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01 | 202 | 203 | 20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털머위'
더딘 몸이 더 더딘 마음을 재촉해서 간 그곳의 온기는 생각보다 따스했다. 볏짚으로 새로 이엉을 얹고 새로 단장한 모습이 가족을 품에 안은 아버지의 그 마음처럼 포근하게 느껴지는 것은 날씨탓만은 아니었다. 집을 둘러싼 토담아래 다소곳이 모여 있다. 노란꽃이 피면 노란풍선과 잘 어울리겠다.


어느 겨울날 여수 향일함을 돌아서 내려선 바닷가에서 첫 눈맞춤했던 식물이다. 겨울 찬바람에도 두터운 잎이 살아 푸르디푸른 마음을 전해주었다.


털머위는 남해안 도서지방과 제주도, 울릉도 해안에서 나는 늘푸른 여러해살이풀이다. 가을에 노란색의 꽃이 피는데 녹색의 잎과 어울려 주목하게 된다.


털머위는 머위를 닮았으나 털이 많이 나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주로 바닷가 근처에서 자라므로 갯머위라고도 하며, 둥근 잎이 곰취를 닮아 말곰취라고도 한다.


'사람사는 세상'을 꿈꿨던 그분의 마음처럼 '한결같은 마음'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동백'
간절함이 극에 달한 순간 뚝! 모가지채 떨구고도 못다한 마음이 땅에서 다시 꽃으로 피어난다. 푸르디 푸른 잎 사이로 수줍은듯 고개를 내밀지만 여전히 붉은 속내다.


'북망산천 꽃'


뾰족한 칼날 같은 글만 써보니
어여쁜 꽃 같은 글 안 뽑아지네.


겨울 바람 차기만 하고
봄 소식 꽁꽁 숨어버리고
동백꽃 모가지채 떨어지누나


숭숭 구멍 뚫린 것처럼
저기 저 높은 산마루 휑하니
저기다 마음꽃 심어나 볼까?


마음산에 마음밭 일구고
마음꽃 듬뿍 심어 노면 
언젠가 화려히 내 피었다 하겠지.
마음 따뜻해지지 하겠지.


나라는 삭풍처럼 검으스레하고
대다수 국민들 겨울 나라에 살며
휑한 마음으로 마음에만 꽃 피워야 하네.


*김대영의 시다. 어찌 동백만 꽃이기야 하겠는냐마는 동백을 빼놓고 꽃이야기를 할 수는 없다. 하여 꽁꽁선 손 호호불며 그 서늘하기 그지없는 동백나무 품으로 파고 든다.


동백나무는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자생하는 나무다. 한국에서는 제주도 및 중부 이남의 바닷가에서만 볼 수 있는데 바닷가를 따라 서해안 어청도까지, 동쪽으로는 울릉도까지 올라와 자란다. 울산광역시 온산읍 방도리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65호로 지정되어 있다.


'그 누구보다 당신을 사랑합니다' 서늘한 동백나무의 그늘을 서성이는 것은 그 누가 알던 모르던 동백의 그 붉음에 기대어 함께 붉어지고 싶은 까닭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표맥(漂麥) 2017-01-03 14:4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동백은 집에서 키우지 않는다는 말도 있는데... 전 화분에 동백 많이 키웁니다. 각각 다른 동백... 얼마전엔 9년 전에 씨앗 띄운 동백이 첫 꽃을 피웠습니다. 얼마나 기쁘던지... 전 동백이 좋습니다...^^

무진無盡 2017-01-03 15:23   좋아요 0 | URL
얼마나 좋아하셨을지 짐작이됩니다. 저도 동백이 참으로 좋습니다. ^^
 

'은행나무'
철마다 잊지않고 찾아온다. 잠시 그 넉넉한 품에 머무는 동안 가슴에 쌓인 버거움을 내려 놓을 수 있다. 시간이 겹으로 쌓인 수피를 어루만지면 그 까칠하고 거침 속에 온기가 전해진다. 그 온기는 고스란히 가슴에 담긴다.


