 둥근모양이며, 3개로 갈라진다. 타닌을 제거한 열매는 식용한다.


한국에는 외국에서 들어온 서양칠엽수와 칠엽수를 공원수나 정원수로 심고 있는데, 서양칠엽수를 흔히 프랑스에서 부르던 이름 그대로 마로니에라고 부르기도 한다. 흔히 마로니에로 부르는 이 나무가 들어온 것은 20세기 초 네덜란드 공사가 고종에게 선물한 것을 덕수궁 뒤편에 심은 것이 처음이라고 한다.


"눈물속에 봄 비가 흘러 내리듯/임자 잃은 술잔에 어리는 그 얼굴/아 청춘도 사랑도 다 마셔 버렸네/그 길에 마로니에 잎이 지던 날..../지금도 마로니에는 피고 있겠지"라는 노래로 친근한 나무는 서양칠엽수를 말한다. '사치스러움', '낭만', '정열'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단풍취'
동악산 8부능선 언저리에서 처음으로 만났다. 그후론 가끔씩 눈에 띄는가 싶더니 익숙해지니 자주 보인다. 무엇이든 그렇게 품으로 파고들었던 것은 쉽게 잊혀지지 않는다. 회문산 마른 겨울숲에서 잎이 지고 난 후 다른 모습으로 만났다.


여름에 피는 꽃보다 잎에 주목하는 식물이다. 잎이 단풍나무 잎처럼 여러 갈래로 갈라져 단풍나무와 비슷한 취나물이라고 해서 '단풍취'라고 한다. 꽃은 무더운 여름 줄기따라 하얀색으로 피고 열매는 10월에 열리고 갓털이 있어 바람을 타고 퍼진다.


봄에 어린순을 데쳐서 된장이나 간장, 고추장에 무쳐 먹거나 묵나물로 먹는다. 향기로우면서도 매운 맛이 나는 잎을 쌈싸 먹기도 한다.


괴발딱취, 장이나물로도 부르는 단풍취는 '순진', '감사'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