내가 찾는 이 은행나무는 담양군 봉안리 은행나무다. 천연기념물 제482호로 지정되어 관리받고 있다. 이 나무는 마을 외곽 네 방위에 있는 느티나무와 함께 마을을 지키는 당산나무로 일제강점기, 8·15광복, 6·25전쟁 등 국가의 중대사 때마다 울었다고 전한다.


은행나무 중에는 천연기념물 제30호로 지정된 용문사 은행나무를 비롯하여 19그루의 은행나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은행나무는 은행나무목은 은행나무과로만 이루어져 있는데 이 과는 고생대 이첩기에 나타난 15속(屬) 정도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우는 은행나무는 크고 멋진 수형에 푸른 잎에서부터 노란단풍, 풍성한 열매까지 다양한 멋으로 사람과 함께 살아온 나무다.


싹이 튼 지 20년 이상이 지나야 열매를 맺기 시작하는데, 씨를 심어 손자를 볼 나이에 열매를 얻을 수 있다고 하여 공손수(公孫樹)라고도 부르는 은행나무는 '장수'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모란'
그토록 붉은 속내를 거침없이 보여주던 도발적인 모습은 다 어디로 갔을까. 넉넉한 꽂잎에 매혹적이어서 더 처절한 꽃술까지 모두 너의 모습인데도 유추가 불가능한 모습으로 변하고 말았다.


눈모자 쓰고 차디찬 겨울동안 다시 그 붉은 속내를 채워가고 있을 새순이 곁에 있어 그 찬란할 봄날을 기다린다. 모든 생명의 지고난 화양연화의 끝자락이 이와 같지는 않으리라.


모란은 중국이 원산지로 알려진 줄기가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작은키나무다.


꽃은 4 ~ 5월에 피며 붉은 자줏빛의 꽃잎이 5~8조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작은 접시만 한 큰 꽃이 가지 끝에 피는데 일주일쯤 간다. 꽃의 색깔은 붉은색 계통이 가장 많고 여러 색상의 원예품종이 있다. 열매는 가죽질이며 짧은 털이 빽빽하게 나고 8 ~ 9월에 익으며 종자는 둥글고 검다.


모란이라는 이름은 꽃의 빛깔이 붉기 때문에 란[丹]이라 하였고, 굵은 뿌리 위에서 새싹이 돋아나오는 모습이 수컷의 형상을 닮았다 하여 모[牧]자를 붙였다고 한다.


양귀비의 미모, 선덕여왕의 일화 등에 등장하고 선비들의 수묵화에 단골로 그려지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주목받았던 꽃이다.


목단牧丹·목작약木芍藥·부귀화富貴花라고도 하는데 '부귀', '영화' 등의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신나무'
열매가 단풍나무 닮았는데 뭉텅이로 달렸다. 꽃에 주목하지 못했으니 열매로 겨우 알아볼 뿐이다. 공원의 나무들 사이에서 만난다. 비슷한 이웃이 있어 같은 무리에 들 것이라는 짐작으로 보아오던 나무다. 겨우 잎사귀 갈라진 모양으로 구분하던 것의 한계다.


신나무는 사람 왕래가 많은 길가, 야트막한 야산자락이나 들판의 둑 등지에서 자라는 낙엽지는 많이. 크지는 않은 나무다. 잎 모양에서 신나무는 셋으로 갈라진 잎의 가운데 갈래가 가장 길게 늘어져 있어 다른 나무와는 구분하는 기준으로 삼는다.


꽃은 5월에 향기를 풍기는 연노란색 작은 꽃이 아기 우산모양으로 핀다. 열매는 8월 중순 ~ 10월 중순에 성숙하며 날개는 거의 평행하거나 혹은 서로 합쳐진다.


신나무의 옛이름이 '때깔 나는 나무'란 뜻의 '색목(色木)이다. 옛 한글 발음으로 '싣나모'라고 하다가 오늘날 신나무가 되었다고 한다. 다른 유래는 잎이 갈라진 모양이 신발을 닮았다 하여 신나무라고 불린다는 설과 옛날에 짚신 바닥에 깔았다 하여 신나무라고 불린다는 속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01 | 202 | 203 | 20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